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
---|---|
기본 정보 | |
통칭 | GTX-A |
운행 국가 | ![]() |
종류 | 간선철도 |
체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상태 | 공사 중 |
기점 | 운정역 (경기도 파주시) |
종점 | 동탄역 (경기도 화성시) |
역 수 | 10 |
경유 노선 | 본선 · 수서평택고속선 |
개통일 | 2025년 (예정)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
운영자 | SG레일(사업 시행) 서울교통공사(본선 운영 및 유지보수) 에스알(수서평택고속선 운영 및 유지보수)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83.1 km |
궤간 | 1,435 mm(표준궤) |
선로 수 | 2 |
전철화 | 교류 25,000 V |
신호 방식 | TVM430 |
영업 최고 속도 | 161 km/h |
설계 최고 속도 | 180 km/h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首都圈 廣域急行鐵道 A路線)은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과 경기도 화성시 동탄역을 잇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노선 정보[편집]
- 노선명: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노선번호: 미정
- 노선 거리: 83.1km
- 운영 기관: 미정
- 궤간: 1,435mm (표준궤)
- 통행방식: 좌측 통행
- 역 수: 10개
- 보안 장치: ATP
- 운행 차량: SG레일 1000호대 전동차
연혁[편집]
- 2009년 6월 : 타당성 조사
- 2011년 4월 4일 :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수립 및 고시
- 2011년 11월 ~ 2014년 2월 28일 : 예비타당성 조사
- 2014년 6월 ~ 2016년 6월 :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 시행
- 2016년 1월 ~ 2017년 4월 : 민자적격성 조사
- 2016년 10월 ~ 2017년 11월 : 파주연장선 예비타당성 조사
- 2017년 4월 ~ 2017년 12월 : 시설사업 기본계획 수립
- 2017년 12월 29일 : 민자사업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1]
- 2018년 5월 1일: 신한은행 컨소시엄인 SG레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2][3]
- 2018년 12월 12일: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4]
- 2018년 12월 19일: 국토교통부에서 3기 신도시와 함께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대책 발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삼성~운정 구간을 2018년 12월 내로 착공하기로 함.[5]
- 2018년 12월 27일: 삼성~운정 구간 착공식[6]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편집]
- 2008년 7월 ~ 2009년 8월 : 수도권 고속철도 건설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 2009년 12월 : 수도권 고속철도 기본계획 수립
- 2011년 12월 ~ 2014년 2월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예비타당성 조사
- 2013년 4월 4일 : 제25차 철도산업위원회 안건 심의 가결
- 2013년 6월 : 기본계획수립용역 착수
- 2013년 11월 15일 : 동시시공분담협약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LH)
- 2015년 3월 19일 : 기본계획 고시[7]
- 2015년 7월 : 턴키공사 입찰공고
- 2016년 10월 6일 : 2, 4공구 착공
- 2017년 3월 9일 : 실시계획 승인[8]
- 2018년 6월 : 1, 3, 5공구 기본 및 실시설계 총사업비 승인
- 2018년 10월 : 1, 3, 5공구 공사발주
- 2028년: 삼성역 개통 예정[9][10]
역 목록[편집]
2017년 7월 7일의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른 것으로[11], 추후에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역 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환승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역 좌표 | |
---|---|---|---|---|---|---|---|---|---|
운정 | Unjeong | 雲井 | 0.0 | 0.0 | 경기도 | 파주시 | |||
킨텍스 | KINTEX | 韓國國際會展中心 | 고양시 | 북위 37° 39′ 55″ 동경 126° 44′ 54″ / 북위 37.6652° 동경 126.7483° | |||||
대곡 | Daegok | 大谷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
창릉 | Changneung | 昌陵 | |||||||
연신내 | Yeonsinnae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서울특별시 | 은평구 | |||||
서울역 | Seoul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예정) ● 신안산선(예정) |
중구 | ||||||
삼성 (무정차 통과 예정) | Samseong | 三成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예정) |
강남구 | |||||
수서 | Suseo | 水西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서고속철도 |
||||||
성남 | Seongnam | 城南 |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경기도 | 성남시 | ||||
용인 | Yongin | 龍仁 | 용인시 | ||||||
동탄 | Dongtan | 東灘 | ■ 수서고속철도 | 83.1 | 화성시 |
논란[편집]
- 당초 예정되었던 노선은 킨텍스~동탄 구간이었다. 이에 킨텍스 북쪽에 위치한 운정신도시가 이 노선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지 못하게 되자,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노선 연장을 요구하였다.[12] 결국 경기도에서는 연선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2010년 하반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노선을 서쪽으로는 김포와 파주로, 남쪽으로는 평택으로 연장하는 계획안의 연구용역을 진행하기도 하였다.[13] 이와 별도로 파주시에서는 시 교통망 구축 차원에서 킨텍스~운정 간의 GTX 연장안의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여 타당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경기도와 파주시는 2015년 11월 연장안 확정을 요구하였으나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는 노선 연장은 타당성 조사를 다시 실시하여야 하므로 거부하였다.[14] 2017년 12월 29일 고시된 기본계획에 파주 연장은 포함되었으나, 그 이외의 연장안은 포함되지 않았다.
- 삼성~운정 구간의 실시설계가 2018년 6월경 개시되어[3] 동년 11월 환경영향평가 초안이 제출되었다.[15] 제출된 초안 가운데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은평구 경계에서 북한산국립공원 지하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는데, 환경부에서는 해당 구간의 노선 대안을 검토하라는 의견을 냈다.[15] 일부 환경단체에서는 환경영향평가의 법정 검토 시한인 2019년 1월 18일까지 북한산을 우회하는 노선안을 계획하여 해당 안을 채택하라고 주장하고 있다.[16] 노선 변경이 이루어질 경우, GTX A노선과 선로를 공유하는 신분당선 북부 연장의 상명대역(가칭)이 설치되지 못한다.[17]
- 킨텍스~운정 구간에서 GTX A노선이 파주시 다율동의 아파트 단지와 열병합발전소 인근의 지하를 통과하는데, 일부 주민들은 이를 아파트 건물과 발전소의 직하부를 지난다고 오해하여 노선을 변경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18]
- 신분당선 북부 연장 구간은 2016년 6월, GTX A노선과 노선을 공유하는 것으로 고시되었다.[19] 이와 관련하여 A노선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현대건설 컨소시엄에서는 2018년 4월 시청역 추가 건설을 포함한 노선안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나[20], 우선협상대상자로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선정되어 시청역 설치는 무산되었다.[2]
사건 및 사고[편집]
2020년 12월 초 GTX-A 노선 5공구 공사 중 조선 전기 유적이 발견되어, 해당 부분의 공사가 무기한 중단되었다. 이로 인해 2024년 개통이 불가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각주[편집]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953호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민간투자대상사업 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 2017년 12월 29일.
- ↑ 가 나 김동규 (2018년 4월 26일). “GTX A노선 우선협상대상자에 '신한은행 컨소시엄'(종합)”. 연합뉴스.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강갑생 (2018년 10월 11일). “[단독] 국토부, GTX-A 연내착공 맞추려 수백억 물어낼지도 모를 '공문' 보냈다”. 중앙일보.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김희준 (2018년 12월 12일). “GTX A노선·신안산선 사업 본궤도…"사업자지정 민투심 통과"”. 뉴스1.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정상희 (2018년 12월 19일).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GTX·외곽순환로 거미줄 연결… 2기 신도시 교통난 없앤다”. 파이낸셜뉴스.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김동규 (2018년 12월 27일). “GTX-A노선 착공 "파주에서 서울역 20분만에…2023년 개통"”. 연합뉴스.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기본계획 고시
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135호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건설사업(2,4공구) 실시계획 승인"
- ↑ "GTX-A 삼성역, 2028년에나 개통…최소 3년 노선 분리"출처 : SBS 뉴스
- ↑ GTX-A 28년까지 삼성역 안 서고 통과... C노선은 상록수역 운행 출처: 조선일보
- ↑ 국토교통부
- ↑ 이상호 (2009년 11월 1일). ““GTX 노선 연장하라” 서명운동 봇물”. 경향신문.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정영진 (2010년 10월 5일). “경기 GTX, 파주·평택·양주·구리까지 70㎞ 연장 추진”. 중앙일보.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한상봉 (2015년 11월 16일). “[이슈&이슈] 수도권급행철도 파주 연장 문제의 속사정”. 서울신문.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동희 (2018년 12월 3일). “GTX-A노선 연내 착공 물 건너가나…환경영향평가 최대 변수”. 뉴스1.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배문규 (2018년 12월 24일). “교통대책도 좋다지만 환경과 대기질은? GTX-A, ‘민원철’되나”. 경향신문.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강갑생 (2018년 11월 8일). “[단독] 이번엔 북한산에 가로 막힌 GTX-A, 사업 지연 불가피”. 중앙일보.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노승혁 (2018년 12월 26일). “GTX-A노선 착공 앞두고 고양·파주지역 주민 반발”. 연합뉴스.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김정훈 (2017년 9월 29일). “서울시의회 남재경 의원, 신분당선 서북부연장 종로경유 노선(상명대역) 잠정 확정”. 폴리뉴스. 2017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강갑생 (2018년 4월 10일). “[단독] 현대 "시청역 추가" vs 신한 "SRT 할인"···GTX 2파전”. 중앙일보. 2018년 12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