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산철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당산철교
당산철교
교통시설서울 지하철 2호선
횡단서울특별시 영등포구마포구 사이의 한강
국적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관리서울교통공사
구조구 당산철교 : 트러스교
신 당산철교 : 프레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상형교
길이1,360m
10m
착공일구 당산철교 : 1980년 2월
신 당산철교 : 1997년 1월 1일
완공일구 당산철교 : 1983년 11월
신 당산철교 : 1999년 11월 22일
개통일구 당산철교 : 1984년 5월 22일
신 당산철교 : 1999년 11월 22일
폐쇄일구 당산철교 : 1997년 1월 1일
Map
위치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마포구

당산철교(堂山鐵橋)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당산역합정역을 연결하는 철교이다. 한강의 3번째 철교로, 1983년 11월에 완공되어 1984년 5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완전 개통으로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현재의 당산철교는 안전 문제로 재시공하여 1999년에 개통된 것으로, 교량의 길이는 약 1.2km, 높이는 약 30m에 이른다.

연혁[편집]

  • 1980년 2월: 착공
  • 1983년 11월: 준공
  •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전구간 개통으로 운행시작.
  • 1997년 1월 1일: 전면 철거 돌입[1]
  • 1999년 11월 22일: 재개통[2]

재시공[편집]

1994년 10월 21일에 일어난 성수대교 붕괴 사고의 여파로 당산철교도 교량 안전 점검 후폭풍이 불었다. 완공 10년 후에 실시된 교량 점검 과정에서, 상판은 물론 교각 자체에도 균열 현상이 급속히 확산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또한 1994년 11월부터는 2호선 전동차가 시속 30km 정도로 서행 운행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균열이 심해져 결국 전면 재시공이 결정되었다.[3] 당초 1997년 3월경부터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수요가 많은 2호선의 특성상 재차 시기를 앞당겨 1996년 12월 31일 마지막 열차 운행을 끝으로 다음 날인 1997년 1월 1일부터 대대적인 공사가 시작되어 당산역 - 합정역 구간이 한때 단절되었다.

철거를 시작한 첫 날에는 우려했던 대로 당산철교가 바로 붕괴되기도 하였으며, 1997년 5월 22일에는 철거 도중에 상판이 기울어지기도 하였다.[4] 이후 약 3년간 당산역합정역홍대입구역을 임시로 오가는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되었고 2호선 열차가 당산역합정역에 임시로 회차선을 만들어 회차하기도 하였다. 1999년 11월 22일 당산철교가 다시 개통되어 현재까지 별다른 문제 없이 교량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

각주[편집]

  1. “당산철교 폐쇄...31일밤 마지막 열차 통과”. 《연합뉴스》. 1996년 12월 31일. 
  2. 박상범 기자 (1999년 11월 22일). “당산철교, 재공사 3년만에 재개통”. 《KBS 9시뉴스》. 
  3. “당산철교 97년 3월께 철거”. 《연합뉴스》. 1995년 12월 14일. 
  4. “<현장> 당산철교 `기우뚱'에 市간부들 `가슴 철렁'. 《연합뉴스》. 1997년 5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