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30일
11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4번째(윤년일 경우 335번째) 날에 해당한다. 이 날은 11월의 마지막 날이다.
10월 - 11월 - 12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11월 30일 | |
2024년: 토요일 | 2023년: 목요일 |
2022년: 수요일 | 2021년: 화요일 |
2020년: 월요일 | 2019년: 토요일 |
2018년: 금요일 | 2017년: 목요일 |
2016년: 수요일 | 2015년: 월요일 |
2014년: 일요일 | 2013년: 토요일 |
2012년: 금요일 | 2011년: 수요일 |
2010년: 화요일 | 2009년: 월요일 |
2008년: 일요일 | 2007년: 금요일 |
2006년: 목요일 | 2005년: 수요일 |
2004년: 화요일 | 2003년: 일요일 |
2002년: 토요일 | 2001년: 금요일 |
2000년: 목요일 | 1999년: 화요일 |
1998년: 월요일 | 1997년: 일요일 |
1996년: 토요일 | 1995년: 목요일 |
1994년: 수요일 | 1993년: 화요일 |
1992년: 월요일 | 1991년: 토요일 |
사건[편집]
- 1782년 - 미국과 영국이 파리 평화 예비조약안에 서명함.
- 1905년 - 고종의 시종무관장 민영환, 을사조약 체결을 개탄하며 자결
- 1905년 - 주한 영국공사관 철수
- 1936년 - 영국의 수정궁 화재로 소실
- 1939년 - 겨울전쟁 발발
- 1966년 - 바베이도스, 영국으로부터 독립
- 1980년 - 대한민국, 언론 통폐합 추진.
- 1982년 - 역사적 명반이자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 마이클 잭슨의 Thriller 발매
- 2002년 - 여중생 추모 촛불 집회 시작
- 2008년 - 일본 신칸센 0계 전동차가 고다마 659호(오카야마~하카타)운행을 끝으로 산요 신칸센 정기 운용에서 완전히 은퇴.
- 2009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구 100원을 신 1원으로 바꾸는 화폐개혁 실시
- 2013년 - 모잠비크에서 앙골라로 향하는 모잠비크 항공 여객기가 나미비아 북동쪽 국경지대에 추락해 승객과 승무원 등 33명이 전원 사망하였다.
- 2016년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시장 4지구에서 새벽 2시경에 대형화재가 발생, 상가 800여 곳을 태웠다.
- 2023년 - 상봉시외버스터미널 폐업.
문화[편집]
- 1968년 - 1899년부터 서울시내에서 경성전기주식회사(현재의 한전)가 운영하던 전차(경성전차)의 운행이 전면중단되다.
- 1980년 - 언론통폐합 단행. TBC 동양방송(서울본사 및 부산지국), DBS 동아방송 고별방송.
- 1998년 - WBS FM 라디오 방송 개국.
- 1998년 - 대한민국 전라북도에서 전북원음방송 개국.
- 2001년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TBN 인천교통방송 개국.
- 2001년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에서 KBS대구방송총국 제2라디오 FM 방송 개국(HLQH-SFM, 102.3㎒, 출력 3㎾).
- 2007년 - 일산신도시에 MBC 드림센터 개관.
- 2008년 - 일본 신칸센 0계 전동차가 고다마 659호(오카야마발 하카타)운행을 끝으로 산요 신칸센에서 완전히 은퇴하였다.
- 2011년 -
- 2013년 - 분당선 망포 - 수원 구간 개통.
탄생[편집]
- 1508년 - 베네치아 공화국의 건축가 안드레아 팔라디오. (~1580년)
- 1667년 - 영국계 아일랜드의 소설가 조너선 스위프트. (~1745년)
- 1835년 -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 (~1910년)
- 1858년 - 오스트리아의 작가, 인권운동가 로자 마이레더. (~1938년)
- 1874년
- 캐나다의 소설가 루시 모드 몽고메리. (~1942년)
- 영국의 정치인 윈스턴 처칠. (~1965년)
- 1902년 - 일제강점기 조선의 언론인 이능선. (~1963년)
- 1919년 - 대한민국의 동양화가 김영기. (~2003년)
- 1923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조남철. (~2006년)
- 1931년 - 미국의 영화배우 잭 깅. (~2022년)
- 1936년 - 미국의 활동가 애비 호프만. (~1989년)
- 1937년 - 잉글랜드의 영화 감독 리들리 스콧.
- 1938년 - 프랑스의 영화 감독 장 외스타슈. (~1981년)
- 1941년 - 대한민국의 배우 나문희.
- 1943년 - 미국의 영화감독 테런스 맬릭.
- 1945년 - 루마니아의 피아니스트 라두 루푸. (~2022년)
- 1949년 - 대한민국의 방송인 허참. (~2022년)
- 1955년 - 미국의 영화배우 케빈 콘로이. (~2022년)
- 1956년 - 대한민국의 요리 연구가 이혜정.
- 1960년
- 1964년 - 대한민국의 희극인 노유정.
- 1965년 - 미국의 배우, 영화감독 벤 스틸러.
- 1973년 - 대한민국의 배우 임창정.
- 1977년
- 1980년 - 대한민국의 작가 조예현.
- 1982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정애연.
- 1983년
- 프랑스의 배우 기욤 구익스.
- 스페인의 배우 카를라 니에토 헬리.
- 1984년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김지민.
- 1985년 - 일본의 배우 미야자키 아오이.
- 1987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민정.
- 1988년 - 일본의 가수 아오이 에이르.
- 1989년 - 대한민국의 배우 손우현.
- 1990년 - 대한민국의 가수 우연수.
- 1992년
- 1993년 - 영국의 배우 미아 고스.
- 1995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세웅.
- 1998년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모세.
- 2002년 - 대한민국의 가수 송형준 (X1).
사망[편집]
- 912년 - 동프랑크 왕국의 귀족 오토 1세 폰 작센 공작. (840년~)
- 1900년 - 아일랜드의 극작가 오스카 와일드. (1854년~)
- 1905년 - 당시 대한제국의 애국지사, 정치가 민영환. (1861년~)
- 1954년 - 독일의 지휘자 겸 작곡가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1886년~)
- 2010년 - 대한민국의 배우 트위스트 김. (1936년~)
- 2013년 - 미국의 영화배우 폴 워커. (1973년~)
- 2013년 - 대한민국의 국악인 임이조. (1950년~)
- 2015년 - 대한민국의 육상선수 서말구. (1955년~)
- 2015년 - 대한민국의 군인 박원석. (1923년~)
- 2018년 - 미국의 제41대 대통령 조지 H. W. 부시. (1924년~)
- 2018년 - 티베트의 승려 팔덴 갸초. (1933년~)
- 2019년 - 라트비아의 지휘자 마리스 얀손스. (1943년~)
- 2021년 - 대한민국의 만화가 신문수. (1939년~)
- 2022년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장쩌민. (1926년~)
- 2022년 - 뉴질랜드의 육상선수 머리 홀버그. (1933년~)
- 2022년 - 오스트리아의 영화배우 크리스티아네 회르비거. (1938년~)
기념일[편집]
- 생명의 도시의 날(Cities for Life Day): 사형제를 폐지하고 생명의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세계 사형 반대의 날을 만듦
- 보니파시오의 날: 필리핀
- 순교자의 날: 아랍에미리트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