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9년
해 1936년 1937년 1938년 - 1939년 - 1940년 1941년 1942년 |
연대 1910년대 1920년대 - 1930년대 - 1940년대 195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연호[편집]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대한민국(大韓民國) 21년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民國) 28년
- 만주국(滿州國) 강덕(康德) 6년
- 일본(日本) 쇼와(昭和) 14년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保大) 14년
기년[편집]
사건[편집]
- 1월 - 이관술, 이순금, 김삼룡이 경성 콤그룹을 결성.
- 1월 14일 - 일제, 조선징발령세칙 공포 시행.
- 2월 - 이태준, 문예지 <문장> 창간
- 2월 1일 - 만포선 강계-만포 구간 개통
- 2월 3일 - 조선총독부 경무국에 방호과 설치, 방공 강화
- 3월
-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의 『Korea Esperantista』가 일제의 방해로 인해 강제 폐간.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류저우에서 쓰촨 성 치장으로 본부를 이전
- 3월 2일 - 교황 비오 12세, 260대 로마 교황 취임.
- 3월 10일 - 조선악극단 일본 공연 중 태극기 사용 혐의로 이철 사장 검거
- 3월 14일 - 친일단체인 황군위문작가단 발족
- 3월 24일 - 테오도르 셰들러가 이끄는 리히텐슈타인 나치, 쿠데타 실패.
- 4월 - 평양대동공업전문학교 설립.
- 4월 1일 - 스페인 내전 종료
- 4월 3일 - 일본어 신문인 <국민신보> 창간
- 4월 7일 - 아흐메트 조그 1세, 알바니아 국왕에서 퇴위하다.
- 4월 10일 - 못, 철사, 철판 등의 배급 통제 실시
- 5월 - 숙명여자전문학교 설립.
- 5월 21일 - 조선 전국 부읍면의원 선거 실시
- 5월 22일 -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 강철 조약 체결.
- 6월 11일 - 조선 천도교본부, 전국 20만 신도를 동원해 정신연맹 결성
- 7월
- 7월 3일 - 일제의 경찰보조기관인 경방단 수칙 공포
- 7월 17일 - 김구 계의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와 김원봉 계의 조선민족전선연맹이 통합하여 조선연합전선협회 창립
- 7월 22일 - 경춘선 개통식
- 7월 25일 - 성동역-춘천역 구간의 경춘선 철도가 '경춘철도(京春鐵道)'라는 이름으로 사설철도로 개통되다.
- 8월 - 이병기, 시조집 <가람시조> 간행
- 8월 1일 - 부여박물관 개관
- 8월 9일 - 프란시스코 프랑코, 에스파냐 국가주석에 취임
- 8월 16일 - 조선에서 방공법에 따른 첫 훈련 실시
- 8월 23일 -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체결.
- 8월 27일 - 독일에서 최초의 제트기인 하인켈 He 178기의 시험 비행에 성공하다.
- 8월 31일 - 경성에서 카바이드 자동차 시운전
- 9월
- 경성 조선총독관저 준공, 경성 조지아백화점 준공
- 일제의 통제 조치에도 조선내 쌀값 폭등
- 9월 1일 -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 폴란드 침공.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9월 3일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과 프랑스, 폴란드 침공한 독일에 선전포고.
- 9월 17일 -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폴란드 침공(소련의 폴란드 침공 (1939년))
- 9월 27일 - 제2차 세계 대전: 바르샤바 함락. 폴란드, 나치 독일에 항복.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 군사동맹 조인
- 9월 30일
-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 장군이 폴란드의 총리가 되다.
- 일제, 국민징용령 시행규칙 공포
- 9월 28일 -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 폴란드 분할점령 위한 우호조약 체결.
- 10월 - 중국 충칭에 한국청년전지공작대 결성
- 10월 16일
- 10월 29일 - 조선문인협회 결성
- 11월 3일 - 조선학생정신연맹 결성
- 11월 30일 - 제2차 세계 대전: 겨울전쟁 발발.
탄생[편집]
- 1월 6일 -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발레리 로바놉스키. (~2002년)
- 1월 10일 - 미국의 가수 스콧 매켄지. (~2012년)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번역가 천병희. (~2022년)
- 3월 2일 - 일본의 황족 시마즈 다카코.
- 3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지명.
- 3월 9일 - 미국의 영화 감독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 3월 13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닐 세다카.
- 3월 16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카를로스 빌라르도.
- 3월 21일 - 미국의 야구 선수 토미 데이비스. (~2022년)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양택조.
- 4월 2일 - 미국의 음악가 마빈 게이. (~1984년)
- 4월 13일 - 미국의 영화배우 폴 소비노. (~2022년)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신세인.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시인 겸 개신교 철학자 도한호.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변장호. (~2022년)
- 5월 7일
- 5월 13일 - 미국의 배우 하비 카이텔.
- 5월 20일 - 일본의 저술가 도조 유코. (~2013년)
- 5월 25일 - 영국의 배우 이언 매켈런.
- 7월 17일 - 이탈리아의 가수 밀바.(~2021년)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기항.
- 7월 30일 - 미국의 영화감독 피터 보그다노비치. (~2022년)
- 8월 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혁규.
- 8월 2일 - 미국의 영화감독 웨스 크레이븐. (~2015년)
- 8월 9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이청준. (~2008년)
- 8월 12일 - 미국의 영화배우 조지 해밀턴.
- 8월 22일 - 미국의 영화배우 로버트 월. (~2022년)
- 9월 3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대중.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손경식.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실. (~2022년)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대로(이상익).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여준.
- 10월 18일 -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범 리 하비 오스월드. (~1963년)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주환. (~2022년)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기택. (~2022년)
- 11월 21일 - 미국의 정치가 버드 드와이어. (~1987년)
- 12월 5일 - 스페인의 건축가 리카르도 보필. (~2022년)
- 12월 28일 - 미국의 기업인 필립 앤슈츠.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 이희우. (~2019년)
- 미상 - 미국의 영화배우 알 스트뢰벨. (~2022년)
- 미상 - 대한민국의 여성 연쇄살인범 김선자. (~1997년)
사망[편집]
- 1월 28일 - 아일랜드의 시인 윌리엄 예이츠. (1865년~)
- 2월 2일 - 프랑스의 사형집행인 아나톨 데이브레르 (1863년~)
- 2월 10일 - 교황 비오 11세, 259대 로마 교황. (1857년~)
- 7월 14일 - 체코의 화가 알폰스 무하. (1860년~)
- 9월 21일 - 대한제국의 정치가 박영효. (1861년~)
- 9월 23일 - 오스트리아의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 (1856년~)
- 11월 28일 - 농구의 고안자 제임스 네이스미스. (1861년~)
- 11월 29일 - 독일의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총리 필리프 샤이데만. (1865년~)
노벨상[편집]
- 문학상:
- 물리학상: 어니스트 로런스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병인 | 대 | 2월 19일 | 정해 |
2월 | 정묘 | 대 | 3월 21일 | 정사 |
3월 | 무진 | 소 | 4월 20일 | 정해 |
4월 | 기사 | 소 | 5월 19일 | 병진 |
5월 | 경오 | 대 | 6월 17일 | 을유 |
6월 | 신미 | 소 | 7월 17일 | 을묘 |
7월 | 임신 | 소 | 8월 15일 | 갑신 |
8월 | 계유 | 대 | 9월 13일 | 계축 |
9월 | 갑술 | 소 | 10월 13일 | 계미 |
10월 | 을해 | 대 | 11월 11일 | 임자 |
11월 | 병자 | 소 | 12월 11일 | 임오 |
12월 | 정축 | 대 | 1940년 1월 9일 | 신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