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7일
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8번째(윤년일 경우도 38번째) 날에 해당한다.
1월 - 2월 - 3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2월 7일 | |
2024년: 수요일 | 2023년: 화요일 |
2022년: 월요일 | 2021년: 일요일 |
2020년: 금요일 | 2019년: 목요일 |
2018년: 수요일 | 2017년: 화요일 |
2016년: 일요일 | 2015년: 토요일 |
2014년: 금요일 | 2013년: 목요일 |
2012년: 화요일 | 2011년: 월요일 |
2010년: 일요일 | 2009년: 토요일 |
2008년: 목요일 | 2007년: 수요일 |
2006년: 화요일 | 2005년: 월요일 |
2004년: 토요일 | 2003년: 금요일 |
2002년: 목요일 | 2001년: 수요일 |
2000년: 월요일 | 1999년: 일요일 |
1998년: 토요일 | 1997년: 금요일 |
1996년: 수요일 | 1995년: 화요일 |
1994년: 월요일 | 1993년: 일요일 |
1992년: 금요일 | 1991년: 목요일 |
사건[편집]
- 457년 - 레오 1세가 동로마 제국의 황제로 추대되어 제관을 받았다.
- 1948년 - 미군정 영역에서 2·7 사건이 발생했다.
- 1951년 - 한국전쟁 중 산청·함양 양민학살 사건이 일어났다.
- 1964년 - 비틀즈가 미국을 첫 방문, 2월 9일 《에드 설리번 쇼》에 첫 출연했다.
- 1967년 - 전통 야당의 맥을 이은 신민당 창당
- 1968년 -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 철도가 완전개통했다.
- 1974년 - 그레나다가 영국으로부터 독립
- 1992년 - 마스트리히트 조약 체결
- 2010년 -
- 2012년 -
- 2013년 -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와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및 문희상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문제와 관련하여 긴급회동을 열다.
- 2014년 -
- 2016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오전 9시(한국 시각 오전 9시 30분)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기지에서 장거리 로켓(미사일)을 발사하였다.
문화[편집]
- 1983년 - 공익광고협의회에 명칭 변경하였다.
- 2014년 - 러시아 소치에서 2014년 동계 올림픽이 개막되었다.
- 2018년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진영 분기점 ~ 노포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탄생[편집]
- 1102년 - 잉글랜드 최초의 여성 통치자 마틸다. (~1167년)
- 1478년 - 영국의 법률가, 작가 토머스 모어. (~1535년)
- 1812년 - 영국의 소설가 찰스 디킨스. (~1870년)
- 1867년 - 미국의 작가 로라 잉걸스 와일더. (~1957년)
- 1870년 -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 알프레트 아들러. (~1937년)
- 1877년 - 영국의 수학자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 (~1947년)
- 1879년 - 프랑스의 작곡가 자크 코포. (~1949년)
- 1885년 - 미국의 작가 싱클레어 루이스. (~1951년)
- 1906년 -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푸이. (~1967년)
- 1914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호. (~1997년)
- 1934년 - 바시키르 공화국의 정치인 무르타자 라히모프. (~2023년)
- 1935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희욱. (~2023년)
- 1940년 - 대한민국의 대금, 아쟁 명인 서용석. (~2013년)
- 1942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조영재. (~2012년)
- 1947년 - 미국의 성우 웨인 올와인. (~2009년)
- 1952년
- 1955년 - 미국의 배우 미겔 페러. (~2017년)
- 1959년
- 1960년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정태인. (~2022년)
- 1962년 - 아르헨티나의 테너 가수 마르첼로 알바레스.
- 1965년 - 미국의 배우 크리스 록.
- 1968년 - 대한민국의 성우 이철용.
- 1970년 -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 윤희숙.
- 1971년 - 대한민국의 성우 유동균.
- 1973년 - 일본의 성우, 가수 소노자키 미에.
- 1974년
- 1975년
- 1976년 - 대한민국의 성우 김은아.
- 1977년 - 일본의 축구 선수 미야모토 쓰네야스.
- 1978년 - 미국의 배우 애슈턴 쿠처.
- 1979년
- 1980년
- 1981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봉련.
- 1982년
- 1983년
- 1984년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신수아.
- 1985년 - 대한민국의 가수 이은정.
- 1987년
- 1988년
- 1989년 - 대한민국의 가수 오제.
- 1990년 - 대한민국의 가수 한승찬.
- 1992년
- 1993년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디에고 락살트.
- 1994년 - 대한민국의 가수 김진환 (iKON).
- 1996년
- 1997년
- 1998년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김가은.
- 1999년 - 일본의 배우 마츠모토 타마키.
- 2003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현주.
- 2004년 - 대한민국의 치과의사 김기현.
사망[편집]
- 199년 - 중국 후한 말의 무장 여포. (?~)
- 590년 - 63대 로마 교황 펠라지오 2세. (520년~)
- 1045년 - 제69대 일본 천황 고스자쿠. (1009년~)
- 1799년 - 청나라의 황제 애신각라 홍력. (1711년~)
- 1878년 - 255대 로마 교황 교황 비오 9세. (1792년~)
- 1979년 - 대한민국의 화가 김은호. (1892년~)
- 1983년 - 미국의 사회학자 카를 C. 짐머만. (1897년~)
- 1986년
- 1994년 - 폴란드의 작곡가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1913년~)
- 2000년 - 미국의 랩퍼 빅펀. (1971년~)
- 2007년 - 미국의 소설가 프레드 스테워트. (1932년~)
- 2010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수혁. (1969년~)
- 2017년 -
- 2018년 - 미국의 시인 존 페리 발로. (1947년~)
- 2019년 - 대한민국의 외교관 주철기. (1946년~)
- 2019년 - 미국의 야구선수 프랭크 로빈슨. (1935년~)
- 2019년 - 잉글랜드의 영화배우 앨버트 피니. (1936년~)
- 2020년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이규형. (1957년~)
- 2020년 - 중화인민공화국의 의사 리원량. (1986년~)
- 2020년 - 미국의 영화배우 앤 E. 토드. (1931년~)
- 2020년 - 미국의 영화배우 오슨 빈. (1928년~)
- 2021년 - 미국의 정치인 론 라이트. (1953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박종근. (1938년~)
- 2023년 - 독일의 축구선수 프리델 루츠. (1939년~)
기념일[편집]
같이 보기[편집]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