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해 1961년 1962년 1963년 - 1964년 - 1965년 1966년 1967년 |
연대 1940년대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198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6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사건[편집]
- 4월 26일 - 탄자니아, 유엔 가입.
- 5월 21일 - 대한민국, 무장 공수단 군인들의 법원 난입 사건 발생.
- 6월 3일 - 한일국교 협상에 반대하는 6·3 항쟁 발발하여 서울시 일원에 비상계엄령이 선포되었다.
- 7월 6일 - 말라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
- 8월 2일 - 통킹 만 사건: 북베트남의 어뢰정이 미국 구축함을 공격하다.
- 8월 4일 - 한국군의 월남 파병안 국회 통과.
- 8월 24일 - 중앙정보부, 통일혁명당 지하 간첩단 사건 수사 발표.
- 9월 21일 - 몰타 독립.
- 9월 22일 - 대한민국 군사원조단 140명 최초로 베트남 도착.
- 10월 16일 - 중화인민공화국, 최초의 핵실험 실시.
- 10월 24일 - 잠비아 독립.
- 11월 19일 - 프랑스의 시사주간지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첫 발간.
- 12월 1일 - 말라위, 몰타, 잠비아, 유엔 가입.
문화[편집]
- 5월 9일 - 동양방송 라디오 개국.
- 8월 17일 - 대한민국, 한국기자협회 창립.
- 8월 19일 - 대한민국, 국제의원연맹(IPU) 가입.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주간지 〈주간한국〉 창간.
- 10월 1일 - 일본의 고속철도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 10월 10일 ~ 10월 24일 - 제18회 도쿄 올림픽 개최.
- 11월 28일 - 매리너 4호, 화성으로 발사됨.
- 12월 7일 - 동양방송 텔레비전 개국 및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실시.
- 국제 형사 경찰 기구에 대한민국 가입.
탄생[편집]
1월[편집]
- 1월 7일 - 미국의 배우 니컬러스 케이지.
- 1월 12일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충선.
- 1월 17일 -
- 1월 20일 - 미국의 언론인 파리드 자카리아.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광석. (~1996년)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병준.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코치, 전 야구 선수 김태원.
2월[편집]
- 2월 5일
- 미국의 배우 로라 리니.
- 2월 11일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서승만.
- 2월 16일
- 2월 18일 - 미국의 배우 맷 딜런.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이수정.
- 2월 25일
- 2월 29일
3월[편집]
- 3월 1일 - 스페인의 축구 심판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
- 3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백운규.
- 3월 3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켈리 라이카트.
- 3월 4일 - 미국의 기업인 조너선 크래프트.
- 3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동기.
- 3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태년.
- 3월 9일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해미.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경룡.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구인 신영철.
- 3월 18일 - 일본의 성우 가나이 미카.
- 3월 19일 - 일본의 작곡가 칸노 요코.
- 3월 21일
- 3월 26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레니 크래비츠.
- 3월 30일 -
4월[편집]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민주열사 박종철. (~1987년)
- 4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얼. (~2022년)
- 4월 7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러셀 크로.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신의진.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허준호.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통일부 장관 홍용표.
- 4월 20일 - 영국의 배우 앤디 서키스.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배도환.
- 4월 24일 - 미국의 배우 자이먼 운수.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성동일.
5월[편집]
- 5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조계현.
- 5월 2일
- 5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유승.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연철.
- 5월 19일 - 프랑스의 배우 에마뉘엘 드보스.
- 5월 13일 - 미국의 코미디언, 방송인 스티븐 콜베어.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신용철.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정명희.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승환.
- 5월 20일 - 일본의 정치인 겐바 고이치로.
- 5월 25일 - 북아일랜드의 배우 레이 스티븐슨. (~2023년)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민석.
- 5월 31일 - 일본의 정치인 에다노 유키오.
6월[편집]
- 6월 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자 방송인 김자영.
- 6월 9일
- 6월 15일
- 6월 21일 - 미국의 배우 데이비드 모리시.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배종옥.
- 6월 26일 - 핀란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톰미 매키넨.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준규.
7월[편집]
- 7월 3일
- 7월 6일
- 7월 9일
- 7월 10일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승범.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기자 황상무.
- 7월 20일 - 사운드가든, 오디오슬레이브 리드보컬 크리스 코넬
- 7월 24일
- 7월 26일 - 미국의 배우 샌드라 불럭.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최호섭.
- 7월 30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위르겐 클린스만.
8월[편집]
- 8월 5일
- 8월 11일 - 대한민국 태생의 미국 만화가 겸 기업가 짐 리(한국 이름 이용철).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경응.
- 8월 14일
- 8월 15일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학재.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미연.
9월[편집]
- 9월 2일 - 캐나다의 배우 키아누 리브스.
- 9월 4일 - 독일의 베이스 가수 르네 파페.
- 9월 6일 - 미국의 배우 로지 페레스.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윤준.
- 9월 16일 - 미국의 배우 몰리 섀넌.
- 9월 19일
- 9월 20일 - 홍콩의 배우 장만옥.
- 9월 24일
- 9월 25일 - 일본의 성우 이노우에 기쿠코.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배우 남경주.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호근.
- 9월 30일 - 이탈리아의 배우 모니카 벨루치.
10월[편집]
- 10월 3일
- 영국의 배우 클라이브 오언.
- 아랍에미리트의 전 축구 선수 아드난 알 탈리아니.
- 10월 5일 - 일본의 성우 후지와라 케이지.
- 10월 7일 - 현 11대 부산 사하구청장 조정화 (민선, 한나라당).
- 10월 9일 - 멕시코의 영화 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김진태.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인숙.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종.
- 10월 31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마르코 판 바스턴.
11월[편집]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석규.
- 11월 5일 - 네덜란드의 배우 팜커 얀선.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우석.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차명화.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대연.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정학.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농구선수 임달식.
- 프랑스의 배우 겸 영화 감독 발레리아 브루니 테데스키.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재성.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 이철희.
- 11월 21일 -대한민국의 배우 최범호.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이며 은퇴 정치가 황장수.
- 11월 27일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 11월 28일
- 11월 29일 - 미국의 배우 돈 치들.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노유정.
12월[편집]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희정.
- 12월 4일 - 미국의 배우 머리사 토메이.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박주봉.
- 12월 6일 - 대한민국의 성우 홍성헌.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여태구.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천문학자 이태형.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진운성.
- 12월 13일 - 일본의 음악가, 기타리스트 히데.
- 12월 20일 - 미국의 격투기 선수 마크 콜먼.
- 12월 25일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오성.
미상[편집]
사망[편집]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김병로. (1887년~)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법린. (1899년~)
- 4월 5일 - 미국의 군인, UN군 총사령관 더글라스 맥아더. (1880년~)
- 4월 23일 - 헝가리의 경제학자 칼 폴라니. (1886년~)
- 5월 17일 - 핀란드 및 구 소련의 정치인 오토 쿠시넨. (1881년~)
- 5월 27일 - 인도의 수상 자와할랄 네루. (1889년~)
- 6월 3일 - 핀란드의 작가 프란스 에밀 실란패. (1888년~)
- 8월 12일 - 영국의 소설가 이언 플레밍. (1908년~)
- 10월 20일 - 미국의 제31대 대통령 허버트 후버. (1874년~)
- 11월 12일 - 스웨덴의 총리 리카르드 산들레르. (1884년~)
노벨상[편집]
- 문학상: 장 폴 사르트르(수상거부)
- 물리학상: 찰스 H. 타운스, 니콜라이 G. 바소프, 알렉산드로 M. 프로호로프
- 생리학 및 의학상: 콘래드 블로흐, 페오도르 리넨
- 평화상: 마틴 루터 킹 2세
- 화학상: 도로시 M.C. 호지킨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병인 | 대 | 2월 13일 | 임진 |
2월 | 정묘 | 소 | 3월 14일 | 임술 |
3월 | 무진 | 대 | 4월 12일 | 신묘 |
4월 | 기사 | 소 | 5월 12일 | 신유 |
5월 | 경오 | 소 | 6월 10일 | 경인 |
6월 | 신미 | 대 | 7월 9일 | 기미 |
7월 | 임신 | 소 | 8월 8일 | 기축 |
8월 | 계유 | 대 | 9월 6일 | 무오 |
9월 | 갑술 | 소 | 10월 6일 | 무자 |
10월 | 을해 | 대 | 11월 4일 | 정사 |
11월 | 병자 | 대 | 12월 4일 | 정해 |
12월 | 정축 | 대 | 1965년 1월 3일 | 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