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
해 1962년 1963년 1964년 - 1965년 - 1966년 1967년 1968년 |
연대 1940년대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198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6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사건[편집]
- 2월 15일 - 캐나다의 국기가 변경.
- 2월 18일 - 감비아 독립.
- 6월 22일 - 한일기본조약 조인.
- 7월 26일 - 몰디브 독립.
- 8월 7일 - 미국 의회, 사실상 베트민(월맹)에 대한 선전포고인 '통킹만 결의'를 의결. 이후 미국의 공개적인 군사개입 시작됨.
- 8월 9일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
- 8월 11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 와츠지역서 대규모 흑인 폭동 발생.
- 8월 12일 - 대한민국, 민중당 소속 국회의원 61명 한일협정 조인에 반대해 의원직 사퇴서 제출.
- 8월 13일 -대한민국 국회, 야당 불참 속 월남파병 동의안 가결.
- 8월 14일 - 대한민국 국회, 한일협정 비준 동의안 야당 불참 속 가결.
- 8월 22일 - 대한민국,전국 고교생 및 대학생 1만여 명, 한일협정 비준 무효화 요구 시위.
- 8월 25일 - 대한민국 정부, 한일협정 반대 시위 확산되는 고려대학교에 무장군인 투입.
- 8월 26일 - 대한민국 정부, 한일협정 반대시위 확산되자 서울에 위수령(衛戍令) 발동.
- 9월 6일 - 파키스탄, 인도와 전쟁상태 선포.
- 9월 9일 - 중국, 티베트 자치구 성립을 선언.
- 9월 18일 - 경인선(영등포-인천) 복선 개통.
- 9월 21일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중앙일보 창간.
- 10월 9일 - 한국군 첫 전투부대가 베트남에 도착했다.
- 11월 26일 - 프랑스 최초의 인공위성 'A1' 발사
문화[편집]
탄생[편집]
1월[편집]
- 1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성민수.
- 1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기철.
- 1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기정.
- 1월 10일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성유진.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및 작사가 겸 작곡가 임형순.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성열. (~2011년)
- 1월 20일
- 1월 22일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규원
- 1월 27일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여영국.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민수.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영실.
2월[편집]
- 2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변우민.
- 2월 5일
- 2월 6일
- 2월 7일 - 미국의 코미디언, 배우 크리스 록.
- 2월 9일 - 대한민국의 산업안전보건전문가, 노동운동가, 정치인 한정애.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김형일.
- 2월 17일 - 미국의 영화감독 마이클 베이.
- 2월 18일 - 미국의 랩 가수, 프로듀서, 기업인 닥터 드레.
- 2월 19일 - 미국의 기업인 클라크 헌트.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우열.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종서.
3월[편집]
- 3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황보관.
- 3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원관.
- 3월 3일 -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 3월 14일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요리연구가 김소희.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금융인이자 배우 윤진호.
- 3월 21일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원미연.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혜수.
- 3월 25일 - 미국의 배우 사라 제시카 파커.
- 3월 27일 - 미국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프로듀서 빌 로퍼.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최홍림.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팽현숙.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문학 전문가, 대학 교수 김근식.
4월[편집]
- 4월 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배동성.
- 4월 4일 - 미국의 배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김태원 (부활).
- 4월 15일 - 니제르의 군사 지도자 살루 지보.
- 4월 16일 - 스페인의 축구 심판 마누엘 메후토 곤살레스.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표인봉.
- 4월 19일 - 프랑스의 소프라노 가수 나탈리 드세이.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고기영.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창민.
5월[편집]
- 5월 6일 - 대한민국의 축구코치 안익수.
- 5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김민전.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경하.
- 5월 15일 -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하이.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청래.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현철.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성수.
- 5월 25일
- 5월 29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고다 이사오.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성준.
6월[편집]
- 6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용덕.
- 6월 3일 - 덴마크의 배우 코니 닐센.
- 6월 10일 - 영국의 배우 엘리자베스 헐리.
- 6월 11일 - 일본의 가수 겸 배우 사와구치 야스코.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흥원.
- 6월 14일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해룡.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현.
- 6월 21일
- 6월 22일 - 독일의 영화감독 우베 볼.
- 6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현주.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언론인 신동욱.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재현.
7월[편집]
- 7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미경.
- 7월 9일
- 7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신조.
- 7월 13일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겸 탤런트 황성임.
- 불가리아의 메조소프라노 가수 베셀리나 카사로바.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병철
- 7월 27일 - 파라과이의 전 축구 선수 호세 루이스 칠라베르트.
- 7월 29일 - 미국의 작가 이창래.
- 7월 31일 - 영국의 해리포터 작가 조앤 롤링.
8월[편집]
- 8월 1일 - 영국의 영화 감독 샘 멘데스.
- 8월 2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야구 감독 와타나베 히사노부.
- 8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관우.
- 8월 6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야구 감독 후루타 아쓰야.
- 8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의송.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전종화.
- 8월 11일 - 미국의 배우 비올라 데이비스.
- 8월 15일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장혜선.
- 8월 19일
- 미국의 배우 키라 세지윅.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테너 가수 요한 보타.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소형.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주범. (~2010년)
9월[편집]
- 9월 5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이재용.
- 9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훈.
- 9월 7일 - 루마니아의 소프라노 가수 안젤라 게오르기우.
- 9월 11일 - 미국의 전자 음악가 모비.
- 9월 14일 - 러시아의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관진. (~2015년)
- 9월 17일
- 9월 23일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현선.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정은아.
- 9월 26일 - 우크라이나의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농구 감독 허재.
10월[편집]
- 10월 6일 - 독일의 前 축구 선수 위르겐 콜러
- 10월 10일 - 일본의 음악가 토시.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균.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양수경.
- 10월 18일 - 일본의 변호사 오히라 미쓰요.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성우 강수진.
- 10월 20일 - 러시아의 아이스 하키 선수 미하일 시탈렌코프.
- 10월 25일
- 10월 26일 - 홍콩의 배우, 가수 곽부성.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인화.
11월[편집]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진목.
- 11월 2일 - 인도의 배우 샤루크 칸.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오인성.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민기. (~2018년)
- 11월 6일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한혜진.
- 11월 9일 - 영국의 베이스바리톤 가수 브린 터펠.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변호사 겸 장관 이상민.
- 11월 13일 - 일본의 음악가 파타.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뢰하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386가수 안치환.
- 11월 19일 -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로랑 블랑.
- 11월 20일
- 11월 21일 - 아이슬란드의 가수 비외르크.
- 11월 22일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영진.
- 11월 30일
- 일본의 황족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토.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형.
- 미국의 배우, 영화감독 벤 스틸러.
12월[편집]
- 12월 7일 - 미국의 배우 제프리 라이트.
- 12월 12일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승환.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문대림.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신문 기자, 대학 교수 강미은.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의성.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정운. (~2022년)
- 12월 26일 - 동독의 수영선수 카틀렌 노르트. (~2022년)
- 12월 27일
- 12월 31일 - 중국의 영화배우 궁리.
미상[편집]
- 대한민국의 배우 공재원.
사망[편집]



- 1월 4일 - 영국의 시인, 평론가 T. S. 엘리엇. (1888년~)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수필가 전혜린. (1934년~)
- 1월 24일 - 영국의 전총리 윈스턴 처칠. (1874년~)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홍섭. (1915년~)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난영 (1916년~)
- 5월 6일 - 대한민국의 화가 박수근. (1914년~)
- 6월 7일 - 미국의 배우 주디 홀리데이. (1921년~)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이승만. (1875년~)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윤용하. (1922년~)
- 8월 13일 - 일본의 정치가, 총리 대신 이케다 하야토. (1899년~)
- 9월 4일 - 독일 출신 프랑스의 의사, 음악가, 철학자, 신학자, 루터교 목사 알베르트 슈바이처. (1875년~)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안익태. (1906년~)
- 10월 2일 - 폴란드의 경제학자 오스카르 랑게. 1904년~)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군인 강재구. (1937년~)
- 10월 7일 - 미국의 수학자, 필즈상 수상자 제시 더글러스. (1897년~)
노벨상[편집]
- 문학상 : 미하일 숄로호프
- 물리학상 : 줄리언 S. 슈윙거, 리처드 파인만, 도모나가 신이치로
- 생리학 및 의학상 : 프랑수아 자코브, 자크 모노, 앙드레 르보프
- 평화상 : 유엔 아동 기금
- 화학상 : 로버트 B. 우드워드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무인 | 소 | 2월 2일 | 정해 |
2월 | 기묘 | 대 | 3월 3일 | 병진 |
3월 | 경진 | 소 | 4월 2일 | 병술 |
4월 | 신사 | 대 | 5월 1일 | 을묘 |
5월 | 임오 | 소 | 5월 31일 | 을유 |
6월 | 계미 | 소 | 6월 29일 | 갑인 |
7월 | 갑신 | 대 | 7월 28일 | 계미 |
8월 | 을유 | 소 | 8월 27일 | 계축 |
9월 | 병술 | 소 | 9월 25일 | 임오 |
10월 | 정해 | 대 | 10월 24일 | 신해 |
11월 | 무자 | 대 | 11월 23일 | 신사 |
12월 | 기축 | 대 | 12월 23일 | 신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