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1년
해 1918년 1919년 1920년 - 1921년 - 1922년 1923년 1924년 |
연대 1900년대 1910년대 - 1920년대 - 1930년대 194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연호[편집]
기년[편집]
사건[편집]
- 1월 24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가 대통령 이승만과의 의견 대립으로 사직하였다.
- 2월 11일 - 아관파천 25주년.
- 2월 16일 - 양근환이 도쿄에서 민원식을 사살하였다.
- 3월 10일 - 잡지 <청년>이 창간되었다.
- 3월 11일 - 동포 288명이 멕시코에 이민차 상륙하였다.
- 3월 19일 - 화가 나혜석이 서울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다.
- 3월 26일 - 김철 등이 중국 톈진에서 한혈단을 조직하였다.
- 4월 20일 - 박용만, 신채호, 신숙 등이 중국 베이징에서 군사통일주비회를 개최하고, 임시의정원 해산을 요구하였다.
- 5월 1일 - 연합국 배상위원회, 독일의 제1차 세계 대전 배상금을 1320억 금마르크로 결정하다.
- 5월 30일 - 남대문역에 대화재가 발생하였다.
- 6월 27일 - 자유시 참변
- 7월 1일 - 중국 공산당 창당
- 7월 11일 - 몽골이 중화민국으로부터 독립하다.
- 7월 29일 - 아돌프 히틀러가 나치 당의 지도자가 되다.
- 8월 - 방정환이 천도교소년회를 창립하였다.
- 8월 24일 - 미국과 오스트리아 강화조약 체결.
- 9월 10일 - 경성도서관이 취운정의 분관과 구한국군악대 건물의 본관으로 이원화가 됨
- 9월 12일 - 일제강점기: 의열단 소속 독립운동가 김익상, 사이토 총독 암살하려 조선총독부에 폭탄 투척
- 9월 15일 - 애국지사 洪宙一, 金永瑞, 鄭雲騎가 우현서루를 가교사로 교남학원을 설립
- 9월 26일 - 일제강점기: 부산 부두 노동자 5천여 명, 임금인상 요구하며 총파업
- 10월 25일 - 조선에서 좌측통행이 실시되었다.
- 11월 4일 - 나치 돌격대가 창설되다.
- 11월 5일 - 도쿄 조선청년독립단이 독립 선언을 발표하고 시위를 벌였다.
- 11월 29일 - 일본 도쿄에서 재일 한인사회주의단체 혹도회가 조직되었다.
- 12월 - 박열 등이 흑도회에서 탈퇴하고 무정부주의 단체 흑운회를 조직하였다.
- 12월 28일 - 이승만과 서재필이 미국 워싱턴 군비축소회의에 참석하였다.
문화[편집]
- 10월 2일 - 1921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개최
탄생[편집]
- 1월 1일
- 1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봉환. (~2020년)
- 1월 19일 - 미국의 작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 (~1995년)
- 1월 20일 - 일본의 작곡가 요시다 다다시. (~1998년)
- 1월 27일 - 미국의 배우 도나 리드. (~1986년)
- 2월 1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류미영. (~2016년)
- 2월 16일 - 중국의 정치가, 전 국무원 총리, 중국공산당 주석 화궈펑. (~2008년)
- 2월 28일 - 프랑스 최후의 사형집행인 마르셀 슈발리에. (~2008년)
- 3월 1일 - 대한민국의 군인 최영희. (~2006년)
- 3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해. (~2005년)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국악인 박귀희. (~1993년)
- 3월 25일 - 프랑스의 배우 시몬 시뇨레. (~1985년)
- 3월 27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모아시르 바르보자 나시멘투. (~2000년)
- 4월 30일 - 마카오의 여자 정치가 겸 외교관 장야오광. (~2012년)
- 5월 2일 - 인도의 영화 감독 사티야지트 레이. (~1992년)
- 5월 5일 - 대한민국의 목회자 문동환. (~2019년)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화가 이대원. (~2005년)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화가 임직순. (~1996년)
- 6월 8일 - 인도네시아의 군인, 정치인 수하르토. (~2008년)
- 6월 10일 - 영국의 왕족 에든버러 공작 필립. (~2021년)
- 6월 21일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동휘. (~2005년)
- 9월 9일 -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주교 지학순. (~1993년)
- 9월 30일 - 영국의 배우 데버러 카. (~2007년)
- 10월 4일 - 페루의 제51대 대통령 프란시스코 모랄레스 베르무데스. (~2022년)
- 10월 13일 - 프랑스의 배우 이브 몽탕. (~1991년)
- 10월 25일 - 루마니아의 미하이 1세. (~2017년)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격호. (~2020년)
- 11월 27일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황금심. (~2001년)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계훈제. (~1999년)
- 미상 - 대한민국의 가수 박단마. (~1992년)
사망[편집]
- 2월 26일 - 오스트리아와 폴란드의 경제학자 카를 멩거. (1840년~)
- 7월 13일 - 가브리엘 리프만, 프랑스의 물리학자. (1845년~)
- 10월 2일 - 뷔르템베르크의 빌헬름 2세,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4대 국왕. (1848년~)
- 10월 18일 -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 (1845년~)
- 12월 29일 - 헤르만 파울, 독일의 언어학자. (1846년~)
노벨상[편집]
- 문학상:
- 물리학상: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경인 | 대 | 2월 8일 | 임인 |
2월 | 신묘 | 소 | 3월 10일 | 임신 |
3월 | 임진 | 대 | 4월 8일 | 신축 |
4월 | 계사 | 소 | 5월 8일 | 신미 |
5월 | 갑오 | 소 | 6월 6일 | 경자 |
6월 | 을미 | 대 | 7월 5일 | 기사 |
7월 | 병신 | 소 | 8월 4일 | 기해 |
8월 | 정유 | 소 | 9월 2일 | 무진 |
9월 | 무술 | 대 | 10월 1일 | 정유 |
10월 | 기해 | 소 | 10월 31일 | 정묘 |
11월 | 경자 | 대 | 11월 29일 | 병신 |
12월 | 신축 | 대 | 12월 29일 | 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