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3일
2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4번째(윤년일 경우도 44번째) 날에 해당한다.
1월 - 2월 - 3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2월 13일 | |
2024년: 화요일 | 2023년: 월요일 |
2022년: 일요일 | 2021년: 토요일 |
2020년: 목요일 | 2019년: 수요일 |
2018년: 화요일 | 2017년: 월요일 |
2016년: 토요일 | 2015년: 금요일 |
2014년: 목요일 | 2013년: 수요일 |
2012년: 월요일 | 2011년: 일요일 |
2010년: 토요일 | 2009년: 금요일 |
2008년: 수요일 | 2007년: 화요일 |
2006년: 월요일 | 2005년: 일요일 |
2004년: 금요일 | 2003년: 목요일 |
2002년: 수요일 | 2001년: 화요일 |
2000년: 일요일 | 1999년: 토요일 |
1998년: 금요일 | 1997년: 목요일 |
1996년: 화요일 | 1995년: 월요일 |
1994년: 일요일 | 1993년: 토요일 |
1992년: 목요일 | 1991년: 수요일 |
사건[편집]
- 1689년 - 메리 2세, 영국 국왕이 즉위하다.
- 1895년 - 조선의 정치인 윤치호가 조선 최초로 자기 집 노비들을 풀어주었다.[1]
- 1898년 - 대한제국 고종이 경운궁 태극전을 중화전으로 개칭하다.
- 1945년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과 미국 공군이 독일 작센주 드레스덴을 폭격하여, 수만 명의 시민이 사망하다.
- 1946년 - 미군정기 한국의 CIC 서울지부(CIA 한국지부의 전신) 지부장으로 미국 육군 대위 스위프트가 서울특별자유시로 부임하였다.
- 1951년 - 지평리 전투가 시작됐다.
- 1960년 - 프랑스가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다.
- 1974년 -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 소비에트 연방에서 추방되다
- 1992년 - 몽골 인민 공화국이 해체되고 이원집정부제 구조의 몽골 공화국이 수립되다.
- 2019년 -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공식 국명이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되다.[2]
문화[편집]
- 1961년 - 한국에서 민족일보가 창간되다.
- 2015년 - 한국어 위키백과 30만 문서 달성 기념 모임이 강남 파이낸스 센터에서 열리다.
탄생[편집]
- 1457년 - 부르고뉴 여공 마리, 저지대 국가의 통치자.
- 1599년 - 교황 알렉산데르 7세, 237대 로마 교황.
- 1735년 - 조선 영조대왕의 세자 사도세자.
- 1805년 -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 1910년 - 미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쇼클리.
- 1918년 - 대한민국의 군인 송요찬.
- 1919년 - 미국의 가수 겸 배우 테네시 어니포드
- 1923년 - 미국의 군인 척 예거
- 1925년 - 대한민국의 시인 김규동
- 1933년 - 미국의 배우 킴 노백.
- 1940년 - 대한민국의 성우 정승현.
- 1958년 - 스웨덴의 배우 페르닐라 아우구스트.
- 1960년 - 이탈리아의 축구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 1970년
- 1972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상경.
- 1974년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로비 윌리엄스
- 1977년 - 대한민국의 배우, 희극인 정정아.
- 1979년
- 1980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우.
- 1981년
- 1985년
- 1987년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최슬기.
- 1990년
- 1991년
- 1992년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진용진.
- 1993년
- 1994년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멤피스 데파이.
- 1997년 - 대한민국의 유튜버 김블루.
- 2002년 - 미국의 배우 소피아 릴리스.
사망[편집]
- 1542년 - 캐서린 하워드, 헨리 8세의 5번째 왕비.
- 1571년 -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조각가, 화가, 음악가 벤베누토 첼리니.
- 1883년 -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
- 1967년 - 일본의 실업가 아이카와 요시스케.
- 2000년 - 대한민국의 포크 팝 가수 겸 대중음악 작곡가 이승희.
- 2004년 - 이츠케리아 체첸 공화국의 2대 대통령 젤림한 얀다르비예프.
- 2005년 - 파티마의 성모 발현의 목격자 루치아 도스 산토스 수녀.
- 2016년 - 미국의 대법관 안토닌 스칼리아.
- 2017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김정남.
- 2017년 - 일본의 영화감독 스즈키 세이준.
- 2018년 - 덴마크의 왕자 덴마크 여왕 부군 헨리크.
- 2021년 - 터키의 정치인 카디르 토프바시.
- 2021년 - 소련의 역도선수 유리 블라소프.
- 2022년 - 대한민국의 건축가 이수형.
- 2023년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김태업.
- 2023년 - 일본의 만화가 마츠모토 레이지.
- 2023년 - 파키스탄의 영화배우 지아 모헤딘.
기념일[편집]
- 세계 라디오의 날(World Radio Day): 2011년 유네스코 총회에서 교육, 표현의 자유, 공개 토론, 속보 전달 등의 매개체가 된 라디오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2월 13일을 '세계 라디오의 날'로 지정.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공덕귀, 나 그들과 함께 있었네, (여성신문사, 1994) 92
- ↑ 이창규 (2019년 2월 14일). “마케도니아, 드디어 국명 바뀌어…'북마케도니아공화국'”. 뉴스1. 2019년 2월 15일에 확인함.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