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해 1959년 1960년 1961년 - 1962년 - 1963년 1964년 1965년 |
연대 1940년대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198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기년법으로 서력기원(西曆紀元, AD)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한 첫해에 해당한다. 그레고리력(양력)을 도입한 시기는 1896년이었으나 서력기원을 사용하지 않다가 미군정 3년간 사용하던 서력기원을 다시 사용하여 년도를 표기하기 시작하였다.
사건[편집]
- 1월 1일 -
- 2월 - 동화약방이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 3월 22일 - 대한불교 조계종 종헌 제정
- 3월 26일 - 대한항공공사 창립.
- 5월 30일~6월 17일 - 칠레에서 1962년 FIFA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 7월 5일 - 알제리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다.
- 7월 10일 - 미국이 텔스타 1호를 이용하여 첫 텔레비전 위성 방송을 실시하다.
- 8월 6일 - 자메이카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다.
- 8월 11일 - 소비에트 연방이 유인 우주선 보스토크 3호 발사.
- 8월 16일 - 비틀즈의 드럼 연주자 피트 베스트가 탈퇴하고 링고 스타가 합류하다.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장면(張勉) 총리가 반혁명음모 관련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다.
- 8월 30일 - 대한민국이 엘살바도르와 수교.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사상계 발행인 장준하, 막사이사이상 수상.
- 8월 31일 - 트리니다드토바고가 독립.
- 9월 4일 - 대한민국 증권시장 개장.
- 9월 11일 - 대한민국과 코스타리카와 수교.
- 9월 18일 - 르완다, 부룬디, 트리니다드 토바고, 자메이카가 유엔에 가입하다.
- 9월 25일 - 알제리 민주 인민 공화국 선포.
- 9월 26일 - 일본 후쿠에시에서 화재가 발생.
- 9월 30일 - 대한민국이 파나마와 수교.
- 10월 5일 - 대한민국과 에콰도르, 수교하다.
- 10월 8일 - 알제리 유엔 가입.
- 10월 9일 - 우간다가 독립하다.
- 10월 11일 - 교황 요한 23세가 2차 바티칸공의회 소집.
- 10월 1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 국경에 관한 조중 변계 조약 체결.
- 10월 13일 - 한국신문발행인협회(현 한국신문협회) 창립.(초대 이사장 이준구)
- 10월 14일 - 쿠바 미사일 위기: U-2 정찰기가 쿠바 상공을 정찰하여 소련의 미사일 기지를 찾아내다.
- 10월 22일 - 쿠바 미사일 위기 발발.
- 10월 25일 - 우간다 유엔 가입
- 11월 2일 - 흐루쇼프의 철수로 쿠바 미사일 위기 종식.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에서 마포아파트가 준공되었다.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강원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 12월 17일 -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헌법 제6호로의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 12월 26일 - 대한민국 헌법 제6호를 공포하였다.
- 12월 27일 - 대한민국 헌법 제6호가 시행되었다.
문화[편집]
- 1월 15일 - KBS TV(현 KBS 1TV)가 1일 4시간 30분에 정규방송을 실시를 하다.
- 3월 21일 - TV중계방송 개시 및 명동 국립극장을 개관식을 하다.
- 5월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설립하다.
탄생[편집]
1월[편집]
- 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일범.
- 1월 2일 - 대한민국의 육상선수 장재근.
- 1월 4일 - 미국의 소설가 할런 코벤.
- 1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박흥식.
- 1월 6일
- 1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두겸.
- 1월 10일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축구인 정몽규.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숙.
- 1월 17일 - 캐나다의 희극인 짐 캐리.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광정. (~2008년)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홍순호. (~2022년)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광근.
- 1월 26일
- 1월 27일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의 범인 김현희.
- 1월 28일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전인석.
2월[편집]
- 2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석기.
- 2월 5일
- 2월 6일-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액슬 로즈.
- 2월 7일 - 아르헨티나의 테너 가수 마르첼로 알바레스.
- 2월 8일 - 영국의 기업인 대니얼 레비.
- 2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홍파.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영재.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태흠.
- 2월 17일 - 미국의 배우 루 다이아몬드 필립스.
- 2월 19일
- 2월 20일
- 2월 21일 - 미국의 기업인 랜디 러너.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지미애.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철수.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최교일.
3월[편집]
- 3월 1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진수.
- 3월 2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존 본 조비(본 조비).
- 3월 10일
- 3월 12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안드레아스 쾨프케.
- 3월 15일
- 3월 21일 - 미국의 배우 매슈 브로더릭.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유영미.
- 3월 24일 - 미국의 프로레슬러 디 언더테이커.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정서임.
- 3월 30일
- 3월 31일 - 체코의 작가, 출판인 미할 비벡.
4월[편집]
- 4월 5일
- 4월 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서혜정.
- 4월 16일 - 미국의 정치인 앤터니 블링컨.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해경.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이상군.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식.
5월[편집]
- 5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수.
- 5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선수, 현 야구감독 김성갑.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광필.
- 5월 15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모토니시 아쓰히로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최양락.
- 5월 31일 - 일본의 성우 히다카 노리코.
6월[편집]
- 6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청.
- 6월 6일
- 6월 7일 - 미국의 배우 랜스 레딕. (~2023년)
- 6월 10일 - 미국의 배우 지나 거숀.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경표. (~2023년)
- 6월 21일
- 6월 22일 - 홍콩의 배우, 영화감독 주성치.
- 6월 27일 - 홍콩의 배우, 가수 양조위.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서예가 신승원.
7월[편집]
- 7월 3일 - 미국의 영화 배우 톰 크루즈.
- 7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홍진희.
- 7월 9일 - 미국의 금융인, 범죄자 조던 벨퍼트.
- 7월 13일 - 미국의 성우 톰 케니.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문숙.
- 7월 19일 - 미국의 배우 앤서니 에드워즈.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선우재덕.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정수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훈기 (~2009년)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함수정.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준금.
- 7월 30일 - 세르비아의 축구선수 네보이샤 부치체비치. (~2022년)
- 7월 31일
8월[편집]
- 8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수경.
- 8월 4일 - 체코의 작가 야힘 토폴.
- 8월 6일 - 말레이시아의 배우 양자경.
- 8월 10일
- 8월 16일 - 미국의 희극인, 배우 스티브 커렐.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병호.
- 8월 28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데이비드 핀처.
9월[편집]
- 9월 2일 - 일본의 전 야구감독 와다 유타카.
- 9월 4일
- 9월 8일 - 독일의 배우 토마스 크레치만.
- 9월 11일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성윤.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서기철.
- 9월 17일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태술.
- 9월 23일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성준.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병세.
- 9월 30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프랑크 레이카르트.
10월[편집]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유미.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 정관용.
- 10월 11일 - 미국의 배우 조앤 큐잭.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재범.
- 10월 16일 - 러시아의 바리톤 가수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2017년)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톨릭 사제 이태석. (~2010년)
- 10월 21일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최형두.
- 10월 26일 - 한국의 야구인 박노준.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강재형.
11월[편집]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태형.
- 11월 9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세르히오 바티스타.
- 11월 11일
- 11월 13일 - 일본의 소설가 야마모토 후미오. (~2021년)
- 11월 14일
- 11월 19일
- 11월 20일 - 중국의 가수, 영부인 펑리위안.
-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가수 조수미.
- 11월 23일 - 베네수엘라의 대통령 니콜라스 마두로.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김회재.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강제규.
- 11월 28일 - 홍콩의 영화 감독 천커신.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현미.
12월[편집]
- 12월 1일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경협.
- 12월 4일 러시아의 전 비밀요원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 (~2006년)
- 12월 5일 - 아르헨티나의 테너 가수 호세 쿠라.
- 12월 9일 - 미국의 배우 펄리시티 허프먼.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서정희.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여성청년사회운동가 겸 의회정치가 이경옥.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현숙.
- 12월 22일 - 영국의 배우 레이프 파인스.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홍수.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미숙.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수종.
사망[편집]



- 1월 24일 - 원불교 2대 종법사 정산 송규종사. (1900년~)
- 1월 29일 -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프리츠 크라이슬러. (1875년~)
- 2월 5일 - 프랑스의 작곡가 자크 이베르. (1890년~)
- 5월 10일 - 한국의 독립운동가 김창숙. (1879년~)
- 8월 5일 - 미국의 배우 마릴린 먼로. (1926년~)
- 8월 9일 - 독일 출신의 스위스 소설가 헤르만 헤세. (1877년~)
- 8월 26일 - 캐나다의 탐험가 빌햐울뮈르 스테파운손. (1879년~)
- 11월 28일 - 네덜란드의 여왕 빌헬미나. (1890년~)
노벨상[편집]
- 문학상: 존 스타인벡
- 물리학상: 레프 다비도비치 란다우
- 생리학 및 의학상: 프랜시스 크릭, 제임스 D. 왓슨, 모리스 윌킨스.
- 평화상: 라이너스 폴링
- 화학상: 맥스 퍼루츠, 존 켄드루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임인 | 소 | 2월 5일 | 갑술 |
2월 | 계묘 | 대 | 3월 6일 | 계묘 |
3월 | 갑진 | 소 | 4월 5일 | 계유 |
4월 | 을사 | 소 | 5월 4일 | 임인 |
5월 | 병오 | 대 | 6월 2일 | 신미 |
6월 | 정미 | 소 | 7월 2일 | 신축 |
7월 | 무신 | 대 | 7월 31일 | 경오 |
8월 | 기유 | 대 | 8월 30일 | 경자 |
9월 | 경술 | 소 | 9월 29일 | 경오 |
10월 | 신해 | 대 | 10월 28일 | 기해 |
11월 | 임자 | 대 | 11월 27일 | 기사 |
12월 | 계축 | 소 | 12월 27일 | 기해 |
각주[편집]
- ↑ [네이버 지식백과] 단군기원 [檀君紀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1961년 12월 2일부 법률 제775호 「연호에 관한 법률」에서 “대한민국의 공용연호는 서력기원으로 한다.”고 하고, 다시 그 부칙에서 “본 법은 서기 1962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법률 제4호에 관한 법률은 이를 폐지한다. 본 법 시행 당시의 공문서 중 단기로 표시된 연대는 당해 연대에서 2,333년을 감하여 이를 서력연대로 간주한다.”고 법제화함으로써 단군기원은 폐지되고 서력기원이 채택되었다.
- ↑ [네이버 지식백과] 단군기원 [檀君紀元]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1948년 대한민국(大韓民國) 정부의 수립과 동시에 모든 공문서(公文書)에 단군기원을 사용하기로 하여 10여 년간 시행해오다가 1961년 5 ·16군사정변 후 정부가 폐기하였고, 그 뒤부터 서력기원을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