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9일
9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2번째(윤년일 경우 253번째) 날에 해당한다.
8월 - 9월 - 10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9월 9일 | |
2024년: 월요일 | 2023년: 토요일 |
2022년: 금요일 | 2021년: 목요일 |
2020년: 수요일 | 2019년: 월요일 |
2018년: 일요일 | 2017년: 토요일 |
2016년: 금요일 | 2015년: 수요일 |
2014년: 화요일 | 2013년: 월요일 |
2012년: 일요일 | 2011년: 금요일 |
2010년: 목요일 | 2009년: 수요일 |
2008년: 화요일 | 2007년: 일요일 |
2006년: 토요일 | 2005년: 금요일 |
2004년: 목요일 | 2003년: 화요일 |
2002년: 월요일 | 2001년: 일요일 |
2000년: 토요일 | 1999년: 목요일 |
1998년: 수요일 | 1997년: 화요일 |
1996년: 월요일 | 1995년: 토요일 |
1994년: 금요일 | 1993년: 목요일 |
1992년: 수요일 | 1991년: 월요일 |
사건[편집]
- 337년 -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스가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이어 공동 황제가 됨으로써 로마 제국이 세 명의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분열되다.
- 1850년 - 캘리포니아주가 미합중국의 31번째 주로 연방에 가입.
- 1907년 -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 통상어업조약 조인.
- 1920년 - 일제강점기: 북간도에 있던 서로군정서 사관양성소, 사관 298명 배출.
- 1922년 - 일제강점기: 태극단 결사대, 일본 경찰과 교전.
- 1944년 -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 임시정부수립, 수상에 샤를 드골.
- 1945년 - 일제강점기: 일본 조선총독부, 미군에 정식항복.
- 1948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수상 김일성, 부수상 박헌영, 김책, 홍명희.
- 1955년 - 소비에트 연방과 독일, 모스크바에서 정상회담 개최, 9월 13일에 양국 국교 수립 선언.
- 1965년 -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성립을 선언.
- 1985년 - 대한민국 국가안전기획부, 구미 유학생 학원 침투 간첩단 검거 발표.
- 1986년 - 일본의 문부대신 후지오 마사유키가 "한일합방은 양국의 합의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본뿐 아니라 한국에도 책임이 있다”라고 발언하여 장관직에서 파면됨.
- 1991년 - 이라크, 유엔에 무기공장 사찰 수용.
- 2014년 -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1주일째 계속된 폭우로 인하여 400여 명이 사망하고, 40만 명이 고립되었다.
- 2016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5차 핵실험을 실시하다.
문화[편집]
- 1831년 - 천주교 조선대목구 설립.
- 1945년 - 조선방송협회, 'KBS'라고 명칭 변경하다.
- 1955년 - 대한민국, 국제도서관협회에 가입.
- 1957년 - 미국, 흑인투표권 보장.
- 1968년 -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서울 개막.
- 1972년 - 침술을 이용한 마취수술법이 대한민국에서는 처음 성공.
- 1983년 - 대한민국, 고리 원전3호기 준공.
- 1987년 - 배우 강수연, 《씨받이》로 44회 베니스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 1996년 - 대구가톨릭평화방송 FM 라디오 방송 개국.
- 1997년 - KNN 파워FM 개국.
- 2000년 - 대중 음악인 서태지, 서울 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에서 컴백 공연.
- 2007년 - 자메이카의 육상 단거리 선수 아사파 포웰이 이탈리아에서 열린 IAAF 그랑프리 남자 100 미터 부문에서 9.74초를 기록하며 새로운 세계 기록을 수립하였다.
- 2016년
- 2019년 - 대한민국의 신안산선 철도 착공
탄생[편집]
- 1466년 - 일본 무로마치 막부 제10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네. (~1523년)
- 1653년 - 조선 후기의 무신 이태망. (~1728년)
- 1824년 -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안톤 브루크너. (~1896년)
- 1828년 - 러시아의 소설가 레프 톨스토이. (~1910년)
- 1890년 - 미국의 KFC 창시자 커널 샌더스. (~1980년)
- 1900년 - 영국의 소설가 제임스 힐턴. (`1954년)
- 1909년 - 독일의 단거리 육상 선수 아르투어 요나트. (~1963년)
- 1921년 -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주교 지학순. (~1993년)
- 1925년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학자 김영관. (~2021년)
- 1941년 - 미국의 전산학자 데니스 리치. (~2011년)
- 1953년
- 러시아의 기업인 알리셰르 우스마노프.
- 1956년 - 대한민국의 기업인 서유열.
- 1960년
- 1966년 - 미국의 배우 애덤 샌들러.
- 1968년
- 1969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진아.
- 1972년
- 1973년 - 대한민국의 배우 하다솜.
- 1974년 - 브라질의 가수, 작곡가, 기타리스트 아나 카롤리나.
- 1976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정상훈.
- 1980년 - 미국의 배우 미셸 윌리엄스
- 1981년
- 1982년 - 일본의 가수 오쓰카 아이.
- 1983년
- 1984년 - 미국의 야구 선수 브렛 필.
- 1985년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루카 모드리치.
- 1987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일우.
- 1988년 - 일본의 배우 나카무라 시즈카.
- 1989년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최별하.
- 1991년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오스카르 두스 산투스 임보아바 주니오르.
- 중국의 배우 양양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장혜선.
- 1993년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소영.
- 1994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준석.
- 1995년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류아.
- 1996년 - 대한민국의 가수 유희.
- 1997년 - 대한민국의 가수 유빈(오마이걸).
- 1998년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최민정.
- 1999년
- 2000년
- 2002년 - 대한민국의 가수 손동표 (X1)
사망[편집]
- 1000년 - 노르웨이의 국왕 올라프 1세. (960년대~)
- 1087년 - 노르만 왕조의 시조, 잉글랜드의 국왕 윌리엄 1세. (1028년~)
- 1191년 - 보헤미아의 공작 콘라트 2세. (1136년~)
- 1706년 - 프랑스 원수 페르디낭 드 마르생. (1656년~)
- 1860년 -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1788년~)
- 1901년 - 프랑스의 화가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1864년~)
- 1941년 - 독일의 정치인, 기업인 카를 프리드리히 폰 지멘스. (1872년~)
- 1945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차이석. (1881년~)
- 1976년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마오쩌둥. (1893년~)
- 2003년 - 미국의 원자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 (1908년~)
- 2019년 - 미국의 사진가 로버트 프랭크. (1924년~)
- 2022년 - 미국의 영화배우, 각본가 마크 밀러. (1924년~)
- 2022년 - 미국의 영화배우 잭 깅. (1931년~)
기념일[편집]
- 장기 기증의 날
- 귀의 날: 대한민국
- 국화의 날: 일본
- 인민정권 창건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