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9일
9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2번째(윤년일 경우 273번째) 날에 해당한다.
8월 - 9월 - 10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9월 29일 | |
2024년: 일요일 | 2023년: 금요일 |
2022년: 목요일 | 2021년: 수요일 |
2020년: 화요일 | 2019년: 일요일 |
2018년: 토요일 | 2017년: 금요일 |
2016년: 목요일 | 2015년: 화요일 |
2014년: 월요일 | 2013년: 일요일 |
2012년: 토요일 | 2011년: 목요일 |
2010년: 수요일 | 2009년: 화요일 |
2008년: 월요일 | 2007년: 토요일 |
2006년: 금요일 | 2005년: 목요일 |
2004년: 수요일 | 2003년: 월요일 |
2002년: 일요일 | 2001년: 토요일 |
2000년: 금요일 | 1999년: 수요일 |
1998년: 화요일 | 1997년: 월요일 |
1996년: 일요일 | 1995년: 금요일 |
1994년: 목요일 | 1993년: 수요일 |
1992년: 화요일 | 1991년: 일요일 |
사건[편집]
- 기원전 61년 -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가 동방에서의 승리를 기념하는 개선식을 벌이다.
- 1890년 - 영국 성공회 소속 찰스 존 코르프(한국명:고요한) 주교가 조선 선교를 목적으로 인천항으로 입국
- 1938년 - 독일·이탈리아·영국·프랑스 등 유럽 4개국 정부수반, 체코슬로바키아 문제로 뮌헨 회담 개최.
- 1956년 - 한국 전쟁 참전 16개국 휴전감시위원단 한반도 철수 결정.
- 1970년 - 오적 필화 사건 발생. 대한민국 문화공보부가 김지하의 담시 `오적'(五賊) 게재를 문제삼아 월간지 `사상계'(思想界) 등록 취소한 사건.
- 1970년 - 대한민국, 신민당, 전당대회서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출.
- 1972년 - 일본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국교를 재개하기 위해 중국측과 회담을 가진 뒤 중일공동성명을 조인,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
- 1980년 - 대한민국 정부, 제5공화국 헌법개정안(제8차 개헌안) 공고.
- 1984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적십자사, 판문점 통해 대한민국에 수재 구호물품 전달.
- 1987년 - 통일민주당 김영삼 총재와 김대중 고문, 대통령후보 단일화회담 결렬.
- 1990년 - 장충식·김형진 남북체육회담 수석대표, 평양(10.11)과 서울(10.23)에서 남북통일축구경기대회 개최 방침 발표.
- 1999년 - 미국 AP통신,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의 노근리 양민 학살사건 첫 보도 예고. 실제 보도는 30일 오전 2시(한국시간).
- 2003년 - 노무현 대통령 민주당 탈당 공식 선언.
- 2015년 - NASA가 화성에서 액체 상태의 물을 발견하였다고 발표.
- 2016년 - 서든어택2 서비스 종료
문화[편집]
- 1935년 - 조선육상경기협회, 제1회 전조선육상선수권대회 개최
- 1946년 - 조선대학교 개교.
- 1984년 - 서울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 개장.
- 1987년 - 대한민국 국내전화 1천만회선 돌파.
- 1988년 - 대한민국 여자핸드볼, 올림픽 구기사상 첫 금메달.
- 1999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마라톤 선수 정성옥, 스페인 세비야서 열린 7회 세계육상선수권대회서 우승.
- 2002년 - 제14회 부산 아시안 게임 개막.
- 2003년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을 16-0으로 꺾었다. 이것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최다 점수차 승리와 동시에,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의 최다 점수차 패배이기도 하다.
- 2014년 -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 구간(상일동역 ~ 하남시 창우동)이 착공되었다.
탄생[편집]
- 기원전 106년 - 로마 공화국의 정치가이자 군인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기원전 48년)
- 1511년 - 에스파냐의 의학자이자 신학자 미카엘 세르베투스. (~1553년)
- 1547년 - 스페인의 작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 (~1646년)
- 1758년 - 영국의 해군 제독 허레이시오 넬슨. (~1805년)
- 1898년 - 러시아 생물학자 트롬핀 리센코. (~1976년)
- 1901년 - 이탈리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엔리코 페르미. (~1954년)
- 1901년 - 중화민국의 학자 장치윈. (~1985년)
- 1912년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2007년)
- 1933년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덕주. (~2023년)
- 1934년 - 미국의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2021년)
- 1936년 - 이탈리아의 정치인,총리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 1943년 - 폴란드의 노동 운동가,정치인,대통령 레흐 바웬사.
- 1953년 - 대한민국의 희극배우 문영미.
- 1961년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방송인 정재환.
- 1967년
- 1970년
- 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 타지리 요시히로.
- 덴마크의 영화감독 니콜라스 빈딩 레픈.
- 1976년 -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 안드리 셰브첸코.
- 1983년 - 대한민국의 배우 윤승아.
- 1985년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홍자.
- 1987년 - 대한민국의 배우 차수민.
- 1989년 - 일본의 성우 후루카와 마코토.
- 1990년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사라 비외르크 귄나르스도티르.
- 1991년 - 영국의 태권도 선수 비앙카 워크든.
- 1992년
- 1993년 - 대한민국의 가수 홍빈 (빅스).
- 1994년 - 미국의 가수 할시.
- 1996년 - 대한민국의 가수 코아 화이트.
- 1997년 - 대한민국의 가수 송하영 (fromis_9).
- 1999년 - 대한민국의 가수 최예나 (아이즈원)
사망[편집]
- 1560년 -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1세 바사.
- 1902년 - 프랑스의 소설가·비평가 에밀 졸라.
- 1913년 - 독일의 기계 기술자 루돌프 디젤.
- 1917년 - 프랑스의 화가, 조각가 에드가르 드가.
- 1950년 - 대한민국의 시인 김영랑.
- 2010년 - 미국의 배우 토니 커티스.
- 2018년 - 미국의 블루스 기타리스트 겸 싱어송라이터 오티스 러시.
- 2020년 - 쿠웨이트의 국왕 사바 아흐마드 알자비르 알사바.
- 2020년 -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 헬렌 레디.
- 2020년 - 미국의 성소수자 티모시 레이 브라운.
- 2020년 - 미국의 영화배우 맥 데이비스.
- 2021년 - 아르메니아의 가수 하이코.
- 2022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고재일.
- 2022년 - 미국의 야구선수 엑토르 로페스.
- 2022년 - 네덜란드의 축구선수 로프 란스베르헌.
- 2022년 - 프랑스의 고고학자, 역사가 폴 벤.
기념일[편집]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