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6년
해 1953년 1954년 1955년 - 1956년 - 1957년 1958년 1959년 |
연대 1930년대 1940년대 - 1950년대 - 1960년대 197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5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사건[편집]
- 2월 11일 - 아관파천 60주년.
- 3월 1일 - 동독 인민군이 창설되다.
- 3월 2일 - 모로코가 프랑스와 에스파냐로부터 독립하다.
- 3월 20일 - 튀니지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다.
- 4월 28일 - 조선로동당 제3차당대회.
8월 15일-이승만 3대 대통령 임기 시작
- 9월 7일 - 제네바에서 노예제도 폐지를 위한 국제조약 조인
- 9월 28일 - 장면 부통령, 민주당 전당대회서 김상봉에게 피격되어 경상을 입음.
- 9월 29일 - 한국전쟁 참전 16개국 휴전감시위원단 한반도 철수 결정.
- 10월 6일 - 대한민국과 미국, 한미우호통상조약 체결.
- 10월 23일 - 헝가리에서 스탈린주의에 반대하는 유럽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남.
- 10월 29일 - 수에즈 전쟁이 터지다.
- 11월 6일 -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에 재선.
- 11월 12일 - 모로코, 수단, 튀니지 유엔 가입.
- 12월 18일 - 일본, 유엔 가입.
- 국제 형사 경찰 기구의 설립.
문화[편집]
- 5월 8일 - 대한민국 국회에서 어머니날이 제정되었다.
- 5월 12일 - 대한민국 최초의 TV 방송국 대한방송 개국.
- 8월 5일 - 대한민국 제 2대 지방의회(시.읍.면 의회) 의원 선거.
- 9월 5일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회, 첫 개회.
- 9월 14일 - 대한민국 국무회의, 1950년 육군 3사단이 최초로 38선을 넘어 북진한 날인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제정.
- 11월 22일 -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1956년 하계 올림픽이 개막하였다. (~ 12월 8일)
- 12월 23일 - 대한민국 극동방송 개국.
- 미국 메이저 리그 월드시리즈에서 돈 라슨이 전설적인 퍼펙트 게임을 달성함.
탄생[편집]
1월[편집]
- 1월 1일 - 일본의 배우 야쿠쇼 코지.
- 1월 3일 -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미국 배우 멜 깁슨.
- 1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평론가 강준만.
- 1월 7일 - 미국 배우 데이비드 카루소.
- 1월 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유해무.
- 1월 9일 - 영국의 배우 이멜다 스탠턴.
- 1월 10일 - 17, 18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명규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 대전광역시장 권선택.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연극연출가 윤석화.
- 1월 21일 - 미국의 배우 지나 데이비스.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곽대홍.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지인.
2월[편집]
- 2월 3일
- 2월 4일 - 대한민국 강원도지사 최문순.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인숙. (~2015년)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용수.
- 2월 20일 - 대한민국 사회운동가 성교육 강사 구성애.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현. (~1990년)
- 2월 23일 - 일본의 가수 노구치 고로.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정식.
- 2월 26일
- 2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정영기.
3월[편집]
- 3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종준.
-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 3월 7일 - 미국의 배우 브라이언 크랜스턴.
- 3월 12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핌 페르베이크. (~2019년)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배우 김익태.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서세원. (~2023년)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기춘.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종교인 전광훈.
4월[편집]
- 4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손상득.
- 4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순동운.
- 4월 10일
- 4월 12일 - 미국의 배우 앤디 가르시아.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규점.
- 4월 14일 - 미국의 소프라노 가수 바바라 보니.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갑수.
- 4월 30일 - 덴마크의 영화감독 라르스 폰 트리어.
5월[편집]
- 5월 1일 - 미국의 만화가 팀 세일. (~2022년)
- 5월 2일 - 일본의 방송 작가 아키모토 야스시.
- 5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현숙희.
- 5월 9일 - 미국의 배우 웬디 크루슨.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용달.
- 5월 12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클라우스 알로프스.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기용.
- 5월 17일
- 5월 27일 -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주세페 토르나토레.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現 경기도 의정부시장 안병용.
6월[편집]
- 6월 6일 - 대한민국의 성우 한수경.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은아.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동근.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최순실.
- 6월 25일 - 한국의 성우 최성우.
- 6월 27일 - 일본의 야구 선수 니시모토 다카시.
7월[편집]
- 7월 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영만.
- 7월 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안경진.
- 7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
- 7월 9일 - 미국의 영화배우 톰 행크스.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영화.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직 아나운서, 방송인 손석희.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원종례.
- 7월 31일 - 미국의 배우 마이클 빈.
8월[편집]
- 8월 2일 - 18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종혁 (부산 부산진구 을).
- 8월 5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진성.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권투 선수 김득구 (~1982년).
- 8월 11일 - 프랑스의 수학자, 필즈상 수상자 피에르루이 리옹.
- 8월 13일 - 영국의 기업인 제러미 피스.
- 8월 20일 - 미국의 배우 조앤 앨런.
- 8월 31일
9월[편집]
- 9월 2일
- 9월 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서유열.
- 9월 10일
- 9월 12일 - 홍콩의 영화 배우 장국영. (~2003년)
- 9월 23일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이하원. (~2016년)
- 9월 26일 - 미국의 배우 린다 해밀턴.
10월[편집]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경진.
- 10월 4일 - 오스트리아의 배우 크리스토프 발츠.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조희연.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송재박.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배국환.
- 10월 20일
- 10월 21일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성용.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민호.
11월[편집]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동섭.
- 11월 8일 - 영국의 영화감독 리처드 커티스.
- 11월 10일
- 11월 22일 - 포르투갈의 축구선수 페르난두 고메스. (~2022년)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요리연구가 이혜정.
12월[편집]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태희.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국악음악가 정은하. (~2023년)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덕현.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심화진.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승호.
- 12월 29일
사망[편집]
- 1월 7일 -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송종익. (1887년~)
- 3월 20일 - 한국의 모더니즘 시인 박인환. (1926년~)
- 5월 5일 - 한국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해공 신익희. (1892년~)
- 5월 29일 - 독일의 지휘자 헤르만 아벤트로트. (1883년~)
- 8월 11일 - 미국의 추상주의 화가 잭슨 폴록. (1912년~)
- 8월 24일 - 일본의 영화감독 미조구치 겐지. (1898년~)
- 9월 6일 - 한국의 화가 이중섭. (1916년~)
- 12월 26일 - 한국의 교육인 김도태. (1891년~)
노벨상[편집]
- 문학상: 후안 라몬 히메네스
- 물리학상: 존 바딘, 월터 하우저 브래튼, 윌리엄 쇼클리
- 생리 의학상: 앙드레 프레데리크 쿠르낭, 베르너 포르스만, 디킨슨 W. 리처즈
- 화학상: 시릴 노먼 힌셜우드, 니콜라이 세묘노프
- 평화상: 수상자 없음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경인 | 소 | 2월 12일 | 기유 |
2월 | 신묘 | 대 | 3월 12일 | 무인 |
3월 | 임진 | 소 | 4월 11일 | 무신 |
4월 | 계사 | 대 | 5월 10일 | 정축 |
5월 | 갑오 | 소 | 6월 9일 | 정미 |
6월 | 을미 | 소 | 7월 8일 | 병자 |
7월 | 병신 | 대 | 8월 6일 | 을사 |
8월 | 정유 | 소 | 9월 5일 | 을해 |
9월 | 무술 | 대 | 10월 4일 | 갑진 |
10월 | 기해 | 소 | 11월 3일 | 갑술 |
11월 | 경자 | 대 | 12월 2일 | 계묘 |
12월 | 신축 | 대 | 1957년 1월 1일 | 계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