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4일
6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5번째(윤년일 경우 166번째) 날에 해당한다.
5월 - 6월 - 7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6월 14일 | |
2024년: 금요일 | 2023년: 수요일 |
2022년: 화요일 | 2021년: 월요일 |
2020년: 일요일 | 2019년: 금요일 |
2018년: 목요일 | 2017년: 수요일 |
2016년: 화요일 | 2015년: 일요일 |
2014년: 토요일 | 2013년: 금요일 |
2012년: 목요일 | 2011년: 화요일 |
2010년: 월요일 | 2009년: 일요일 |
2008년: 토요일 | 2007년: 목요일 |
2006년: 수요일 | 2005년: 화요일 |
2004년: 월요일 | 2003년: 토요일 |
2002년: 금요일 | 2001년: 목요일 |
2000년: 수요일 | 1999년: 월요일 |
1998년: 일요일 | 1997년: 토요일 |
1996년: 금요일 | 1995년: 수요일 |
1994년: 화요일 | 1993년: 월요일 |
1992년: 일요일 | 1991년: 금요일 |
사건[편집]
- 1800년 - 마렝고 전투-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다.
- 1907년 - 노르웨이가 여성의 참정권을 인정하다.
- 1909년 - 소네 아라스케가 제2대 조선통감에 취임했다.
- 1950년 - 대한민국 유네스코 가입.
- 1951년 - 미국 인구 통계청에 UNIVAC I 도입.
- 1982년 - 포클랜드 전쟁이 끝나다.
- 1993년 - 서울특별시에서 한강 영화촬영 헬기 추락 사고 발생
- 2013년 - 하산 로하니가 이란의 대통령으로 선출되다.
- 2017년 - 영국 런던의 24층 임대아파트 그렌펠 타워 화재 참사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다.
문화[편집]
- 2002년 - 대한민국이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D조 1위를 차지해 월드컵 출전 48년 만에 처음으로 16강 진출.
- 2009년 -
- 2010년 -
- 2013년 - 한국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의 이승엽이 NC 다이노스와의 경기에서 350호 만루홈런을 날렸다.
탄생[편집]
- 1602년 - 이탈리아 출신의 추기경, 정치가 쥘 마자랭.
- 1736년 - 프랑스의 과학자 샤를 드 쿨롱.
- 1770년 - 조선의 문신, 시인, 외교관 이현상.
- 1811년 - 미국의 작가 해리엇 비처 스토.
- 1868년 - 오스트리아의 생화학자 카를 란트슈타이너.
- 1894년 - 룩셈부르크 여대공 마리아델라이드.
- 1899년 - 일본의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
- 1903년 - 미국 수학자 알론조 처치.
- 1908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지태.
- 1917년 - 노르웨이의 수학자 아틀레 셀베르그.
- 1928년 - 쿠바 혁명가 체 게바라.
- 1936년 - 대한민국의 정치가 권정달.
- 1943년 - 대한민국의 성우,배우 조명남.
- 1946년 - 미국 제45대 대통령, 전 부동산업자 도널드 트럼프.
- 1947년 - 대한민국의 배우 홍순창.
- 1948년 - 대한민국의 동양철학자 김용옥.
- 1958년 - 독일의 총리 올라프 숄츠.
- 1961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정보석.
- 1965년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윤상철.
- 1968년 - 대한민국의 골프인 최경주.
- 1969년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김현철.
- 1970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나운 .
- 1971년 - 일본의 야구 선수 마에다 도모노리.
- 1972년 - 대한민국의 배우 장진영.
- 1977년 - 대한민국의 만화원작가, 소설가 임달영.
- 1981년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박은태.
- 1983년 - 프랑스의 배우 루이 가렐.
- 1984년
- 1989년 - 미국의 배우, 가수 루시 헤일.
- 1991년 - 대한민국의 배우 송다은.
- 1994년 - 대한민국의 가수 태일 (NCT).
- 1999년 - 중화민국의 가수 쯔위 (트와이스).
- 2003년 - 걸그룹 스테이씨의 멤버 세은.
사망[편집]
- 918년 - 후고구려의 군주 궁예.
- 1692년 - 조선의 소설가 김만중.
- 1800년 - 프랑스의 장군 루이 드제.
- 1920년 - 독일의 사회경제학자 막스 베버.
- 1944년 - 나치 독일의 군인 프리츠 비트.
- 1946년 - 영국의 TV 발명가 존 로지 베어드.
- 1967년 - 미국의 체육인 에디 이건.
- 1986년 - 아르헨티나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1986년 - 대한민국의 건축가 김수근.
- 1991년 - 영국의 배우 페기 애시크로프트.
- 1995년 - 미국의 환상소설가·과학소설가 로저 젤라즈니.
- 1996년 - 미국의 재즈 가수 엘라 피츠제럴드.
- 2007년 - 유엔의 제4대 사무총장이자 오스트리아의 제9대 대통령 쿠르트 발트하임.
- 2015년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 차오스.
- 2020년 - 인도의 영화배우 수샨트 싱 라즈풋.
- 2021년 - 니카라과의 제53대 대통령 엔리케 볼라뇨스.
기념일[편집]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네이버 지식백과] 국기 (미국의 정부와 정치, 2004., 미국 국무부 | 주한 미국대사관 공보과)....성조기는 1777년 6월 14일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제2차 대륙회의에서 결의안 채택의 결과에서 유래한다. 결의안 내용: “미합중국 국기에는 적색과 백색의 13줄을 번갈아 두고, 합중국은 13개의 별로서 청색 바탕에 백색으로 새로운 집합체를 대표할 것으로 결의함.”뉴욕 시는 헌법비준과 함께 미국의 첫 수도가 되었다. 조지 워싱턴은 유서 깊은 시청 발코니에서 선서를 하고 미국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