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
해 1917년 1918년 1919년 - 1920년 - 1921년 1922년 1923년 |
연대 1900년대 1910년대 - 1920년대 - 1930년대 194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연호[편집]
기년[편집]
사건[편집]
- 1월 24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가 포고 제1호를 발표해 전 국민에게 독립전쟁에 참가할 것을 호소하였다.
- 2월 2일 - 히바의 칸인 사이드 압둘라가 폐위됨
- 2월 5일 - 게이오기주구 대학 및 와세대대학교 설립을 일본 문부성이 인정 최초 사립대학으로 등록함
- 2월 20일 - 노백린 등이 캘리포니아주에 한인 비행사 양성소를 설립하였다.
- 3월 1일 - 서울, 평양, 선천, 황주 등지에서 독립 만세운동이 펼쳐졌다.
- 3월 5일 - 조선일보 창간.
- 3월 10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지방선전대를 조직하였다.
- 3월 12일 - 니콜라옙스크 사건으로 대한 독립군과 소련군은 일본 제국군을 전멸시켰다.[1][2]
- 4월 1일 - 동아일보 창간.
- 4월 4일 - 일본군이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을 급습하고, 니콜스크에서 최재형 등 90명을 총살하였다.
- 4월 28일 - 영친왕 이은이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이방자)와 혼인하였다.
- 5월 1일 - 허영숙이 여의사 최초로 영혜의원을 개업하였다.
- 5월 16일
- 6월 4일 - 봉오동 전투 발생. (~6월 7일)
- 6월 7일 - 대한독립단 총재 백삼규가 만주에서 일본군에게 피살당했다.
- 6월 9일 - 원산부청 직원들이 평민회를 조직하였다.
- 6월 19일 - 평양에 야시장이 개설되었다.
- 6월 23일 - 한규설, 이상재 등이 조선교육회를 설립하였다.
- 6월 25일 - 월간 종합지 <개벽>이 창간되었다.
- 7월 1일 - 대구에서 시내버스 운행이 개시되었다.
- 7월 13일 - 고원훈, 김성수, 장덕수 등이 조선체육회를 설립하였다.
- 7월 26일 - 화폐법 개정으로 은화 20전, 백동화 10전, 5전을 새로 발행하였다.
- 7월 29일 - 대구경찰서 박춘영 형사가 임시정부에 독립군자금을 조달하다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 7월 30일 - 평양에서 조만식, 오윤선 등 70여명이 조선물산장려회를 창설하였다.
- 8월 16일 - 미국 메이저 리그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유격수 레이 채프먼이 투수가 던진 공에 머리를 맞고 다음 날 사망하다.
- 8월 24일 - 미국 의원단 일행 49명이 경성을 방문하고, 1만여명의 시민이 남대문-조선호텔을 따라 만세 시위를 벌였다.
- 8월 26일 - 미국 국무장관이 수정헌법 제19조를 연방헌법 조항으로 공표함에 따라 여성들에게 선거권이 주어짐.
- 9월 5일 - 일제강점기: 조선일보, 총독정치 비난 사설로 정간.
- 9월 9일 - 일제강점기: 북간도에 있던 서로군정서 사관양성소, 사관 298명 배출.
- 9월 12일 - 일제가 만주 출병 구실을 위해 훈춘 사건을 일으켰다.
- 9월 25일 - 일제강점기: 일본, 사설이 일황실 상징을 모독했다는 이유로 동아일보에 1차 정간조치.
- 9월 28일 - 유관순열사가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
- 10월 2일 - 훈춘 사건: 중화민국 지린성 옌볜 훈춘에서 마적단의 습격을 핑계로 일본 제국군이 조선인을 학살하다.
- 10월 10일 - 구스타프 홀스트의 행성 모음곡, 버밍엄에서 초연.
- 10월 21일 - 북로군정서의 김좌진, 이범석 부대 2,500명이 청산리 전투에서 대승하였다.
- 11월 - 서일 등이 홍개호 밀산에서 대한독립군을 조직하였다.
- 11월 2일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세계 최초의 상업 라디오 KDKA가 방송
- 11월 5일 - 경성도서관 개관
- 11월 11일 - 동아일보 장덕준 기자가 훈춘 사건 취재 도중에 일본군에게 피살되었다.
- 12월 12일 - 아이와 어른이 사랑을 받던 곰돌이 젤리 하리보가 창립되었다.
- 12월 28일
- 12월 31일 - 대한제국 시절 화폐의 유통이 금지되었다.
문화[편집]
- 1월 9일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공항 개항.
- 8월 14일 - 제7회 벨기에 앤트워프 올림픽 개막.
탄생[편집]
- 날짜 미상 - 대한민국의 학자 남궁준. (~2003년)
- 1월 2일 - 미국의 소설가 아이작 아시모프. (~1992년)
- 1월 19일 - 제5대 유엔 사무총장, 페루의 외교관, 정치인 하비에르 페레스 데 케야르. (~2020년)
- 1월 20일 -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페데리코 펠리니. (~1993년)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목사, 통일교의 창시자 문선명. (~2012년)
- 2월 26일 - 브라질의 소설가 조제 마우루 지 바스콘셀루스. (~1984년)
- 3월 7일 - 대한민국의 군인 김창규. (~2020년)
- 3월 21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에릭 로메르. (~2010년)
- 3월 23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야구 감독 가와카미 데쓰하루. (~2013년)
- 4월 1일 - 일본의 배우 미후네 토시로. (~1997년)
- 4월 7일 - 인도의 음악인 라비 샹카르. (~2012년)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무용가 한영숙. (~1989년)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상협. (~1995년)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임대홍. (~2006년)
- 5월 2일 -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요안 반데르발스. (~2022년)
- 5월 18일 - 제 264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2005년)
- 6월 17일 - 일본의 영화배우 하라 세츠코. (~2015년)
- 7월 6일 - 대한민국의 철학자 김형석.
- 7월 11일 - 미국의 배우 율 브리너. (~1985년)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조연현. (~1981년)
- 8월 17일 - 아일랜드의 배우 모린 오하라. (~2015년)
- 8월 22일 - 미국의 소설가 레이 브래드베리. (~2012년)
- 9월 25일 - 러시아의 영화감독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1994년)
- 10월 8일 - 미국의 작가 프랭크 허버트. (~1986년)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지질학자 정창희. (~2022년)
- 10월 31일
- 12월 13일 - 미국의 정치인 조지 프랫 슐츠. (~2021년)
사망[편집]
- 4월 26일 - 인도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1887년~)
- 4월 28일 - 러시아 과학자 클리멘트 티미랴제프. (1843년~)
- 5월 21일 - 멕시코의 대통령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1859년~)
- 6월 14일 -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 (1864년~)
- 8월 15일 - 대한제국의 독립 운동가, 역사학자 운초 계연수. (미상~)
- 9월 28일 -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유관순. (1902년~)
- 11월 29일 - 대한제국의 교육자, 독립운동가 강우규. (1855년~)
노벨상[편집]
- 문학상:
- 물리학상: 샤를 에두아르 기욤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무인 | 소 | 2월 20일 | 무신 |
2월 | 기묘 | 대 | 3월 20일 | 정축 |
3월 | 경진 | 소 | 4월 19일 | 정미 |
4월 | 신사 | 소 | 5월 18일 | 병자 |
5월 | 임오 | 대 | 6월 16일 | 을사 |
6월 | 계미 | 소 | 7월 16일 | 을해 |
7월 | 갑신 | 소 | 8월 14일 | 갑진 |
8월 | 을유 | 대 | 9월 12일 | 계유 |
9월 | 병술 | 대 | 10월 12일 | 계묘 |
10월 | 정해 | 소 | 11월 11일 | 계유 |
11월 | 무자 | 대 | 12월 10일 | 임인 |
12월 | 기축 | 대 | 1921년 1월 9일 | 임신 |
각주[편집]
- ↑ The destruction of Nikolayevks-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book review in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Kim Young Sik, Ph.D. The Free City (Amur River – Hukgang) Incident The left-right confrontation in Korea – Its origin Archived 2015년 9월 23일 - 웨이백 머신 Association For Asian Research 11/13/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