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9일
10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한글날이자 282번째(윤년일 경우 283번째) 날이다.
9월 - 10월 - 11월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3년 기준 모두 보기 |
10월 9일 | |
2024년: 수요일 | 2023년: 월요일 |
2022년: 일요일 | 2021년: 토요일 |
2020년: 금요일 | 2019년: 수요일 |
2018년: 화요일 | 2017년: 월요일 |
2016년: 일요일 | 2015년: 금요일 |
2014년: 목요일 | 2013년: 수요일 |
2012년: 화요일 | 2011년: 일요일 |
2010년: 토요일 | 2009년: 금요일 |
2008년: 목요일 | 2007년: 화요일 |
2006년: 월요일 | 2005년: 일요일 |
2004년: 토요일 | 2003년: 목요일 |
2002년: 수요일 | 2001년: 화요일 |
2000년: 월요일 | 1999년: 토요일 |
1998년: 금요일 | 1997년: 목요일 |
1996년: 수요일 | 1995년: 월요일 |
1994년: 일요일 | 1993년: 토요일 |
1992년: 금요일 | 1991년: 수요일 |
사건[편집]
- 1900년 - 알래스카 주에서 규모 8.2의 지진 발생하였다.
- 1907년 - 일본 제국 헌병이 조선의 경찰권을 장악하다.
- 1945년 - 군정기: 미군정청, 치안유지법 등 12개 일제악법 폐지.
- 1955년 - 제2차 세계 대전 때 생포돼 소련에 억류됐던 마지막 독일군 포로 전원 석방.
- 1965년 - 한국군 첫 전투부대가 베트남에 도착했다.
- 1975년 - 소비에트 연방 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 소련인으로는 최초로 노벨 평화상수상
- 1976년 - 화궈펑, 중국 공산당 주석에 임명
- 1983년 - 아웅산 묘소 폭파암살 사건: 전두환 대통령이 미얀마(당시 버마)를 방문 중에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서석준 부총리 등 17명이 순직하고 15명이 부상당하다.
- 1988년 - 서초동 꽃마을에 화재, 이재민 1천 500여 명 발생했다.
- 1991년 - 전노협, 업종회의 등을 주축으로 한 'ILO 기본조약 비준과 노동법 개정을 위한 전국노동자공동대책위원회(이하 ILO공대위)'가 결성되었다.
- 1992년 - 노태우 대통령은 현승종을 총리직에 앉히는 등 중립내각 개편을 단행하였다.
- 2006년 - 북한 핵실험: 북한이 오전 10시 35분경 함경북도 화포리에서 핵실험을 실시하다.
- 2009년 -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달표면에 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충돌 실험을 벌였다.
문화[편집]
- 1446년 - 조선: 세종대왕, 훈민정음 반포[1][2]
- 1874년 - 만국우편연합(UPU), 스위스 베른에서 발족.
- 1888년 - 그 당시 가장 높은 건물이었던 워싱턴 기념탑이 공개되다.
- 1901년 - 대한제국, 빈민구휼을 위한 혜민원 설치되었다.
- 1957년 -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전6권) 30년 만에 완간.
- 1984년 - 대한민국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창단 첫 우승을 달성하다.
- 1989년
- 1994년 - 황영조 선수가 일본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마라톤서 우승.
- 2001년 - 제8차 아시아·태평양 대학총장회의 서울에서 개최.
- 2002년 - K리그 최초의 시민구단 대구 FC 창단.
- 2006년 - tvN이 개국되었다.
- 2010년 - 서울 여의도에서 약 120만명이 운집한 가운데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열렸다.
- 2012년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의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었다.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의 메인스트림 지원을 중단했다.
- 2013년 - 한글날이 23년 만에 공휴일로 재지정되었다.
- 2021년 - 보이그룹 백퍼센트가 데뷔 9년 만에 공식 해체하였다.
탄생[편집]
- 1757년 - 프랑스의 샤를 10세.
- 1835년 - 프랑스의 작곡가 카미유 생상.
- 1873년 -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
- 1925년 - 아르헨티나의 정치인 에밀리오 에두아르도 마세라.
- 1935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진영.
- 1938년 - 오스트리아의 대통령 하인츠 피셔.
- 1940년 - 영국의 대중음악가 (비틀즈의 멤버) 존 레논.
- 1964년 - 멕시코의 영화 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
- 1966년
- 1967년 - 미국의 프로레슬러 에디 게레로.
- 1969년 - 영국의 영화감독 스티브 매퀸.
- 1971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규봉.
- 1972년
- 1973년 - 이탈리아의 가수 파비오 리오네.
- 1975년- 미국의 가수 숀 레논.
- 1979년 - 대한민국의 개그맨 유민상.
- 1983년
- 1984년
- 1985년 - 대한민국의 가수 손혜림.
- 1986년 - 대한민국의 성우 임윤선.
- 1989년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서윤아.
- 1992년
- 1993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은.
- 1994년
- 1995년 - 대한민국의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김준호.
- 1996년 - 미국의 모델 벨라 하디드.
- 1998년 - 일본의 가수 키타가와 료하.
- 1999년 - 대한민국의 골퍼 이가영.
- 2001년 - 대한민국의 방송인 박시진.
- 2002년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영.
사망[편집]
- 1615년 - 조선의 한의사 허준.
- 1855년 - 캐나다의 사업가 토마스 맥케이.
- 1924년 - 러시아의 작가 발레리 브류소프.
- 1943년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피터르 제이만.
- 1951년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김성칠.
- 1958년 - 260대 로마 교황 교황 비오 12세.
- 1967년
- 2016년 - 폴란드의 영화감독 안제이 바이다.
- 2017년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재원.
- 2018년 - 미국의 생화학자 토머스 A. 스타이츠.
- 2019년 - 대한민국의 소설가 구인환.
- 2019년 -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알렉세이 레오노프.
- 2021년 - 이란의 정치인 아볼하산 바니사드르.
기념일[편집]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사실 훈민정음 반포일의 정확한 날짜는 모른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46년 음력 9월 29일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고 되어 있는데,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 말문(末文)에는 ‘정통 11년 9월 상한-세종 28년 9월’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다. 그래서 1446년 9월 상한(上澣)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는데, 이를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되므로, 10월 9일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이 아닌, 1446년 당시 서양이 사용했던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면, 1446년 음력 9월 10일은 9월 30일이 된다. (더 자세한 것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사이트 Archived 2013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혹은 천문참여관 질문상자 Archived 2014년 2월 25일 - 웨이백 머신를 참조하라.)
- ↑ '민음 한국사' 15세기-조선의 때 이른 절정 166쪽~168쪽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