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한국시리즈
1984년 한국시리즈 | |||||||
| |||||||
| |||||||
경기 정보 | |||||||
경기 일정 | 1984년 9월 30일 ~ 10월 9일 | ||||||
MVP | 유두열 | ||||||
팀 정보 | |||||||
롯데 자이언츠 (후기 1위) | |||||||
감독 | 강병철 | ||||||
시즌 성적 | 50승 2무 48패 전기리그 4위 (21승 1무 28패) 후기리그 1위 (29승 1무 20패) | ||||||
삼성라이온즈 (전기 1위) | |||||||
감독 | 김영덕 | ||||||
시즌 성적 | 55승 45패 전기리그 1위 (32승 18패) 후기리그 5위 (23승 27패) | ||||||
|
1984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는 9월 30일부터 10월 9일까지 모두 7차전을 치러서, 롯데 자이언츠가 삼성 라이온즈를 4승 3패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최종전에서 역전 3점 홈런을 친 롯데의 유두열이 차지했다. 최동원이 1차전 4-0 완봉승, 3차전 3-2 완투승에 이어, 5차전 완투패, 6차전에서 구원 등판해 5이닝을 던져 3승째를 따낸 뒤, 7차전에서 6-4 완투승을 거두는 등[1] 시리즈에서 혼자 4승(5경기 출전 4승 1패)을 기록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한편, 최다 선발승(15선발승) 투수 김시진과 타격 3관왕(타율 홈런 타점)[2] 이만수를 주축으로 한 전기리그 우승팀 삼성이 우세했음에도 후기리그 막판 롯데를 시리즈 상대로 선택하기 위해 일부러 '져주기' 행태를 벌인 데다[3] 같은 시기 이만수 타격 3관왕 만들어주기 행태[4] 탓인지 2승 2패 뒤 5차전 승리로 앞서나갔지만 6차전 이후 2패로 준우승에 머물렀는데 이만수 장효조를 제외하곤 믿을만한 타자가[5] 없었던 것이 컸으며 그나마 홈런 10위권에 든 타자는 이만수(23개로 1위) 밖에 없었다. 아울러, 삼성은 에이스 김시진이 1차전을 앞두고 경기장으로 향하기 위해 차를 몰던 중 동네에서 놀던 어린이와 접촉사고가 나자 이를 수습하기 위해 경기장에 늦게 도착했는데 다행히 그 어린이는 크게 다치지 않았으나 큰 경기에 앞서 마음을 여유롭게 먹을 겨를이 없었다는 게 문제가 됐으며 이 탓인지 김시진은 1차전에서 3이닝 4실점(3자책)으로 패전투수가 된 뒤 3차전 선발등판했지만 2-2 동점이던 8회말 2사 후 홍문종의 강한 타구에 왼쪽 발목을 맞고 병원에 실려나가는 부상을 당했으며[6] 6차전에 재등판했으나(선발) 집중 7안타 6실점으로 무너져[7] 패전투수가 됐다.
정규 시즌[편집]
|
|
한국시리즈 경기 결과[편집]
1차전[편집]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
롯데 자이언츠 | 0 | 2 | 0 | 2 | 0 | 0 | 0 | 0 | 0 | 4 | 7 | - | - | ||||||||||||
삼성 라이온즈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7 | - | - | ||||||||||||
승리 투수: 최동원 패전 투수: 김시진 세이브: 없음 홀드: 없음 홈런: 롯데 – 박용성 (김시진 상대로 2회 2점) |
- 롯데 최동원, 한국시리즈 사상 첫 완봉승
1차전은 최동원과 김시진의 맞대결으로, 양팀의 에이스들이 출격했다. 하지만 김시진은 2회에 박용성에게 투런을 허용하며 흔들렸다. 그리고 최동원은 한국시리즈 최초로 완봉승을 기록하며 경기는 4:0으로 롯데의 승리로 끝났다.
2차전[편집]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
롯데 자이언츠 | 1 | 0 | 0 | 0 | 1 | 0 | 0 | 0 | 0 | 2 | 5 | - | - | ||||||||||||
삼성 라이온즈 | 1 | 0 | 2 | 0 | 1 | 0 | 4 | 0 | X | 8 | - | - | - | ||||||||||||
승리 투수: 김일융 패전 투수: 안창완 세이브: 없음 홀드: 없음 홈런: 삼성 – 장효조 (안창완 상대로 3회 2점) |
- 삼성 김일융, 완투승
삼성에서는 또다른 에이스인 김일융을, 롯데에선 신인선수인 안창완을 내보냈다. 3회말 장효조가 투런 홈런을 치며 역전했고, 이후에도 삼성이 롯데의 임호균, 천창호, 배경환을 상대로 추가 득점을 하며 2:8로 승리를 거둔다.
3차전[편집]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삼성 라이온즈 | 0 | 0 | 0 | 1 | 0 | 0 | 1 | 0 | 0 | 2 | - | - | |||||||||||||
---|---|---|---|---|---|---|---|---|---|---|---|---|---|---|---|---|---|---|---|---|---|---|---|---|---|
롯데 자이언츠 | 0 | 1 | 1 | 0 | 0 | 0 | 0 | 0 | 1 | 3 | - | - | |||||||||||||
승리 투수: 최동원 패전 투수: 권영호 |
1차전에서 만났던 최동원과 김시진이 다시 만났다. 경기는 7회초 장효조가 적시타로 2:2 동점을 만들었다. 그러나 8회말 홍문종의 타구에 김시진이 발목을 맞아 교체되었고, 9회말에 정영기가 권영호를 상대로 끝내기 안타를 치면서 최동원은 한국시리즈 두번째 승(완투승)을 거두며 롯데가 2:3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4차전[편집]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삼성 라이온즈 | 1 | 0 | 0 | 1 | 1 | 0 | 4 | 0 | 0 | 7 | - | - | |||||||||||||
---|---|---|---|---|---|---|---|---|---|---|---|---|---|---|---|---|---|---|---|---|---|---|---|---|---|
롯데 자이언츠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
승리 투수: 김일융 패전 투수: 임호균 홈런: 삼성 – 송일수(7회 1점), 정현발(7회 2점) |
5차전[편집]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롯데 자이언츠 | 0 | 0 | 0 | 0 | 1 | 1 | 0 | 0 | 0 | 2 | - | - | |||||||||||||
---|---|---|---|---|---|---|---|---|---|---|---|---|---|---|---|---|---|---|---|---|---|---|---|---|---|
삼성 라이온즈 | 0 | 0 | 0 | 0 | 0 | 2 | 1 | 0 | X | 3 | 6 | - | |||||||||||||
승리 투수: 김일융 패전 투수: 최동원 홈런: 롯데 – 한문연(5회 1점) 삼성 – 정현발(7회 1점) |
- 롯데 최동원, 완투패
6차전[편집]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삼성 라이온즈 | 0 | 0 | 0 | 1 | 0 | 0 | 0 | 0 | 0 | 1 | 7 | - | |||||||||||||
---|---|---|---|---|---|---|---|---|---|---|---|---|---|---|---|---|---|---|---|---|---|---|---|---|---|
롯데 자이언츠 | 0 | 0 | 0 | 3 | 0 | 0 | 0 | 3 | X | 6 | - | - | |||||||||||||
승리 투수: 최동원 패전 투수: 김시진 |
7차전[편집]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롯데 자이언츠 | 0 | 0 | 1 | 0 | 0 | 0 | 2 | 3 | 0 | 6 | - | - | |||||||||||||
---|---|---|---|---|---|---|---|---|---|---|---|---|---|---|---|---|---|---|---|---|---|---|---|---|---|
삼성 라이온즈 | 0 | 3 | 0 | 0 | 0 | 1 | 0 | 0 | 0 | 4 | - | - | |||||||||||||
승리 투수: 최동원 패전 투수: 김일융 홈런: 롯데 – 유두열(8회 3점) 삼성 – 오대석(6회 1점) |
- 롯데 최동원, 완투승
방송 중계[편집]
TV[편집]
방송 채널 | 캐스터(한국시리즈 차전) | 해설위원 | 비고 |
---|---|---|---|
KBS 1TV | 정도영(1), 이장우(3·5·7) | 하일성 | |
MBC TV | 김용(2·4·6·7) | 허구연 |
라디오[편집]
KBS 제1라디오와 MBC AM 전국공통 주파수에 맞춰 TV를 통해 수중계하였다.
각주[편집]
- ↑ 김은진, '장효조, 최동원 불멸의 야구 천재' <<주간경향>>, 2011, 9, 27
- ↑ 이승건 (2014년 10월 8일). “[그런거 野]타격왕 만들어주기, 이번엔 없겠지?”. 동아일보. 2020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모규엽 (2017년 10월 13일). “‘비’가 바꾼 운명… 1984년엔 롯데· 2001년엔 두산 가을시리즈 제패”. 국민일보. 2020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이승건 (2014년 10월 8일). “[그런거 野]타격왕 만들어주기, 이번엔 없겠지?”. 동아일보. 2020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박희송 (1984년 9월 11일). “라이온즈,에이스 부진(不振)으로 정상(頂上)도전 불안(不安)”. 조선일보. 2020년 9월 9일에 확인함.
- ↑ “김시진(金始眞) 경기 중 부상”. 조선일보. 1984년 10월 4일. 2020년 9월 9일에 확인함.
- ↑ “자이언츠 6차전 승리 중심타선 김시진(金始眞) 공략”. 조선일보. 1984년 10월 9일. 2020년 9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