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해 1963년 1964년 1965년 - 1966년 - 1967년 1968년 1969년 |
연대 1940년대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198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사건[편집]
- 1월 29일 -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 개항.
- 2월 11일 - 아관파천 70주년.
- 2월 28일 - 대한민국 수산청 발족.
- 3월 3일 - 대한민국 국세청 설립.
- 5월 10일 - 한국독립당 내란음모사건으로 구속된 김두한 등 재판에서 무죄선고.
- 5월 26일 - 가이아나 독립.
- 7월 11일 - 1966년 FIFA 월드컵이 영국에서 개막.
- 7월 17일 - 일본 TBS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울트라맨이 방영 시작.
- 8월 1일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텍사스 총기 난사사건이 일어남.
- 8월 3일 - 대한민국 산림청 발족.
- 8월 8일 -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해병대 장교 128명이 공군비행학교를 습격했다가 격퇴당하다.
- 8월 11일 - 이인호 대위 전사. 베트남에 참전중인 청룡부대 제3대대 정보장교 이인호(35) 대위가 투이호아 남쪽에서 동굴 수색중 베트콩이 던진 수류탄을 몸으로 덮쳐 소대원들을 구하고 전사.
- 8월 1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동신문 사설 통해 중·소 노선 탈피하는 자주노선 추구 선언.
- 8월 15일 - 베트남 냐짱에 주월 한국군 야전사령부 설치.
- 8월 16일 - 제네바 협약, 대한민국 내에서 발효.
- 8월 18일 - 중국, 마오쩌둥 지도하의 홍위병 100만 명 텐안먼 광장서 대규모 문화혁명.
- 8월 22일 - 아시아개발은행(ADB) 발족.
- 9월 8일 - 대한민국과 일본 국교 정상화 이후 첫 양국회담인 한일각료회의 서울서 개최.
- 9월 15일 - 한국비료 사카린 밀수 사건 정치문제화.
- 9월 20일 - 가이아나, 레소토, 유엔 가입.
- 9월 22일 - 정기국회 때 국회의원 김두한이 사카린 밀수사건에 대한 항의로 정일권 국무총리 이하 국무위원들에게 오물을 투척한 이른바 국회 오물투척사건이 터짐.
- 9월 22일 - 베트남 전쟁: 백마부대 지휘부 베트남 닌호아 도착.
- 9월 27일 - 세계은행이 이달에 발행한 각국의 인구 및 1인당 국민소득에 관한 책자에서 한국은 인구 2,763만 명에 1 인당 평균소득이 120 달러라고 발표.
- 9월 27일 - 선린상고가 동아일보사 주최 제20회 전국지구별 초청 고교야구 쟁패전 최종 결승전에서 부산고를 4-0으로 물리치고 황금사자기를 쟁취.
- 9월 30일 - 대한민국, 서울 광화문 지하도 개통.
- 9월 30일 – 보츠와나 공화국(당시 베추아날란드 보호국)이 영국에게서 독립하다.
- 10월 2일 - 대한민국 간호사 251명, 서독에 처음으로 파견.
- 10월 3일 - 명동 지하도 개통.
- 10월 4일 - 레소토,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다.
- 10월 14일 - 세계 최초의 인쇄물 무구정광대다라니경발견.
- 10월 15일 - 미국의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미국 교통부 설립을 승인하다.
- 10월 17일 - 보츠와나, 유엔 가입.
- 11월 30일 - 바베이도스 독립.
- 12월 9일 - 바베이도스, 유엔 가입.
탄생[편집]
1월[편집]
- 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원종.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응국.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문승욱.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행정가 김주성.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효범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인봉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명로진.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준욱.
- 1월 29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호마리우.
2월[편집]
- 2월 1일
- 2월 4일 - 일본의 배우, 전 가수 코이즈미 쿄코.
- 2월 6일
- 2월 8일 - 불가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 2월 10일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도지원.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광수.
- 2월 20일 - 미국의 모델, 배우 신디 크로퍼드.
- 2월 22일
- 2월 28일 - 필립 리브.
3월[편집]
- 3월 1일 - 미국의 영화감독 잭 스나이더.
- 3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예령.
- 3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문영.
- 3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이현우.
- 3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준용.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강일.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경아.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중훈.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은표.
- 3월 29일 - 불가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크라시미르 발라코프.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태화.
4월[편집]
- 4월 2일 - 영국의 전 축구 선수 테디 셰링엄.
- 4월 6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이종운.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부영. (~2023년)
- 4월 8일 - 미국의 영화배우 로빈 라이트.
- 4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장준용.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승훈.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중열.
- 4월 15일 - 중국의 반체제 인사 차이링.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재용.
- 4월 19일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종석.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최영일.
- 4월 27일 - 미국의 영화감독 맷 리브스.
5월[편집]
- 5월 3일
- 5월 16일 - 미국의 가수 재닛 잭슨.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은미.
- 5월 23일
- 5월 25일 - 독일의 영화배우 타탸나 파티츠. (~2023년)
- 5월 26일 - 영국의 배우 헬레나 보넘 카터.
6월[편집]
- 6월 4일
- 러시아의 수학자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 이탈리아의 메조소프라노 가수 체칠리아 바르톨리.
- 6월 7일 - 미국의 영화 감독 톰 매카시.
- 6월 8일 - 미국의 배우 줄리아나 마걸리스.
- 6월 11일 - 대한민국 미스 코리아 대구 진(眞) 출신 권민경.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라재웅.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성완경.
- 6월 26일 - 노르웨이의 축구 심판 톰 헨닝 외브레뵈.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보성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고정운
- 미국의 영화감독, 프로듀서 J. J. 에이브럼스.
- 6월 28일
- 6월 30일 - 미국의 권투선수 마이크 타이슨.
7월[편집]
- 7월 1일 - 벨기에의 축구 심판 프랑크 더 블레이케러.
- 7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범학.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 겸 기업가 양문석.
- 7월 12일
- 7월 15일 - 프랑스의 배우 이렌 자코브.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준하. (본명 박태호)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성종.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태의경.
- 7월 23일(음력 6월 6일) - 대한민국의 연출가 유성균.
- 7월 25일 - 일본의 성우 타카기 와타루.
- 7월 27일(음력 6월 1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최덕희.
- 7월 28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미겔 앙헬 나달.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 전 야구 선수 이명수.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변진섭.
8월[편집]
- 8월 2일 - 대한민국의 화가 공윤성.
- 8월 5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제임스 건.
- 8월 7일 - 위키백과의 설립자 지미 웨일스.
- 8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성하.
- 8월 11일-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김귀정.
- 8월 14일 - 미국의 배우 핼리 베리.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방정식.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수연. (~2022년)
- 8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길강
- 8월 27일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노민.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가 이한열. (~1987년)
9월[편집]
- 9월 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요리연구가 백종원.
- 9월 9일 - 미국의 배우 아담 샌들러.
- 9월 10일 - 일본의 가수 겸 배우 사이토 유키.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오성.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인기.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승욱.
- 9월 21일 - 우크라이나의 기업인 리나트 아흐메토프.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유석.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정근.
- 9월 27일
- 9월 29일 - 알바니아의 제6대 대통령 부야르 니샤니. (~2022년)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양재원.
10월[편집]
- 10월 1일
- 10월 2일 - 콩고 민주공화국의 정치가 겸 행정관료 출신 대한민국 망명객 및 전직 서강대학교 초빙교수 욤비 토나.
- 10월 6일 - 아일랜드의 전 축구 선수, 현 기업인 나이얼 퀸.
- 10월 7일 - 영국의 배우 토비 존스.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명수.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수용.
- 10월 19일 -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 존 패브로.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새벽.
- 10월 22일
- 10월 24일
11월[편집]
- 11월 2일
- 11월 6일 - 프랑스의 수학자 로랑 라포르그.
- 11월 17일
- 11월 23일 - 프랑스의 배우 뱅상 카셀.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현 서울특별시 도봉구 을 국회의원 오기형.
12월[편집]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일. (~2018년)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승철.
- 12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이숙.
- 12월 8일 - 아일랜드의 싱어송라이터 시네이드 오코너.
- 12월 11일 - 홍콩의 배우, 가수 리밍.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무술인 정두홍.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변영주.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여진.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문식.
- 12월 27일 - 미국의 프로레슬러 빌 골드버그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왕소연.
사망[편집]
- 2월 1일 - 미국의 영화 배우 버스터 키튼 (1895년~)
- 2월 3일 -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순정효황후 (1894년~)
- 4월 22일 - 나치 친위대 SS상급대장 요제프 디트리히. (1892년~)
- 6월 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장면. (1899년~)
- 9월 2일 - 일본제국 육군의 군인 오카무라 야스지. (1884년~)
- 9월 28일 - 프랑스의 시인 및 미술 이론가 앙드레 브르통. (1896년~)
- 12월 15일 - 미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자 월트 디즈니. (1901년~)
- 12월 27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기예르모 스타빌레. (1905년~)
노벨상[편집]
- 문학상: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넬리 작스
- 물리학상: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 생리학 및 의학상: 찰스 브렌턴 허긴스,페이턴 라우스
- 화학상: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경인 | 소 | 1월 22일 | 신사 |
2월 | 신묘 | 대 | 2월 20일 | 경술 |
3월 | 임진 | 대 | 3월 22일 | 경진 |
윤3월 | 소 | 4월 21일 | 경술 | |
4월 | 계사 | 대 | 5월 20일 | 기묘 |
5월 | 갑오 | 소 | 6월 19일 | 기유 |
6월 | 을미 | 소 | 7월 18일 | 무인 |
7월 | 병신 | 대 | 8월 16일 | 정미 |
8월 | 정유 | 소 | 9월 15일 | 정축 |
9월 | 무술 | 소 | 10월 14일 | 병오 |
10월 | 기해 | 대 | 11월 12일 | 을해 |
11월 | 경자 | 대 | 12월 12일 | 을사 |
12월 | 신축 | 소 | 1967년 1월 11일 | 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