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수연 | |
---|---|
![]() 강수연 (왼쪽[1]) | |
출생 | 1966년 8월 18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53세)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69년 ~ 현재 |
종교 | 불교 |
강수연(姜受延[2], 1966년 8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생애[편집]
강수연은 1969년부터 배우로서 활동하였다.[3] TV 드라마 《고교생 일기》(1983년)로 80년대 초중반 하이틴 스타로써 큰 인기를 얻었다. 1987년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로 대종상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씨받이》로 제44회 베니스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1989년 《아제 아제 바라아제》로 모스크바영화제에서 여우 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성인이 된 1980년대 중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는 1980년대 트로이카가 하락하고 있어서 한국 영화계를 혼자 이끌어나갔지만, 1990년대 초중반부터 후배 최진실, 채시라 등이 강수연과 트로이카를 구축했고, 1990년대 후반에는 전도연 · 심은하 · 고소영 등이 자리를 물려받았다. 하지만, 그녀는 8~90년대를 상징하며 한국 영화계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배우로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화계 활동을 했다. 2015년에서 2017년까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학력[편집]
비학위 수료[편집]
-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최고위 과정
출연작[편집]
TV 드라마[편집]
- 1971년 TBC 《똘똘이의 모험》
- 1979년 TBC 《오성과 한음》
- 1980년 TBC 《바람돌이 장영실》
- 1982년 KBS 《풍운》
- 1982년 KBS 《달무리》
- 1983년 KBS 《고교생 일기》 ... 유현수 역
- 1984년 KBS 《사랑하는 사람들》
- 1985년 MBC 《엄마의 방》
- 1986년 KBS 《이화에 월백하고》
- 1986년 KBS 《TV문학관》 - 들뻐꾸기
- 2001년 SBS 《여인전하》 ... 정난정 역
- 2007년 MBC 《문희》 ... 하문희 역
영화[편집]
- 1975년 《핏줄》
- 1976년 《나는 고백한다》
- 1977년 《별 3형제》
- 1978년 《비둘기의 합창》
- 1978년 《슬픔은 이제 그만》 ... 박미나 역
- 1978년 《어딘가에 엄마가》
- 1979년 《하늘나라에서 온 편지》
- 1982년 《깨소금과 옥떨메》
- 1983년 《약속한 여자》
- 1985년 《W의 비극》
- 1985년 《고래 사냥 2》
- 1987년 《씨받이》 ... 옥녀 역
- 1987년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 ... 미미 역
- 1987년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 순나 역
- 1987년 《감자》 ... 복녀 역
- 1987년 《됴화》
- 1987년 《연산군》 ... 장녹수 역
- 1988년 《업》
- 1988년 《미리 마리 우리 두리》 ... 우리 역
- 1989년 《아제 아제 바라아제》 ... 순녀 역
- 1989년 《그 후로도 오랫동안》 ... 선우수미 역
- 1990년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윤주 역
- 1991년 《베를린 리포트》 ... 마리엘렌/영희 역
- 1991년 《낙산풍》
- 1991년 《경마장 가는 길》 ... J 역
- 1992년 《그대 안의 블루》 ... 유림 역
- 1993년 《웨스턴 애비뉴》 ... 지수 역
- 1993년 《그 여자, 그 남자》 ... 은 역
- 1994년 《장미의 나날》 ... 재희 역
- 1995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혜완 역
- 1996년 《지독한 사랑》 ... 영희 역
- 1997년 《블랙잭》 ... 장은영 역
- 1997년 《깊은 슬픔》 ... 오은서 역
- 1998년 《처녀들의 저녁 식사》 ... 호정 역
- 1999년 《송어》 ... 정화 역
- 2003년 《써클》 ... 오현주 역
- 2006년 《한반도》 ... 명성황후 역
- 2007년 《검은 땅의 소녀와》 ... (특별출연)
- 2011년 《달빛 길어올리기》 ... 지원 역
광고[편집]
- 1982년 해태제과식품 부라보콘
수상[편집]
대종상 여우 주연상을 3회, 백상예술대상 여우 주연상을 2회, 청룡영화상 여우 주연상을 1회 수상했다.
- 제16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올해의 여성영화인상(2015)
- 자랑스러운 영화인상(2010)
- 제14회 부산국제영화제 플래시포워드상 심사위원회 위원상(2009)
- SBS 연기대상 대상(2001) (공동수상-전인화)
- SBS 연기대상 10대 스타상(2001)
- 그리메상 최우수여자연기상(2001)
- 제3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2000)
- 제33회 대종상 여자 인기상(1995)
- 제32회 대종상 여자 인기상(1994)
- 제3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여자 인기상(1994)
- 제14회 청룡영화상 인기스타상(1993)
- 제31회 대종상 여자 인기상(1993)
- 제17회 황금촬영상 최우수 인기여우상(1993)
- 제13회 청룡영화상 여우 주연상(1992)
- 제3회 춘사영화상 여우 주연상(1992)
- 제2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1992)
- 제28회 대종상 여우 주연상(1990)
- 제1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 주연상(1990)
- 제2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여자 인기상 (1990)
- 제16회 모스크바국제영화제 여우 주연상(1989)
- 제27회 대종상 여우 주연상(1989)
- 제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 주연상(1989)
- 제9회 낭트3대륙 영화제 여우 주연상(1988)
- 옥관문화훈장(1987)
- 제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특별상(1987)
- 제26회 대종상 여우 주연상(1987)
- 제26회 대종상 여자 인기상(1987)
- 제44회 베니스국제영화제 여우 주연상(1987)
- 제20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여자 신인 연기상(1984)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SBS 연기대상 《대상》 | ||
2000년 | 2001년 강수연 / 전인화 |
2002년 |
고두심 | 안재모 | |
《덕이》 김순례 역 | 《여인천하》 정난정 역 《여인천하》 문정왕후 역 |
《야인시대》 김두한 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