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수

김혜수 | |
---|---|
![]() 시상식에서 김혜수 | |
출생 | 1970년 9월 5일 대한민국 부산직할시 동래군 (現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래구) | (51세)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86년 ~ 현재 |
종교 | 불교 |
소속사 | 호두앤유엔터테인먼트 |
학력 | 성균관대학교 언론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 (졸업) |
부모 | 김현숙 (어머니) |
형제자매 | 김혜성 (언니) 김동훈 (동생) 김동현 (동생) 김동희 (동생) |
수상 | 수상 목록 |
웹사이트 | 김혜수 - 인스타그램 |
김혜수(한국 한자: 金憓秀, 1970년 9월 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학력[편집]
생애 및 경력[편집]
1970년 9월 5일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3남 2녀 중 둘째이며, 그녀의 동생인 김동현과 김동희도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1]
1986년 영화 《깜보》로 스크린에 정식 데뷔했다.[2] 1986년 11월 고 강신재 작가의 단편소설을 드라마로서 각색한 TV문학관 젊은 느티나무에서 엄마 경애(태현실)와 새아버지 '무슈 리'(김세윤)의 재혼으로 만난 오빠 현규(이효정)를 사랑하는 윤숙희 역을 맡았다. 오빠 현규와 함께 테니스를 치고, 오빠친구 지수(정보석), 현규와 함께 자전거와 모터사이클을 즐기는 등 시대를 앞서는 서구적인 배경과 젊은 남녀의 푸릇푸릇한 사랑을 연기했다.
1987년 《사모곡》에서 보옥 역을 맡아 눈물연기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다.[3]
1980년대 중후반에는 채시라, 하희라, 이미연 등과 하이틴 스타로 인기를 끌었으며, 1990년대에는 텔레비전의 드라마, 영화, 진행자 등으로 다방면에서 많은 사랑을 받으며, 활동하였으며, 2000년대에는 영화로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연기 변신을 두려워하지 않는 배우로 현재까지 톱배우로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유행어[편집]
"엣지 있게 ~"
— 드라마, 《스타일》에서...
"나 이대 나온 여자야 ~"
— 영화, 《타짜》에서...
"잊혀지지 않는게 제일 힘든거야~"
— 드라마, 《시그널》에서...
필모그래피[편집]
영화[편집]
연도 | 제목 | 역할 | 감독 | 비고 |
---|---|---|---|---|
1986 | 깜보 | 나영 | 이황림 | |
수렁에서 건진 내 딸 2 | 유리 | |||
1988 | 그 마지막 겨울 | 영애 | 정소영 | |
어른들은 몰라요 | 유라 | 이규형 | ||
1990 | 오세암 | 안젤라 수녀 | ||
1991 | 잃어버린 너 | 김윤희 | 원정수 | |
1993 | 첫사랑 | 박영신 | 이명세 | |
1994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 장길수 | 특별출연 | |
블루시걸 | 채린(목소리) | 오중일 | ||
연애는 프로, 결혼은 아마추어 | ||||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 정지영 | 특별출연 | ||
1995 | 영원한 제국 | 윤상아 | 박종원 | |
남자는 괴로워 | 김혜수 | 이명세 | ||
닥터 봉 | 황여진 | 이광훈 | ||
1996 | 체인지 | 지하철의 여자 | 이진석 | 우정출연 |
1997 | 미스터 콘돔 | 성희 | 양윤호 | |
1998 | 찜 | 채영 | 한지승 | |
투 타이어드 투 다이 | 아눅 | |||
1999 | 닥터 K | 표지수 | 곽경택 | |
2001 | 신라의 달밤 | 민주란 | 김상진 | |
2002 | 쓰리 | 아내 | 김지운 진가신 논지 니미부트르 |
segment Memories (옴니버스 영화) |
YMCA 야구단 | 민정림 | 김현석 | ||
2004 | 얼굴 없는 미녀 | 지수 | 김인식 | |
2005 | 분홍신 | 선재 | 김용균 | |
2006 | 타짜 | 정 마담 | 최동훈 | |
2007 | 바람 피기 좋은 날 | 이슬 | 장문일 | |
열한번째 엄마 | 여자 | 김진성 | ||
좋지 아니한가 | 이모 오미경 | 정윤철 | ||
2008 | 모던 보이 | 조난실 | 정지우 | |
용서, 그 먼 길 끝에 당신이 있습니까 | 내레이션 | 다큐멘터리 영화 | ||
2010 | 이층의 악당 | 연주 | 손재곤 | |
2012 | 도둑들 | 펩시 | 최동훈 | |
도둑들 영화를 만들다 | 김진상 | 다큐멘터리 영화 | ||
2013 | 관상 | 연홍 | 한재림 | |
2015 | 차이나타운 | 엄마 | 한준희 | |
2016 | 굿바이 싱글 | 고주연 | 김태곤 | |
2017 | 미옥 | 나현정 | 이안규 | |
2018 | 국가부도의 날 | 한시현 | 최국희 | |
2020 | 내가 죽던 날 | 김현수 | 박지완 | |
2022 | 밀수 | 류승완 | ||
TBA | 귀환 | 윤제균 |
드라마 / 시트콤[편집]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6 | MBC | 베스트셀러극장 - 인형의 교실 | 오혜숙 | 단막극 |
KBS1 | TV문학관 - 젊은 느티나무 | 윤숙희 | 단막극 | |
1988 | KBS2 | 88올림픽 특집극 - 춘향전 | 성춘향 | 단막극 |
1987 | 사모곡 | 보옥 | ||
1988 | 순심이 | 순심이 | 52부작 | |
1989 | KBS1 | 세노야 | 강정애 | |
1990 | MBC | 한지붕 세가족 시즌2 | 혜숙 | [4] |
KBS2 | 지워진 여자 | 정수민 | 8부작 | |
MBC | 재미있는 세상 | 서병숙 | 16부작 | |
KBS2 | 꽃 피고 새 울면 | 미경 | 44부작 | |
1991 | KBS2 | 드라마게임 - 나의 이브 | 강유미 | 단막극 |
MBC | 베스트극장 - 한여름 밤의 꿈 | 최미혜 | 단막극 | |
베스트극장 - 이웃집 은이 | 유정 | 단막극 | ||
추석 특집극 - 고수 | 오정희 | 단막극 | ||
장미빛 인생 | 채정서 | 16부작 | ||
1992 | 신년 특집극 - 천사는 말괄량이 | 천사 | 단막극 | |
베스트극장 - 누군가를 사랑하려는 이유 | 강주 | 단막극 | ||
마포 무지개 | 박영미 | 34부작 | ||
1993 | 파일럿 | 이지원 | 16부작 | |
여자의 남자 | 김은영 | 16부작 | ||
1994 | SBS | 도깨비가 간다 | 최인영 | 16부작 |
MBC | 베스트극장 - 적과 친구, 48시간 | 새안댁 | 단막극 | |
창사특집극 - 눈먼 새의 노래 | 석경숙 | 단막극(2부작) | ||
1994-1997 | 짝 | 차해순 | 163부작 | |
1995 | KBS2 | 드라마게임 - 신들의 황혼 | 단막극 | |
MBC | 연애의 기초 | 이일영 | 16부작 | |
사랑과 결혼 | 서예희 | 48부작 | ||
1996 | SBS | 설 특집극 - 곰탕 | 순녀 | 단막극 |
MBC | 사과꽃 향기 | 서경주 | 44부작 | |
1997 | SBS | 창사 특집극 - 새끼 | 선주 | 단막극 |
미스&미스터 | 시트콤, 10회 출연후 중도하차[5] | |||
MBC | 복수혈전 | 정미경 | 16부작 | |
1998 | 베스트극장 - 도시에서의 사랑 | 단막극, 특별출연 | ||
베스트극장 - 지하철 치한에 관한 보고서 | 정수 | 단막극 | ||
베스트극장 - 적들의 사회 | 윤지연 | 단막극 | ||
베스트극장 - 영화처럼 청혼하는 세 가지 방법 | 정아 | 단막극 | ||
SBS | 삼김시대 | 김예리 | 24부작 | |
순풍산부인과 | 시트콤, 특별출연 | |||
1999 | MBC |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 이신형 | 44부작 |
국희 | 민국희 | 20부작 | ||
2000 | 황금시대 | 김희경 | 18부작 | |
2001 | 베스트극장 - 사랑하는 혜수 언니 | 본인 | 단막극, 특별출연 | |
2002-2003 | KBS2 | 장희빈 | 장희빈 | 100부작 |
2004 | MBC | 한강수 타령 | 윤가영 | 51부작 |
2009 | SBS | 스타일 | 박 기자 | 16부작 |
2010 | MBC | 즐거운 나의 집 | 김진서 | 16부작 |
2013 | KBS2 | 직장의 신 | 미스 김 | 16부작 |
2016 | tvN | 시그널 | 차수현 | 16부작 |
2017 | SBS | 낭만닥터 김사부 | 이영조 | 20화, 특별판 특별출연 |
2020 | 하이에나 | 정금자 / 정은영 | 16부작 | |
2022 | Netflix | 소년심판 | 심은석 | 10부작 |
연극[편집]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8 | 신의 아그네스 |
연출[편집]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2 | 가변차선 | 조감독 | 단편 영화 |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비고 |
---|---|---|---|---|
1989 | KBS2 | 올스타데이트 | 게스트 | |
100세 퀴즈쇼 | 게스트 | |||
1990 | 가족오락관 | 게스트 | ||
1991 | MBC | 우정의 무대 | 게스트 | |
KBS2 | 새해맞이 스타 총출동 | 게스트 | ||
1992 | 오늘 같은 밤 | 게스트 | ||
MBC | 즐거운 세상 | 게스트 | ||
특종 TV연예 | 게스트 | |||
1993 | 창사 32주년 특집 - 뛰면서 바꾼다 바꾸면서 뛴다 | 게스트 | ||
이야기쇼 만남 | 게스트 | |||
지금은 특집 방송중 | 게스트 | |||
1993-1995 |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 MC | ||
1994 | 94사랑의 이름으로 | 게스트 | ||
이벤트 만남 | 게스트 | |||
KBS2 | 웃음출발 | 게스트 | ||
MBC | 일요일 일요일 밤에 | 게스트 | ||
1995 | KBS2 | 지구촌 영상음악 | 게스트 | |
톱스타 인생극장 | 게스트 | |||
연예가 중계 - 스타초대석 | 게스트 | |||
1996 | 96 출동 TV 산타 | 게스트 | ||
이문세쇼 | 게스트 | |||
KBS빅쇼 | 게스트 | |||
1997 | TV데이트 | 게스트 | ||
1998 | 웰컴 투 코리아 - 미소가 아름다운 나라 | 게스트 | ||
연예가 중계 - 스타초대석 | 게스트 | |||
파워인터뷰 | 게스트 | |||
TV는 사랑을 싣고 | 게스트 | |||
1998-2000 | SBS | 김혜수 플러스 유 | MC | |
1999 | KBS2 | 연예가 중계 - 스타초대석 | 게스트 | |
1999 | MBC | 21세기 위원회 | 게스트 | |
2001-현재 | SBS[6] | 청룡영화제 | MC | [7] |
2010 | MBC | 김혜수의 W | MC | |
2016 | SBS | 잘 먹고 잘사는 법, 식사하셨어요? | 게스트 | 109~110회, 135~136회 |
2021 | KBS1 | 한국인의 밥상 | 게스트 | 494~495회 |
2022 | tvN | 어쩌다사장2 | 게스트 | 10회 |
광고(CF)[편집]
연도 | 광고명 |
---|---|
1985년 | |
1985년~1987년 |
|
1985년~1988년 | |
1988년 |
|
1990년 | |
1991년 | |
1992년 | |
1993년 | |
1994년 | |
1995년 | |
1996년 | |
1997년 | |
1998년 |
|
1999년 | |
1999년~2006년 | |
2000년 | |
2001년~2002년 |
|
2002년 |
|
2004년 |
|
2006년 | |
2009년 | |
2009년~2010년 | |
2010년 | |
2011년 | |
2012년~2014년 |
|
2014년~2017년 |
|
2014년~ |
|
2015년 |
|
2016년 |
|
2017년 |
|
2018년 | |
2019년 | |
2020년 |
|
2020년~ |
|
2021년~ |
|
2022년~ |
|
기타[편집]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2016 | 《무한상사 2016: 위기의 회사원》 | 특별출연 |
기타 경력[편집]
연도 | 홍보대사명 |
---|---|
1995년 | 마리끌레르 한국판 스페셜 에디터 |
2000년 | 캐릭터랜드 홍보이사 |
2001년 | 성균관대학교 영상예술학부 연기예술학 겸임교수 |
2005년 | 사랑의 친구들 홍보대사 |
경기영상위원회 영상위원 | |
2008년 | 제6회 아시아나 국제 단편영화제 특별심사위원 |
수상 및 후보 목록[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최나영 (2009년 11월 5일). “'선덕여왕' 화랑 김동희 "김혜수 동생이란 사실 숨겼었지만.."”. OSEN. 2017년 9월 6일에 확인함.
- ↑ 곽경민 (2016년 6월 19일). “‘식사’ 김혜수, 과거 영화 ‘깜보’ 시절 모습 공개 “중학생 시절” 풋풋”. 한국경제. 2017년 9월 7일에 확인함.
- ↑ 배장수 (1991년 8월 2일). “탤런트 김혜수 「잃어버린 너」에서 "눈물연기"”. 경향신문. 2015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한지붕 세가족》에서 이영범과 함께 개성 넘치는 신세대 대학원생 부부로 출연하였다.
- ↑ 이재민 (1997년 7월 14일). “넘치는드라마 스타모시기 '진땀'”. 한겨레신문. 2015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2010년까지는 KBS 2TV에서 생중계 되었다.
- ↑ 박준범 (2007년 11월 1일). “김혜수, “청룡영화상은 개인적으로 애착이 많은 영화제””. OSEN. 2017-09-076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김혜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김혜수 - 인스타그램
- (영어) 김혜수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 김혜수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 (영어) 김혜수 - 한시네마
MBC 연기대상 《대상》 | ||
1995년 | 1996년 김혜수 |
1997년 |
채시라 | 최진실 | |
짝 해순역 |
KBS 연기대상 《대상》 | ||
2002년 | 2003년 김혜수 |
2004년 |
유동근 | 고두심 | |
장희빈 장희빈 역 |
KBS 연기대상 《대상》 | ||
2012년 | 2013년 김혜수 |
2014년 |
김남주 | 유동근 | |
직장의 신 미스 김 역 |
분류: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그리메상 수상자
- MBC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
- MBC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KBS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
- KBS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수상자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우주연상 수상자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
- 1970년 출생
- 살아있는 사람
- 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
- 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
- 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
- 대한민국의 여자 모델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
- 백상예술대상 수상자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
- 황금촬영상 수상자
- 춘사영화상 수상자
-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대종상 여우주연상 수상자
- 부산광역시 출신
- 부산광역시 출신 배우
- 온천초등학교 (부산) 동문
- 서울미동초등학교 동문
- 덕성여자중학교 동문
- 배화여자고등학교 동문
- 동국대학교 동문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문
- 대한민국의 불교도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경주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