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김시대 (드라마)

![]() | |
장르 | 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
방송 기간 | 1998년 2월 28일 ~ 1998년 5월 17일 |
방송 시간 | 토요일, 일요일 |
방송 분량 | 50~60분 |
방송 횟수 | 24부작 |
기획 | SBS |
연출 | 고석만 |
극본 | 이영신 |
출연자 | 길용우, 유인촌, 정동환, 이창환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
HD 방송 여부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
《삼김시대》(三金時代)는 1998년 2월 28일부터 1998년 5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한 정치 대하드라마이다.[1] 대한민국 정치계를 호령하면서 때로는 지역감정을 조장한 인물로 비판을 받기도 하는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의 정치역정을 다룬 드라마이다.
제작진[편집]
- 연출 : 고석만
- 각본 : 이영신
- 해설 : 김종성
등장 인물[편집]
- 길용우 : 김영삼 역 (14대 대한민국 대통령)
- 유인촌 : 김대중 역 (15대 대한민국 대통령)
- 정동환 : 김종필 역
- 이창환 : 박정희 역 (5~9대 대한민국 대통령)
- 민욱 : 장면 역
- 이순재 : 윤보선 역 (4대 대한민국 대통령)
- 민지환 : 이승만 역 (초대~3대 대한민국 대통령)
- 김린 : 프란체스카 돈너 역 (이승만 대통령 영부인)
- 정승현 : 정일권 역
- 조상건 : 백범 김구 역
- 이호재 : 안두희 역
- 김동수 : 김창룡 역
- 신귀식 : 허정 역
- 이상춘 : 백귀란 역 (허정 국무총리 계배 부인)
- 이동신 : 강문봉 역
- 임정하 : 이진용 역
- 이종만 : 백낙준 역
- 정태섭 : 이재형 역
- 김상순 : 곽상훈 역
- 김주영 : 박병권 역
- 윤주상 : 민병권 역
- 한상혁 : 채문식 역
- 신충식 : 신성모 역
- 신국 : 신응균 역
- 김성원 : 이윤영 역
- 전무송 : 이응준 역
- 김병기 : 철기 이범석 역
- 김명희 : 김마리아 역 (철기 이범석 국무총리 계배 부인)
- 한인수 : 신광균 역
- 송용태 : 서종철 역
- 정승호 : 원용덕 역
- 양일민 : 성재 이시영 역 (초대 부통령)
- 김인태 : 유진오 역
- 최재호 : 한만년 역 (유진오 총재 맏사위)
- 김동수 : 한홍구 역 (유진오 총재 외손)
- 윤철형 : 박동진 역 (유진오 총재 둘째사위)
- 박영지 : 김성수 역 (2대 부통령)
- 김인문 : 함태영 역 (3대 부통령)
- 이원종 : 함병춘 역 (함태영 부통령 아들)
- 이보희 : 심효식 역 (함병춘 대통령 비서실 실장 부인)
- 손창민 : 함재봉 역 (함병춘 대통령 비서실 실장 장남)
- 박준규 : 이인수 역 (이승만 대통령 양자)
- 권성덕 : 이기붕 역
- 김자옥 : 박마리아 역 (이기붕 국방부 장관 부인)
- 손민우 : 이강석 역 (이기붕 국방부 장관 장남)
- 추석양 : 오세창 역
- 장민호 : 서재필 역
- 오승룡 : 지청천 역
- 홍성민 : 안재홍 역 / 선우종원 역
- 이대로 : 조소앙 역 / 장경순 역
- 전인택 : 안춘생 역 (조소앙 외무총장 조카사위)
- 김희라 : 조시원 역 (안춘생 국방부 차관보 계배 장인)
- 김영애 : 공덕귀 역 (윤보선 대통령 영부인)
- 정영숙 : 김옥윤 역 (장면 국무총리 부인)
- 김용선 : 손명순 역 (김영삼 제14대 대통령 영부인)
- 최정훈 : 김홍조 역 (김영삼 제14대 대통령 부친)
- 조명남 : 차보륜 역 (김대중 초배 장인 어른)
- 오연수 : 차용애 역 (김대중 사별 초배 부인)
- 김진태 : 최규하 역 (10대 대한민국 대통령)
- 홍경인 : 박지만 역 (박정희 대통령의 아들)
- 장광 : 전두환 역 (11~12대 대한민국 대통령)
- 임채무 : 노태우 역 (13대 대한민국 대통령)
- 김동현 : 박세직 역
- 박찬환 : 허삼수 역
- 서학 : 장세동 역
- 이병철 : 김상구 역
- 이원발 : 이학봉 역
- 송기윤 : 김용순 역
- 맹상훈 : 김재춘 역
- 이신재 : 주요한 역 / 윤성민 역
- 김봉근 : 이만섭 역 / 주영복 역
- 한영수 : 오치성 역
- 심양홍 : 유진산 역
- 백준기 : 유한렬 역 (유진산 총재 막내아들)
- 김흥기 : 박종규 역 (2대 대통령 경호실장)
- 이도련 : 서석재 역 (11~15대 국회의원, 총무처 장관)
- 정명환 : 이태섭 역
- 이정길 : 장태완 역
- 천호진 : 김상현 역 (14~16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국회의원의 부친)
- 이계인 : 최형우 역
- 오승명 : 김계원 역
- 박광남 : 김정렴 역
- 양택조 : 유병현 역
- 이영후 : 김종환 역
- 김성환 : 노재현 역
- 김기현 : 일산 김두만 역
- 하대경 : 정승화 역
- 최동준 : 강창성 역
- 박광현 : 강규형 역 (강창성 장군 차남)
- 이인철 : 윤필용 역
- 김호영 : 정병주 역
- 김동현 : 김재규 역 (8대 중앙정보부장)
- 연규진 : 오원철 역
- 최명수 : 윤치영 역
- 이춘식 : 창석 최용덕 역
- 이일웅 : 일서 김홍일 역
- 김세윤 : 박시창 역
- 김명수 : 박유철 역 (박시창 사단장 아들)
- 박칠용 : 장덕창 역
- 강인덕 : 강기천 역
- 국정환 : 손원일 역
- 황범식 : 백관옥 역
- 안병경 : 백찬옥 역 (백관옥 동생)
- 현석 : 장도영 역
- 송귀현 : 이한림 역
- 이인성 : 민기식 역
- 한진희 : 이갑 역
- 박용우 : 이석 역
- 김찬우 : 이한주 역
- 신주리 : 손정순 역 (이한주 부인)
- 이진우 : 이준 역
- 임호 : 이원 역
- 윤다훈 : 김홍일 역 (김대중 대통령의 장남)
- 김혜선 : 윤혜라 역 (김대중 대통령의 장자부)
- 최병학 : 윤경빈 역 (김대중 대통령의 장남 김홍일의 장인)
- 정재곤 : 김홍업 역 (김대중 대통령의 차남)
- 정애리 : 이희호 역 (김대중 대통령 영부인)
- 이경진 : 박영옥 역 (김종필 국무총리 부인)
- 김미숙 : 육영수 역 (박정희 대통령 영부인)
- 조경환 : 김형욱 역 (4대 중앙정보부장)
- 장항선 : 차지철 역 (3대 대통령 경호실장)
- 박인환 : 강신옥 역 (13대 국회의원)
- 이상숙 : 이순자 역 (전두환 대통령 영부인)
- 김해숙 : 김옥숙 역 (노태우 대통령 영부인)
- 김혜수 : 김예리 역
- 김성겸 : 조병옥 역
- 차철순 : 조윤형 역 (조병옥 내무부 장관 차남)
- 독고영재 : 장택상 역
- 박규채 : 김성곤 역
- 정욱 : 이후락 역
- 손지창 : 김현철 역 (김영삼 대통령 차남)
- 최종환 : 최태원 역 (노태우 대통령 맏사위)
- 안문숙 : 노소영 역 (노태우 대통령 영애)
- 김정균 : 노재헌 역 (노태우 대통령 영식)
- 이세창 : 박종철 역
- 변우민 : 전재국 역 (전두환 대통령의 장남)
- 정성모 : 권노갑 역 (13~15대 국회의원, 전직 국민의당 상임고문)
- 유식 : 한화갑 역
- 정한헌 : 김동영 역
- 최상훈 : 김덕룡 역 (13~17대 국회의원)
- 나영진 : 이민우 역
- 남영진 : 이영근 역
- 이희도 : 박종률 역
- 최항석 : 양순직 역
- 이재훈 : 이용희 역
- 김주승 : 정동년 역
- 송경철 : 유재흥 역
- 유태웅 : 유태종 역 (유재흥 국방부 장관 장남)
- 이훈 : 유형종 역 (유재흥 국방부 장관 차남)
- 백일섭 : 이범석 역
- 임병기 : 김재익 역
- 박종관 : 노신영 역
- 김진구 : 김정숙 역 (노신영 국무총리 부인)
- 구본승 : 노경수 역 (노신영 국무총리 장남)
- 고설봉 : 이효상 역
- 강계식 : 현석호 역
- 백윤식 : 이철승 역
- 박정수 : 김창희 역 (이철승 상임고문 부인)
- 이상은 : 김대중댁 식모 역
참고 사항[편집]
- 담당 PD 고석만은 《코리아게이트》의 실패 뒤 SBS에 사표를 제출한 후 외주제작사 대표로 활동해 오다가 《삼김시대》로 SBS에 돌아왔는데, 이 작품의 조기종영 뒤 SBS에 사표를 제출한 후 프리를 선언하였다. 《삼김시대》는 그의 마지막 연출작이 되었다.
- 고석만은 이 작품에 앞서 시대극 <제이슨 리> 영화판과 TV판 감독직을 맡았으나[2] 투자자를 구하지 못해[3] 무산되는 수모를 겪었다.
- 원래 1998년 1월 초 첫 방영 예정이었으나 주요 배우들 캐스팅 문제[4][5][6]로 어려움을 겪어오자 같은 해 2월 말로 첫 방영일이 변경되었다.
- 《용의 눈물》에서 이방원 역으로 나온 유동근은 《삼김시대》 DJ 역 물망에 한때 거론되었으나[7] 《용의 눈물》이 연장 끝에 159회로 막을 내림에 따라[8] 스스로 포기했다.
- 당초 48부작(1부 24회 2부 24회)으로[9] 기획되어 있었다. 하지만 최고 시청률 49%에 평균 20%대로 인기를 끈 KBS 1TV 《용의 눈물》로 인한 시청률 부진으로 결국 24부작으로 막을 내렸다.
- 3김의 학창시절을 다룬 1, 2회에서 중년의 주연배우들이 3김의 고교 시절을 연기하는 어색함[10]과 극중 김영삼이 승마를 하는 장면[11]이 와전되면서 구설수에 오르내렸다.
- 3김이 우리 정치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검토하겠다는 애초의 기획의도와는 동떨어진 결말, 평면적이고 나열식의 구도와 새로울 것 없는 이야기 때문에 시청자들로부터 외면당했다.[12]
- 1998년 최악의 드라마 4위[13]에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 SBS는 2002년 3월 2일 첫 방송된 《유리구두》 이전까지는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를 편성하지 않았다.
- 집필자 이영신 작가는 그 이후 한동안 지병으로 고생해 오다가 2016년 9월 3일 별세했다.[14]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드라마 삼김시대”. 2015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정은영 (1995년 12월 15일). “「전설의 주먹」 제이슨 리 영화-드라마로 만든다”. 동아일보.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이정재 (1998년 1월 12일). “[J스타일]IMF 한파…문화 생태계도 파괴”. 중앙일보. 2017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김갑식 (1997년 12월 30일). “신설 드라마 「3김시대」DJ캐스팅 관심”. 동아일보. 2015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 진성호 (1997년 12월 23일). “[방송] SBS, 3김 정치역정 드라마에 담는다”. 조선일보. 2017년 9월 1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도형 (1998년 1월 6일). “'삼김 시대' 주인공도 '40대 기수들'”. 한겨레신문. 2015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 김도형 (1998년 1월 6일). “'삼김 시대'주인공도'40대기수들'”. 한겨레신문. 2018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이준희 (1998년 2월 11일). “KBS 드라마 “고무줄 편성””. 국민일보. 2018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박혜민 (1998년 5월 19일). “[방송]SBS 정치드라마'삼김시대' 막내려”. 중앙일보. 2020년 7월 6일에 확인함.
- ↑ 이정희 (1998년 3월 3일). “[방송.연예가] 드라마 '억지춘향' 해도 너무한다”. 부산일보. 2017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김갑식 (1998년 4월 3일). “말나오면 말생기는'말징크스'”. 동아일보. 2017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박혜민 (1998년 5월 19일). “[방송]SBS 정치드라마'삼김시대' 막내려”. 중앙일보. 2020년 7월 6일에 확인함.
- ↑ “['98최고의프로, 최악의프로 10위]”. 서울경제. 1998년 12월 3일. 2016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 “협회소식”. 한국방송작가협회. 2016년 10월 5일. 73면. 2016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삼김시대
(1998년 2월 28일 ~ 1998년 5월 17일) |
유리구두
(2002년 3월 2일 ~ 2002년 7월 2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