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 세종

![]() | |
![]() | |
장르 | 사극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한국방송공사 |
방송 기간 | 2008년 1월 5일 ~ 2008년 11월 16일 |
방송 시간 | 1TV(2008년 1월 5일 ~ 3월 30일) 매주 토·일 21:40 ~ 22:30 2TV(2008년 4월 5일 ~ 11월 16일) 매주 토·일 21:05 ~ 22:05 |
방송 분량 | 1TV (50분), 2TV (60분) |
방송 횟수 | 86부작 |
기획 | 윤창범 (총괄프로듀서) |
프로듀서 | 정영철 |
제작자 | KBS 드라마본부 |
연출 | 김성근, 김원석 |
각본 | 윤선주, 김태희 |
출연자 | 김상경 이윤지 박상민 이정현 이상엽 이천희 이진우 이성민 이병욱 이원종 조성하 김하균 최상훈 박영지 노영국 선동혁 김기현 정동환 김성령 김명곤 최종원 김갑수 최명길 김영철 |
해설 | 김종성→김기현 |
음성 | 1TV: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2TV로 이동한 후: 수도권: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비 수도권: 1채널 모노 사운드(아날로그) (스테레오 사운드를 모노 사운드로 다운믹스)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제작·방송 |
외부 링크 | 대왕 세종 공식 홈페이지 |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다. 조선 태종 시대부터 세종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제1회 방송 시작 하루 전인 2008년 1월 4일에 제작 뒷이야기를 다룬 스페셜 방송이 있었으며, 2008년 11월 16일까지 총 86부작으로 방송되었다. 한편, 이 작품은 당초 이성주씨가 담당 PD로 낙점되었으나 드라마 2팀장으로 발령되면서[1] 연출자가 바뀌었다. 아울러, 2007년 12월 첫 회가 나갈 예정이었으나 대조영의 연장에 따라[2] 2008년 1월로 첫 방영일이 변경됐는데 KBS 2TV로 채널을 이동한 이후 성적이 하락했으며[3] 주말 대하드라마 주 시청자층인 40대 이상 남성들의 기호를 오판한 것이[4] 컸다.
제작진[편집]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조선의 왕실[편집]
- 김병춘 : 회안대군 역 (특별출연)
- 이상엽 : 이향 역 (어린 이향 : 오은찬, 소년 이향 : 강빛)
- 서준영 : 수양대군 역 (어린 수양대군 : 최민호)
- 박상민 : 양녕대군 역 (어린 양녕대군 : 정찬우, 소년 양녕대군 : 이인)
- 유서진, 여윤정 : 수성부부인 김씨 역
- 안신우 : 효령대군 역 (아역 : 유태웅)
- 권성현 : 해주 정씨 (예성부부인) 역
- 윤영준 : 경녕군 역 (아역 : 노영학)
- 백승도, 주영민 : 성녕대군 역
- 주다영 : 정소공주 역 (어린 정소공주 : 김지원)
- 이주현 : 정의공주 역
- 여민주 : 순빈 봉씨 역
- 강해인 : 승휘 권씨 역
- 미상 : 이홍위 역
- 한시훈 : 안평대군 역 (어린 안평대군 : 강한별)
- 최명길 : 원경왕후 민씨 역
- 김성령 : 효빈 김씨 역
- 강경헌 : 초궁장 역
- 이정현 : 신빈 김씨 역
- 조선옥 : 의빈 권씨 역
조선의 국왕[편집]
신왕파 대신[편집]
- 김갑수: 황희 역
- 안대용: 맹사성 역
- 이원종: 윤회 역
- 조성하: 이수 역
- 선동혁: 최윤덕 역
- 이진우: 정인지 역
- 이성민: 최만리 역
- 김영기: 변계량 역
- 이병욱: 김종서 역
- 이달형: 신장 역
- 권세인: 신숙주 역
- 윤원석: 박팽년 역
- 오용: 정창손 역
- 미상: 설순 역
구왕파 대신[편집]
군기감[편집]
명나라[편집]
- 미상: 성조 역
- 정유미: 다연 역
- 이병식: 주고구 역
- 오승윤: 영종 역
- 고인범: 황엄 역
- 이대로: 왕진 역
- 김학철: 황찬 역
- 하용진: 해수 역
- 윤갑수: 육선재 역
- 심우창: 여진 역
- 윤효식: 소청 역
대신들[편집]
- 최종원 : 하륜 역
- 박영지 : 박은 역
- 최상훈 : 심온 역
- 정흥채 : 강상인 역
- 이용진 : 박습 역
- 최주봉 : 김한로 역
- 김응수 : 민무구 역
- 이경영 : 민무질 역
- 김형일 : 민무휼 역
- 이우석 : 민무회 역
- 김주영 : 이숙번 역
- 박상조 : 이종무 역
- 장기용 : 이순몽 역
- 이원발 : 박실 역
- 김광영 : 이각 역
- 이두섭 : 김효성 역
고려[편집]
- 유순철: 임선미 역
- 한태일: 조의생 역
- 김용수: 왕안 역
- 김명곤: 옥환 역
- 김승욱: 전행수 역
- 정의갑: 호위무사 무비 역
- 문천식: 전일지 역
- 최상길: 장칠상 역
- 박용수: 한영로 역
일본[편집]
대마도[편집]
- 배성우: 평도전(다이라 도오젠) 역
- 곽승남: 평망고(다이라 모오코) 역
- 장세진: 종정성(소 사다모리) 역
- 서진원: 종준(소 모리쿠니) 역
- 김정민: 도도웅수(소 쿠마쥬) 역
- 박정우: 정우(시부카와 마사규이) 역
- 이종구: 원도진(시부카와 미쓰요리) 역
- 이한솔: 원의준(시부카와 요시토시) 역
- 공정환: 쇼군(아시카가 요시모치) 역
- 정두겸: 왜국 사신 역
- 이원희: 왜국 역관 역
- 조정국: 도도웅수 부장 역
- 김승훈: 야마다 역
- 정종현: 이키시마 수장 역
여진[편집]
오이라트[편집]
그 외 사람들[편집]
- 이일재 : 김도련 역
- 이정현 : 이선 역[6]
- 민지 : 담이 역
- 이병훈 : 김사행 역
- 황범식 : 노희봉 역
- 조재완 : 장원 역
- 윤기원 : 엄자치 역
- 미상 : 오근 역
- 김보미 : 한상궁 역
- 조병기 : 사또 역
- 주민준 : 박겸 역
- 강지후 : 풍개 역
- 원종례 : 기생녀(장영실의 어머니)
- 김지영 : 쇠귀할멈 역
- 안해숙 : 심온부인 역
- 황미선 : 황엄의 여동생
- 권성현 : 이경숙 역
- 선학 : 오막지 역
- 김선은 : 통사 역
- 오연서: 어리 역
- 김홍표: 이순지 역
- 설지윤: 퇴기춘월 역
- 이한갈 : 강휘 역
- 신준영
시청률[편집]
2008년 | |||||
---|---|---|---|---|---|
회차 | 방송일 | 시청률 | |||
TNmS 시청률 | AGB 시청률 | ||||
2008년 1월 5일, 매주 KBS1 21시 40분 방송 | |||||
제1회 | 1월 5일 | 20.1% | 22.3% | ||
제2회 | 1월 6일 | 22.4% | 23.0% | ||
제3회 | 1월 12일 | 21.5% | 21.0% | ||
제4회 | 1월 13일 | 21.9% | 22.5% | ||
제5회 | 1월 19일 | 19.7% | 21.3% | ||
제6회 | 1월 20일 | 21.2% | 21.6% | ||
제7회 | 1월 26일 | 18.0% | 20.0% | ||
제8회 | 1월 27일 | 20.0% | 21.2% | ||
제9회 | 2월 2일 | 18.5% | 19.5% | ||
제10회 | 2월 3일 | 20.2% | 19.2% | ||
제11회 | 2월 9일 | 21.8% | 21.3% | ||
제12회 | 2월 10일 | 21.9% | 22.0% | ||
제13회 | 2월 16일 | 20.4% | 20.4% | ||
제14회 | 2월 17일 | 20.7% | 20.7% | ||
제15회 | 2월 23일 | 17.2% | 18.2% | ||
제16회 | 2월 24일 | 20.9% | 20.8% | ||
제17회 | 3월 1일 | 17.8% | 21.2% | ||
제18회 | 3월 2일 | 21.1% | 20.7% | ||
제19회 | 3월 8일 | 17.4% | 17.4% | ||
제20회 | 3월 9일 | 18.5% | 18.5% | ||
제21회 | 3월 15일 | 17.0% | 17.0% | ||
제22회 | 3월 16일 | 19.2% | 17.9% | ||
제23회 | 3월 22일 | 16.0% | 17.8% | ||
제24회 | 3월 23일 | 17.4% | 19.8% | ||
제25회 | 3월 29일 | 18.2% | 16.9% | ||
제26회 | 3월 30일 | 19.3% | 19.4% | ||
2008년 4월 5일, 매주 KBS2 21시 5분 방송 | |||||
제27회 | 4월 5일 | 13.8% | 12.4% | ||
제28회 | 4월 6일 | 18.8% | 15.9% | ||
제29회 | 4월 12일 | 14.9% | 14.5% | ||
제30회 | 4월 13일 | 17.0% | 16.1% | ||
제31회 | 4월 19일 | 14.2% | 13.5% | ||
제32회 | 4월 20일 | 17.3% | 16.4% | ||
제33회 | 4월 26일 | 13.8% | 12.6% | ||
제34회 | 4월 27일 | 17.1% | 16.5% | ||
제35회 | 5월 3일 | 14.4% | 13.7% | ||
제36회 | 5월 4일 | 15.7% | 17.5% | ||
제37회 | 5월 10일 | 15.0% | 13.2% | ||
제38회 | 5월 11일 | 16.3% | 16.1% | ||
제39회 | 5월 17일 | 15.4% | 15.5% | ||
제40회 | 5월 18일 | 17.2% | 17.3% | ||
제41회 | 5월 24일 | 13.8% | 13.2% | ||
제42회 | 5월 25일 | 17.0% | 15.2% | ||
제43회 | 6월 1일 | 15.7% | 13.9% | ||
제44회 | 6월 7일 | 13.4% | 12.4% | ||
제45회 | 6월 8일 | 13.9% | 14.1% | ||
제46회 | 6월 14일 | 12.4% | 12.9% | ||
제47회 | 6월 15일 | 15.3% | 15.0% | ||
제48회 | 6월 21일 | 14.1% | 12.7% | ||
제49회 | 6월 22일 | 10.0% | 9.7% | ||
제50회 | 6월 28일 | 13.9% | 13.0% | ||
제51회 | 6월 29일 | 13.8% | 14.2% | ||
제52회 | 7월 5일 | 12.1% | 13.2% | ||
제53회 | 7월 6일 | 14.2% | 14.1% | ||
제54회 | 7월 12일 | 12.0% | 12.9% | ||
제55회 | 7월 13일 | 14.8% | 14.3% | ||
제56회 | 7월 19일 | 11.9% | 12.6% | ||
제57회 | 7월 20일 | 15.5% | 15.6% | ||
제58회 | 7월 26일 | 13.4% | 12.7% | ||
제59회 | 7월 27일 | 13.2% | 12.8% | ||
제60회 | 8월 2일 | 13.0% | 13.3% | ||
제61회 | 8월 3일 | 12.2% | 11.9% | ||
제62회 | 8월 9일 | 8.8% | 10.0% | ||
제63회 | 8월 24일 | 9.5% | 10.7% | ||
제64회 | 8월 30일 | 11.2% | 9.7% | ||
제65회 | 8월 31일 | 11.4% | 11.4% | ||
제66회 | 9월 6일 | 13.3% | 13.6% | ||
제67회 | 9월 7일 | 16.0% | 15.1% | ||
제68회 | 9월 13일 | 9.5% | 10.8% | ||
제69회 | 9월 14일 | 9.1% | 10.0% | ||
제70회 | 9월 20일 | 13.7% | 13.0% | ||
제71회 | 9월 21일 | 16.1% | 15.6% | ||
제72회 | 9월 27일 | 12.0% | 12.3% | ||
제73회 | 9월 28일 | 14.1% | 13.4% | ||
제74회 | 10월 4일 | 11.9% | 11.9% | ||
제75회 | 10월 5일 | 14.7% | 14.8% | ||
제76회 | 10월 11일 | 12.5% | 12.5% | ||
제77회 | 10월 18일 | 10.5% | 10.7% | ||
제78회 | 10월 19일 | 12.5% | 13.1% | ||
제79회 | 10월 25일 | 8.8% | 10.7% | ||
제80회 | 10월 26일 | 12.4% | 13.7% | ||
제81회 | 11월 1일 | 10.1% | 11.5% | ||
제82회 | 11월 2일 | 11.8% | 12.3% | ||
제83회 | 11월 8일 | 10.9% | 11.0% | ||
제84회 | 11월 9일 | 12.3% | 11.5% | ||
제85회 | 11월 15일 | 11.7% | 10.7% | ||
제86회 | 11월 16일 | 13.6% | 13.1% | ||
평균 시청률 | 15.3% | 15.3% |
- TNmS와 AGB닐슨 미디어 리서치에서 공개한 표를 바탕으로 작성한 시청률이다. 빨간색 글씨는 최고 시청률, 파란색 글씨는 최저 시청률을 나타낸다.
결방과 연장[편집]
- 2008년 5월 31일 - 7시 40분부터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한국 VS 요르단> 중계 편성으로 결방
- 2008년 8월 10일 - 8시 30분부터 <여기는 베이징> 축구 예선 <한국 VS 이탈리아> 중계 편성으로 결방
- 2008년 8월 16일 - 7시 30분부터 <여기는 베이징> 편성으로 결방
- 2008년 8월 17일 - 올림픽 관련 특보 편성으로 결방
- 2008년 8월 23일 - 6시 30분부터 <여기는 베이징> 편성으로 결방
- 대왕 세종 방영 분량이 80부작에서 6회 연장되어 86부작으로 변경.확정되었다.
기타[편집]
- 해당 드라마가 2008년 4월 5일부터 2TV로 이동하면서 연예가중계와 개그콘서트는 주말 오후 9시에서 10시대로 시간대가 변경되었다가[7] <대왕 세종> 종영 후 2008년 가을개편부터 주말 오후 9시로 돌아왔다.
캐스팅에 관해[편집]
관련 사건[편집]
참고 자료[편집]
- ↑ 김태은 (2006년 12월 29일). “방송3사 드라마국장 "새해엔 이 작품을 주목!"”.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6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김현록 (2007년 6월 4일). “'대조영' 연말까지 연장.. 연기자 출연협상 남아”.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6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이준목 (2008년 12월 29일). “2008년, 어떤 드라마들이 사랑받았나”. 오마이뉴스. 2017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하경헌 (2008년 4월 14일). “[TView]KBS ‘대왕세종’ 채널이동 효과는”. 스포츠경향. 2017년 9월 11일에 확인함.
- ↑ 정두홍 "내가 이성계"… '대왕 세종' 깜짝출연 한국일보 2008년 1월 16일 작성
- ↑ 후에 세종의 후궁이 될 예정이었으나 배우의 성대 결절로 중도 하차
- ↑ 고승희 (2008년 11월 4일). “KBS '연예가중계'-'개그콘서트', 9시로 자리 이동”. 스포츠조선. 2017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안진용 (2007년 6월 12일). “'대조영' 끝나면… 11월 '세종대왕' 납신다”. 스포츠한국. 2017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이현아 (2007년 10월 2일). “대하사극 '대왕 세종' 한글날 첫 촬영”. 스포츠한국. 2017년 7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