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국 (드라마)
![]() | |
장르 | 사극 |
---|---|
방송 채널 | KBS 1TV |
방송 기간 | 1983년 1월 2일 ~ 1983년 12월 18일 |
방송 시간 | 일요일 오후 8시 |
방송 횟수 | 49부작 |
원작 | 이태원 |
제작사 | KBS |
연출 | 장형일 |
조연출 | 엄기백, 정을영 |
각본 | 이은성 |
출연자 | 임동진, 임혁, 신구 외 |
해설 | 이강식 |
HD 방송 여부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
![]() |
《개국》은 1983년 1월 2일부터 1983년 12월 18일까지 방송된 한국방송공사 공영 방송 10주년을 기념하는 KBS 1TV 대하 드라마인데 "야사에 지나쳐 정사를 오도했다"는 혹평을 받았다.[1]
제작진[편집]
등장 인물[편집]
고려 군주[편집]
공민왕 관련 인물[편집]
- 선우은숙 : 노국대장공주 역 - 공민왕의 왕비, 원 위왕의 딸
- 백찬기 : 신돈 역 - 고려의 정치가
- 채령 : 정비 안씨 역 - 공민왕의 4번째 왕비
- 조남경 : 혜비 이씨 역 - 공민왕의 2번째 왕비
- 금보라 : 사비 반야 역 - 신돈의 애첩, 우왕의 어머니
- 김동완 : 안도치 역 - 공민왕의 환관
- 정민 : 보우 역 - 고려의 승려
- 이계영 : 홍륜 역 - 공민왕을 살해한 자제위
우왕 관련 인물[편집]
공양왕 관련 인물[편집]
조선 군주[편집]
태조 관련 인물[편집]
- 박경득 : 환조 역 - 태조의 아버지
- 하대경 : 이나해 역 - 원나라 다로가치, 태조의 숙부
- 김경하 : 완풍대군 역 - 태조의 형
- 태현실 : 신의왕후 역 - 태조의 1번째 왕비
- 하미혜 : 신덕왕후 역 - 태조의 2번째 왕비
- 태민영 : 진안대군 역 - 태조의 1번째 아들
- 김기복 : 익안대군 역 - 태조의 3번째 아들
- 미상 : 회안대군 역 - 태조의 4번째 아들
- 전호진 : 덕안대군 역 - 태조의 6번째 아들
신료[편집]
- 신구 : 최영 역 - 고려의 장군
- 박용식 : 경복흥 역 - 고려의 문신
- 김종결, 이문환 : 정세운 역 - 고려의 무신
- 이치우 : 김용 역 - 고려의 무신
- 임병기 : 김득배 역 - 고려의 무신
- 최명수 : 김첨수 역 - 고려의 문신
- 이정웅 : 정사도 역 - 고려의 문신
- 김길호 : 이제현 역 - 고려의 문신
- 김윤형 : 기철 역 - 고려의 부원배, 기황후의 오빠
- 이용진 : 기륜 역 - 고려의 부원배, 기철의 동생
- 안병경 : 임견미 역 - 고려의 권신
- 유병한 : 이인임 역 - 고려의 권신
- 이성웅 : 염흥방 역 - 고려의 권신
- 박영목 : 이림 역 - 고려의 문신
- 이현두 : 김저 역 - 고려의 무신
- 전무송 : 이색 역 - 고려의 문신
- 박인환 : 변안렬 역 - 고려의 무신
- 김성겸 : 이방실 역 - 고려의 무신
- 송재호 : 정몽주 역 - 고려의 문신
- 김흥기 : 정도전 역 - 조선의 문신
- 선동혁 : 목충 역 - 고려의 무신
- 한현배 : 정득후 역 - 고려의 무신
- 김창봉 : 우현보 역 - 고려의 문신
- 윤승원 : 문익점 역 - 고려의 문신
- 이신재 : 윤소종 역 - 조선의 문신
- 신종섭 : 조민수 역 - 고려의 무신
- 이호재 : 배극렴 역 - 조선의 무신
- 강민호 : 이지란(여진천호퉁두란) 역 - 조선의 무신
- 남일우 : 염제신 역 - 고려의 문신
- 노주현 : 조준 역 - 조선의 문신
- 양재성 : 남은 역 - 조선의 문신
- 장용 : 박종회 / 조인옥 역 - 조선의 무신
- 김봉근 : 인당 역 - 고려의 무신
- 안대용 : 김원명 역 - 고려의 무신
- 박해상 : 이춘부 역 - 고려의 문신
- 박칠용 : 조반 역 - 조선의 문신
- 이일웅 : 곽충보 역 - 고려의 문신
- 유종근 : 권희 역 - 고려의 문신
- 송창신 : 류구 역 - 조선의 문신
원나라[편집]
왜국[편집]
그 외 인물[편집]
- 장학수 : 조영규 역
- 김해권 : 조소생 역
- 장항선 : 영조 역
- 박규식 : 조일신 역
- 김하림 : 이강달 역
- 정해창 : 김사행 역
- 곽경환 : 정운경 역
- 김미숙 : 윤란 역
- 차양희 : 임치 역
- 황민 : 박의 역
- 안광진 : 안우 역
- 서상익 : 박춘 역
- 황범식 : 신순 역
- 반문섭 : 왕흥 역
- 윤덕용 : 창구 / 김완 역
- 최정훈 : 처산 역
- 백일섭 : 떡대 역
- 윤미라 : 두례 역
- 홍영자 : 순녀 모친 역
- 권기선 : 순녀 역
- 한혜경 : 자녀 역
- 공경구 : 근삼 역
- 채수영 : 종학 역
- 임영식 : 고 총각 역
- 박정웅 : 노 서방 역
- 정종준 : 살적한 역
- 조춘 : 천희 스님 역
- 하대경 : 강윤성 역
- 장순국
- 기정수
- 송종원
- 박승규
- 오중훈
- 곽정희
- 신수강
- 장광비
- 최문선
- 정유선
- 박태서
- 서영진
- 박시영
- 이강수
- 고광우
- 오기환
- 박현정
- 이제신
- 최용욱
- 정인철
- 김진오
- 안성호
- 김동수
- 최동균
- 최상일
- 김상락
- 구우룡
회차별 부제[편집]
1983년 | ||||
---|---|---|---|---|
회차 | 방송일 | 부제 | 비고 | |
1회 | 1월 2일 | 동북에서 부는 바람 | ||
2회 | 1월 9일 | 송도의 종소리 | ||
3회 | 1월 16일 | 예성강의 노을 | ||
4회 | 1월 23일 | 송악에 푸른 빛이 | ||
5회 | 1월 30일 | 기다리는 사람들 | ||
6회 | 2월 6일 | 원한의 쌍성 탈환 | ||
7회 | 2월 13일 | 동트는 하늘 | ||
8회 | 2월 20일 | 개경으로 가는 길 | ||
9회 | 2월 27일 | 노국공주의 사랑 | ||
10회 | 3월 6일 | 원에서 온 사자 | ||
11회 | 3월 13일 | 대충신 | ||
12회 | 3월 20일 | 만월대의 여인들 | ||
13회 | 3월 27일 | 숙옹부의 깊은 밤 | ||
14회 | 4월 3일 | 신돈의 독대 | ||
15회 | 4월 10일 | 운명의 여인 | ||
16회 | 4월 17일 | 홍건적의 난 | ||
17회 | 4월 24일 | 승전고 | ||
18회 | 5월 1일 | 고려의 인재들 | 5월 8일에는 6시 5분부터 프로축구 슈퍼리그 <포철 VS 대우> 중계 편성으로 결방 | |
19회 | 5월 15일 | 동북의 별 | ||
20회 | 5월 22일 | 독로강의 횃불 | ||
21회 | 5월 29일 | 풍전등화 | ||
22회 | 6월 5일 | 개경 탈환 | ||
23회 | 6월 12일 | 모반자 | ||
24회 | 6월 19일 | 난세의 인물들 | ||
25회 | 6월 26일 | 흥왕사의 회오리 | ||
26회 | 7월 3일 | 비운의 노국공주 | ||
27회 | 7월 10일 | 신돈의 환속 | ||
28회 | 7월 17일 | 공민왕의 여인들 | ||
29회 | 7월 24일 | 자규야 알랴마는 | ||
30회 | 7월 31일 | 무니노의 탄생 | ||
31회 | 8월 7일 | 가는 자와 오는 자 | ||
32회 | 8월 14일 | 공민왕 23년 | ||
33회 | 8월 21일 | 한 많은 모정 | ||
34회 | 8월 28일 | 예성강의 낙조 | ||
35회 | 9월 4일 | 전하, 전하 | ||
36회 | 9월 11일 | 해풍 | ||
37회 | 9월 18일 | 황산대첩 | ||
38회 | 9월 25일 | 산야에 피는 꽃 | ||
39회 | 10월 2일 | 동북에 심은 뜻은 | 10월 9일에는 5시 50분부터[2] 세계청소년축구 4강 초청 축구대회 결승전 중계가 길어져서 결방 | |
40회 | 10월 16일 | 강한 자와 강한 자 | ||
41회 | 10월 23일 | 옛 땅, 저 요동벌 | ||
42회 | 10월 30일 | 사불가론 | ||
43회 | 11월 6일 | 위화도 회군 | ||
44회 | 11월 13일 | 최영의 죽음 | ||
45회 | 11월 20일 | 아홉 살의 임금 | ||
46회 | 11월 27일 | 여명의 횃불 | ||
47회 | 12월 4일 | 고려의 숨소리 | ||
48회 | 12월 11일 | 고려 34대 공양왕 | ||
49회 | 12월 18일 | 다시 솟는 아침 |
각주[편집]
- ↑ 김홍묵 (1983년 10월 8일). “드라마「開國(개국)」에 王(왕)씨門中(문중)술렁”. 동아일보. 202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KBS 프로변경”. 경향신문. 1983년 10월 8일. 2022년 6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개국 유튜브 채널 - 풀영상(멤버십 전용)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풍운
(1982년 1월 10일 ~ 1982년 12월 26일) |
개국
(1983년 1월 2일 ~ 1983년 12월 18일) |
독립문
(1984년 1월 1일 ~ 1984년 12월 3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