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조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cto infobox TV-icon-novela.png
조광조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1996년 1월 1일 ~ 1996년 6월 25일
방송 횟수 52부작
기획 김재현
연출 엄기백
각본 정하연
출연자 유동근
이진우
김혜리
홍리나
김성령
박주미
신윤정
김민정
박진성
김동현
최상훈
민욱
김형자
이일웅
남일우
김병기
김자옥
여는 곡 주현미 《인생유정》
HD 방송 여부 SD 제작 · 방송

조광조》는 KBS2TV에서 1996년 1월 1일부터 1996년 6월 25일까지 방영되었던 드라마이다.

제작진[편집]

등장 인물[편집]

결방[편집]

  • 1996년 1월 2일 : 신년특집 드라마 아버지 편성으로 결방(전날 1~2회 연속 방송)
  • 1996년 2월 19일 : 설날특집 3부작 드라마 이 9시부터 1~3부 연속 편성되어 결방(다음 날 15~16회 연속 방영)

참고 사항[편집]

  • 극중 조광조 역으로 나온 유동근은 <조광조>에 캐스팅되기 전 SBS 임꺽정의 주인공으로 낙점됐지만 담당 PD 엄기백씨의 설득에 <조광조> 출연으로 방향을 바꿨다[1].
  • 본작의 작가 정하연은 <조광조>에 앞서 정난정황진이 이야기를 구상할 계획이었으나[2] 무산된 바 있었는데 해당 드라마 때문에 줄곧 집필을 맡아 온[3] KBS 2TV 아침 TV 소설 여울에서 도중하차했다.
  • 조광조중종의 대립 등 남성중심의 사극으로 관심을 모았지만[4] 단경왕후(죽동궁 신씨)의 비중이 지나치게 그려졌다는 비판을 사 기대 이하의 성적에 그쳤다. 집필자 정하연 작가는 <조광조>의 실패에 따른 충격 탓인지 KBS 1TV <용의 눈물> 집필 제의를 받았으나[5] 스스로 포기했다.
  • KBS는 <조광조>의 후속으로 <96 전설의 고향>을 편성할 예정이었지만 이 드라마의 원작자 임충 작가가 본인의 또다른 작품인 SBS 사극 <만강>과 같은 시간에 방영되는 것을 원하지 않자[6] 미니시리즈 <컬러> 후속 수목극으로 기획됐던 <신고합니다>와 편성을 맞바꿨고 이 때문에 출연진 중의 한 명이었던 김자옥이 후속작 <신고합니다>에 또다시 나왔다.
  • <조광조> 이후 KBS의 월화드라마 시간대는 <신고합니다>부터 <고독>까지 미니시리즈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임재만 (1996년 2월 22일). “유동근 `임꺽정'서 학자`조광조' 바꿔타기”. 일간스포츠. 2015년 9월 30일에 확인함. 
  2. 서광원 (1995년 8월 1일). “침체벗는 「TV사극」'연타'를 노린다”. 경향신문. 2015년 9월 28일에 확인함. 
  3. 연합 (1995년 10월 4일). “<방송> 왕년의 스타들, 아침드라마서 연기대결”. 연합뉴스. 2018년 3월 16일에 확인함. 
  4. “조광조 끝내 중종의 사약 받아 「조광조」KBS2 밤9.45”. 동아일보. 1996년 6월 25일. 2017년 9월 3일에 확인함. 
  5. 진성호 (1998년 6월 9일). “[KBS 왕과비] `아류' 한계 극복할 수 있을까”. 조선일보. 2018년 3월 16일에 확인함. 
  6. 김경애 (1996년 6월 28일). “차인표-장동건 2년만의 승부”. 한겨레신문. 2015년 11월 2일에 확인함. 
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