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회 (드라마)
![]() | |
장르 | 사극 |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KBS 2TV |
방송 기간 | 1994년 1월 3일 ~ 1994년 12월 27일 |
방송 시간 | 월요일, 화요일 밤 9시 50분 ~ 10시 45분 |
방송 횟수 | 104부 |
원작 | 신봉승의
|
책임프로듀서 | 김재현 |
연출 | 김재형 |
조연출 | 김상기 |
각본 | 신봉승 |
출연자 | |
해설 | 김도현 |
《한명회 》(韓明澮)는 1994년 1월 3일부터 1994년 12월 27일까지 방영된 KBS 2TV 월화 드라마이다.
1994년 말 막을 내릴 예정이었던 해당 작품의 연장 방영을 바라는 시청자의 요구가 급증하자 KBS는 당초 3개월 시차를 두고 후속으로 내보내려던 《장녹수》의 방송을 앞당겨 해당 작품의 종영과 함께 후속작으로 편성했다.[1]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한명회 관련[편집]
- 정영숙: 양천 허씨 역
- 이신재: 민대생 역
- 이덕희: 황려부부인(黃驪府夫人) 여흥 민씨 역
- 서영진: 한명진 역
- 이재은: 청주 한씨 역 - 고령부원군 신숙주의 장남 봉례랑 신주(奉禮郞 申澍)의 처
- 김민정: 청주 한씨 역 - 영천부원군 윤사로의 장남 영천군 윤반(鈴川君 尹磻)의 처
- 최정: 한보 역
- 황범식: 만득 역
- 이응경: 난 역 - 한명회의 첩
조선의 국왕[편집]
- 김원배: 세종 역
- 송승환: 문종 역
- 정태우: 단종 역
- 윤다훈: 덕종 (의경세자) 역
- 문혁: 예종 역 (아역: 변성현)
- 박진성: 성종 역 (아역: 최강원, 고동현)
- 이민우: 연산군 역 (아역: 김푸름, 이동엽)
조선의 왕비ㆍ후궁[편집]
- 박준금: 혜빈 양씨 역
- 박영귀: 숙빈 홍씨 역
- 박루시아: 정순왕후 역
- 홍세미: 정희왕후 윤씨 역
- 박인나: 장순왕후 한씨 역
- 김은주: 안순왕후 한씨 역 (아역: 이인혜)
- 김혜경: 공혜왕후 한씨 역
- 조민희: 정현왕후 윤씨 역
- 장서희: 폐비 윤씨 역
- 이은경: 폐비 신씨 역
- 정유진: 귀인 정씨 역
- 최정원: 귀인 엄씨 역
조선의 왕족[편집]
- 박병호: 양녕대군 역
- 반석진: 효령대군 역
- 노영국: 안평대군 역
- 고인배: 금성대군 역
- 정하완: 귀성군 역
- 김성환: 영풍군 역
- 전소희: 경혜공주 역
- 문창길: 화의군 역
- 임호: 월산대군 역
- 성우진: 안양군 역
- 최우혁: 봉안군 역
궁궐의 환관 및 상궁[편집]
김종서의 일파[편집]
- 임동진: 김종서
- 이치우: 황보인 역
- 안대용: 이현로 역
- 서상익: 민신 역
- 강인기: 김승규 역
- 견미리: 김종서의 여진독 첩 진녀 역
- 허현호: 이징옥 역
- 하대경: 조극관 역
- 곽경환, 윤용덕: 휘하 역
수양대군의 일파[편집]
사육신의 일파[편집]
조선의 문신 & 무신[편집]
- 한인수: 정인지 역
- 박웅: 한확 역
- 강성욱: 정창손 역
- 원석연: 최항 역
- 김시원: 강맹경 역
- 한정국: 조석문 역
- 김봉근: 임원준 역
- 임혁: 노사신 역
- 김창봉: 이사철 역
- 신동훈: 김종직 역
- 김정훈: 김질 역
- 양영준: 신승선 역
- 손호균: 유자광 역
- 안병경: 임사홍 역
- 이원용: 임숭재 역
- 김광영: 임광재 역
- 임혁주: 구치관 역
- 조재훈: 황수신 역
- 이상용: 정현조 역
- 김성수: 신면 역
- 이성웅: 이시애 역
- 김하균: 윤구 역
- 허동훈: 윤우 역
- 윤성국: 봉석주 역
- 기정수: 박원형 역
- 전병옥: 조지서 역
- 이기철: 신수근 역
- 박건식: 이세좌 역
- 이한승: 강희맹 역
- 반문섭: 윤필상 역
- 김경응: 남이 역
- 유순철: 허침 역
- 서상익: 이계전 역
- 장기용: 이자건 역
- 윤용준: 홍귀달 역
- 홍선용: 영양위 정종 역
- 맹호림: 송현수 역
- 이기홍: 허유례 역
- 남성식: 이보흠 역
- 차두옥: 이명민 역
- 고광우: 최호원 역
- 유태술: 최영손 역
- 임성원: 김시습 역
이징옥의 난(대금국) 관련[편집]
그 외 인물[편집]
- 이기철: 박호문 역
- 서우림: 고령 신씨 (장흥부부인) 역
- 고희준: 이시합 역
- 박칠용: 엄흥도 역
- 유병준: 조득림 역
- 조춘: 신미대사 역
- 최지나: 어우동 역
- 함석훈(박호문의 일파), 안광진(내금위장), 강신조(사육신의 일파), 김윤형, 김옥만(계유정난의 일파), 이용진(금성대군의 일파), 함재석(이징옥의 일파): 휘하 역
- 손종범, 박유승, 김용준: 선비 역
- 오성열: 종복 역 - 금성대군의 일파
- 박경득: 경상도 관찰사 역
- 안형식: 안동부사 역
- 신원균: 금부도사 역
- 이경영: 난의 정혼자
- 권오현: 안동대도호부 관노
- 이정웅: 대간 역
- 이종만: 점쟁이 역
- 황덕재
- 김태형
- 권혁호: 남용신 역
- 박현: 황보석 역
- 김하림: 정동 역
- 김기복: 사신 역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편집]
- 1994년 11월 14일: 16일부터 8부작 미니시리즈 《스칼렛》 편성 관계로 91~92회 연속 방영
- 1994년 11월 15일: 수목드라마 《인간의 땅》 11회, 12회분 연속 편성으로 인해 결방[2]
참고 사항[편집]
- 한명회 역을 맡았던 이덕화는 해당 드라마 이후 한동안 브라운관에서 사라졌다가 1997년 SBS 《이웃집 여자》로 안방극장 복귀를 했다.[3]
- 도지원은 캐스팅 물망에 올랐으나 스스로 거부했다.[4]
- 궁궐 안팎 장면이 용인민속촌에 머문 데다가 현대물에서 주인공을 맡았던 배우들이 극중 이미지가 채 잊히기도 전에 갓과 도포로 바꿔입고 사극에 출연하여 시청자들이 새 인물에 쉽게 적응할 수 없었다는 지적이 있었다.[5]
- 한명회가 실제 역사와 달리 지나치게 개혁적인 인물로 그려졌다는 지적이 있었다.[6]
수상[편집]
- 1994년 KBS 연기대상 대상 - 이덕화
- 1994년 KBS 연기대상 청소년 연기상 - 이민우, 박루시아
- 1994년 KBS 연기대상 우정상 - 이종만
- 1994년 KBS 연기대상 연기자가 뽑은 올해의 PD상 - 김재형
각주[편집]
- ↑ “타이틀롤 새史劇 「쟁녹수」 누구에게”. 문화일보. 1994년 11월 30일. 2020년 5월 2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后 (1994년 11월 15일). [https ://news.joins.com/article/2970174 “<오늘의채널톱>KBS.2TV "인간의땅"”]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중앙일보. 2018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 “이덕화,2년만에 드라마 출연”. 경향신문. 1997년 6월 2일. 2016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권재현 (2001년 9월 9일). “[스타인터뷰]'여인천하' 도지원 "뭬야? 내가 욕쟁이라고?"”. 동아일보. 2018년 6월 7일에 확인함.
- ↑ 오광수 (1994년 1월 11일). “새 사극 「한명회」·「야망」「개혁」부각...劇的(극적)흥미 높여”. 경향신문. 2018년 6월 7일에 확인함.
- ↑ 최병준 (1994년 3월 15일). “안방극장 史劇(사극)바람”. 경향신문. 2018년 6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https ://www.youtube.com/playlist?list=PLtIE58PMEFP6VPhLZNHo8v3UKoGjP32ps 한명회 유튜브 채널] - 풀영상(멤버십 전용)
KBS 2TV 월화 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일월
(1993년 1월 4일 ~ 1993년 12월 28일) |
한명회
(1994년 1월 3일 ~ 1994년 12월 27일) |
장녹수
(1995년 1월 2일 ~ 1995년 6월 27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