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예종
![]() 睿宗 | |
---|---|
지위 | |
대조선국 국왕 | |
재위 | 1468년-1469년 |
전임 | 세조 |
후임 | 성종 |
섭정 | 귀성군 이준(1468.09.23.~1469.01.31.) 영의정 한명회(1469.01.31.~1469.02.20.) |
재상 | |
이름 | |
휘 | 이황(李晄) |
별호 | 자 명조(明照) 또는 평남(平南) |
묘호 | 예종(睿宗) |
시호 | 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
능호 | 창릉 |
신상정보 | |
출생일 | 1450년 1월 14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본궁 |
사망일 | 1469년 12월 31일 | (19세)
사망지 | 조선 한성부 경복궁 자미당 |
매장지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
왕조 | 조선 왕조 |
가문 | 전주 이씨 |
부친 | 세조 |
모친 | 정희왕후 |
배우자 | 장순왕후 안순왕후 |
예종(睿宗, 1450년 1월 14일(음력 1월 1일) ~ 1469년 12월 31일(음력 11월 28일), 재위 1468년 ~ 1469년)은 조선의 제8대 임금이다. 성은 이(李), 휘는 황(晄),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명조(明照) 또는 평남(平南). 시호는 예종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睿宗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이다. 세조와 정희왕후의 둘째 아들이다.
치세[편집]
1468년 9월 23일에서 이듬해 1469년 12월 31일까지 재위하는 동안 1468년 9월 23일에서 1469년 1월 31일까지 사촌 형이자 손아랫동서인 영의정 귀성군 이준이 1차 섭정하였으며 1469년 1월 31일에서 2월 20일까지 영의정 한명회가 2차 섭정하였고 1469년 2월 20일에서 같은 해 1469년 12월 31일 승하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생애[편집]
1450년(세종 32년) 정월 정축일에 당시 수양대군이었던 세조와 정희왕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세조가 왕위에 오른 뒤 해양대군(海陽大君)으로 봉해졌으나 형인 의경세자가 1457년 9월에 훙서하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460년(세조 6년) 한명회의 딸을 세자빈 (장순왕후)으로 맞이하였다. 그러나 세자빈 한씨는 1461년 12월 31일(음력 11월 30일)에 원손 인성대군을 낳고 며칠뒤 산후병으로 요절하였다. 3년상을 마친 후인 1463년(세조 9년) 새로이 세자빈을 맞이하지 않고 간택후궁인 한백륜의 딸 소훈 한씨가 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1468년 9월 22일(음력 9월 7일)에 병환이 깊어진 세조의 선위로 수강궁(壽康宮) 중문(中門)에서 19세에 즉위하였다. 상왕으로 물러나게된 세조는 다음날인 8일에 승하했다.
예종이 즉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1468년에 남이의 옥 사건이 일어났으며, 1469년에는 삼포(부산포, 염포, 제포)에서 일본과의 개별 무역을 금지하였고, 그 외에도 병영에 딸려 있는 논과 밭을 일반 농민들이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해 주었다. 또한 세조 때부터 편찬하기 시작했던 《경국대전》이 완성되었으나 이를 반포하지 못한 채 1469년 12월 31일 (음력 11월 28일) 진시(辰時) (오전 7시~9시) 에 자미당(紫薇堂)에서 승하하였다. 사인은 봉와직염의 악화로 인한 패혈증으로 추정된다. 묘호는 예종 자신의 유지에 따라 예종(睿宗)이며, 시호는 흠문성무의인소효(欽文聖武懿仁昭孝)이다.
예종이 승하한 당일 날, 왕대비였던 정희왕후의 명으로 의경세자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예종의 양자로 입적되어 왕위에 올랐다. 왕위계승서열 첫 번째인 원자(예종과 안순왕후의 아들), 두 번째인 의경세자의 장자 월산군은 각각 나이가 너무 어리고 병약하다는 이유로 후계자에서 제외되었으나 정희왕후와 수빈 한씨 (인수대비=소혜왕후), 자을산군의 장인이었던 한명회 등의 정치적 결탁으로 인한 결과였다. 이후 원자는 제안대군으로 봉해졌으며, 평원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일곱번째 아들)의 후사로 입적되었다.
능묘[편집]
능은 서오릉 중의 하나인 창릉(昌陵)이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다. 계비인 안순왕후와 합장되었다.
가계[편집]
조선 제8대 국왕 | 예종 睿宗 | 출생 | 사망 |
---|---|---|---|
1450년 1월 14일 (음력 1월 1일)![]() |
1469년 12월 31일 (음력 11월 28일) (19세)![]() |
부모[편집]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부 | 세조대왕 世祖大王 | 전주 | 1417년 - 1468년 | 세종대왕 世宗大王 소헌왕후 심씨 昭憲王后 沈氏 |
제7대 국왕 |
모 | 정희왕후 윤씨 貞熹王后 尹氏 자성대왕대비 慈聖大王大妃 자성왕대비 慈聖王大妃 |
파평 | 1418년 - 1483년 | 파평부원군 윤번 坡平府院君 尹璠 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 興寧府大夫人 仁川 李氏 |
왕비[편집]
시호 |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정비 | 장순왕후 한씨 章順王后 韓氏 | 청주 | 1445년 - 1462년 | 상당부원군 한명회 上黨府院君 韓明澮 황려부부인 여흥 민씨 黃驪府夫人 驪興 閔氏 |
1472년(성종 3년) 왕후로 추존 |
계비 | 안순왕후 한씨 安順王后 韓氏 명의대왕대비 明懿大王大妃 인혜왕대비 仁惠王大妃 |
1445년 - 1498년 | 청천부원군 한백륜 淸川府院君 韓伯倫 서하부부인 풍천 임씨 西河府夫人 豊川 任氏 |
후궁[편집]
작호 |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빈 | 공빈 최씨 恭嬪 崔氏[1] | 전주 | 생몰년 미상 | 최도일 崔道一 경주 정씨 慶州 鄭氏 |
|
궁인 | 상궁 기씨 尙宮 奇氏[2] | 미상 | ? - 1489년 | 미상 | |
후궁 이씨 後宮 李氏[3] | 생몰년 미상 | 이의생 李義生 |
왕자[편집]
군호 | 이름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1 | 인성대군 仁城大君 | 분 糞 | 1461년 - 1463년 | 장순왕후 한씨 | 미혼 | |
2 | 제안대군 齋安大君 | 현 琄 | 1466년 - 1525년 | 안순왕후 한씨 | 상산부부인 상산 김씨 象山府夫人 尙山 金氏 승평부부인 순천 박씨 昇平府夫人 順天 朴氏 |
평원대군[4]에게 입적 |
- | 대군[5] | 생몰년 미상 | 미혼 |
왕녀[편집]
작호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
1 | 현숙공주 顯肅公主 | 1464년 - 1502년 | 안순왕후 한씨 | 풍천위 豐川尉 임광재[6] 任光載 | |
2 | 혜순공주 惠順公主 | 1468년 - 1469년 | 미혼 |
예종이 등장한 작품[편집]
- 《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한영수)
- 《한명회》 (KBS, 1994년, 배우:문혁/ 아역:변성현)
- 《왕과 비》 (KBS, 1998년~2000년, 배우:이영호)
- 《왕과 나》 (SBS, 2007년, 배우:유동혁)
-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노영학 / 아역:양온유, 김준성, 박준목)
- 《임금님의 사건수첩》 (영화, 2017년, 배우:이선균)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 ||
전 임 세조 |
1468년 ~ 1469년 | 후 임 성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