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군
![]() 仁城君 | |
---|---|
지위 | |
조선 선조의 왕자 | |
이름 | |
휘 | 이공(李珙) |
별호 | 호는 백인(百忍) |
시호 | 효민 (孝愍) |
신상정보 | |
출생일 | 1588년 10월 29일(음력)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628년 5월 20일(음력) | (39세)
사망지 | 조선 전라도 진도 |
매장지 | 인성군 묘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
부친 | 선조 |
모친 | 정빈 민씨 |
배우자 | 부부인 해평 윤씨 |
자녀 | 해평군, 해안군, 해원군, 해령군, 해양군, 딸 2명 |
인성군(仁城君, 1588년 음력 10월 29일(12월 17일) ~ 1628년 음력 5월 20일(6월 21일))은 조선의 왕족이다.
생애[편집]
선조 시대[편집]
1588년(선조 21년) 음력 10월 29일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와 후궁 정빈 민씨의 장남이자 선조의 7남으로 태어났다. 성은 이, 이름은 공(珙), 본관은 전주이며, 호는 백인(百忍)이다[1].
5살 때인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는 바람에 의주로 피난을 갔다가, 1597년(선조 30년) 성천으로 옮겨졌다. 이 해 음력 12월 한양으로 돌아와 정식으로 인성군(仁城君)에 봉해졌다. 이후 1603년(선조 36년) 음력 3월 9일 형조판서를 지낸 윤승길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이 일을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의 사관은 난리를 겪은 직후에 이뤄진 혼인임에도 쓰이는 재물은 오히려 이전보다 훨씬 많고, 가례를 담당한 관원들이 사적으로 재물을 챙기면서 백성들에게까지 재물을 갈취하는 바람에 그 아우성이 듣지 못할 정도로 참혹했다고 맹비난을 하고 있다[2].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과 호성원종공신을 책록할 때 인성군은 이복 형 순화군, 이복 동생 의창군과 함께 호성원종공신 1등의 한 사람으로 책록되었다.
광해군 시대[편집]
이복 형인 광해군 즉위 후에는 사옹원과 종부시의 도제조를 맡았다[1]. 그러나 1612년(광해군 4년) 길에서 조정의 대간을 보고도 아무런 예의를 갖추지 않은 채 말에서 내리지 않고 그냥 지나갔다가 탄핵을 받고[3], 1615년(광해군 7년) 음력 윤8월 2일에는 역모에까지 몰렸으나 모두 광해군의 비호로 아무 일 없이 지나갈 수 있었다[4].
인성군은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와 그 아들 영창대군의 폐위 및 사사에도 적극 참여하면서, 두 사람의 죄를 다스릴 것을 청하였다. 1613년(광해군 5년)에는 먼저 영창대군의 사사를 적극적으로 간하면서[5], 영창대군의 죄를 논하는 데에 참석하지 않은 종친들을 파직시킬 것을 간하였다[6]. 또 1617년(광해군 9년)부터는 종실들을 이끌고 인목왕후의 폐출을 앞장서서 간하기 시작하였다[7][8].
인조 시대[편집]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지난 날 인목왕후의 폐위 등에 동조했다 하여 그 처벌이 논의됐으나 인조가 윤허하지 않아 무사할 수 있었다[9]. 또 인조는 인성군을 항상 숙부라고 부르며 예우를 하였다고 한다[1]. 그러나 이 해에 출근하던 사헌부의 관리들이 길에서 자신을 보고도 피하지 않자 이를 문제삼고 감찰을 추고하도록 청하였는데, 이것이 헌부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자 함부로 꾸짖고 욕보이는 바람에 또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이 때에도 인조의 비호 아래 아무 일 없이 지나갔다[10].
그러나 이듬해인 1624년(인조 2년) 음력 11월에 폐위된 광해군을 태상왕으로 올리고 인성군을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역모가 고변되었다[11]. 이로 인해 당시 수많은 대신들이 인성군의 유배를 주청하였으나, 인조는 인성군이 역모를 주도한 무리에 가담한 흔적이 없어 벌을 줄 수 없다 하여 계속해서 처벌을 미뤘다[12]. 그러나 인성군의 유배를 주청하는 상소는 이듬해 음력 2월까지 수도 없이 계속되었고, 결국 이를 이기지 못한 인조는 1625년(인조 3년) 음력 2월 23일 인성군에게 유배령을 내렸다. 다만 유배지에서도 그 거처를 편안하게 하고 물자도 부족하지 않게 공급하도록 명하였다[13]. 이틀 후인 음력 2월 25일 인성군은 강원도 간성군에 안치되었는데, 이날 인조는 인성군의 아들 해평도정에게 직접 인성군이 유배를 가게 된 사정을 말해줬을 뿐 아니라[14], 다음날에는 인성군에게 교자와 어의, 호위병 등을 붙여주었다[15].
한편 이 해 음력 10월 18일 검열[주 1] 목성선, 승문원 부정자[주 2] 유석 등이 인성군에게는 죄가 없으니 방면하라는 상소를 올렸다[16]. 게다가 전날에는 인성군의 유배지에 다녀온 아들 해평도정이 인성군이 병으로 고통스러워 함을 설명하자, 인조는 인성군에 대해 석방을 명하였다[17]. 그러나 곧바로 대간에서 목성선의 상소가 잘못된 것이라고 연이어 반박을 하는 바람에[18], 인성군은 석방되지 못하고 원주로 이배되었다[19]. 이후 인조는 인성군에게 지속적으로 의원과 약, 옷감 등을 보내주었고[20][21], 1626년(인조 4년) 음력 11월 1일 인성군의 생모 정빈 민씨가 병이 들었다는 이유로 마침내 인성군을 석방토록 하였다[22].
그러나 이듬해인 1628년(인조 6년) 음력 1월 3일, 당시 세마[주 3] 허유(許逌) 등을 비롯한 이들이 일으킨 역모에 인성군도 참여했다는 고변이 또 들어왔다[23]. 이때는 인목대비까지 나서서 인성군의 처벌을 주청하였고[24], 종실들도 매일같이 인조를 찾아와 인성군의 처벌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25]. 결국 인성군은 음력 1월 21일 전라도 진도에 안치되었고, 다만 그 가족들과 함께 살 수 있도록 하였다[26]. 이후 대신들은 계속해서 인성군의 사사를 청하기 시작했고[27], 결국 인조는 음력 5월 14일 인성군에게 자진할 것을 명하였다[28]. 인성군은 6일 후인 음력 5월 20일 향년 41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1].
사후[편집]
인성군의 사망 소식을 들은 인조는 그 장례를 예장하도록 하였으나, 이 역시 대신들이 반대하는 바람에 "예장(禮葬)[주 4]"을 "후장(厚葬)[주 5]"이라고 이름을 바꾸는 선에서 타협을 보았다[29].
한편 계속해서 유배지에 남아있던 인성군의 가족들은 1628년(인조 6년) 음력 5월 29일 제주도로 이배되었다[30]. 이후 여자들과 어린 아이들에 한해 1629년(인조 7년) 먼저 방면되었고[31], 1633년(인조 11년)에는 인성군의 장성한 아들들도 모두 방면되었다[32]. 이어 1637년(인조 15년) 음력 3월 23일 인성군의 관작도 모두 회복되었다[33]. 시호는 효민(孝愍)이다[34].
현재 인성군의 묘소는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에 있다. 부인 윤씨와 합장되어 있으며, 묘비 및 상석, 문인상, 망주석 등을 갖추고 있다. 인성군의 묘는 1986년 3월 14일 의정부시의 향토유적 제3호로 지정되었다[35].
기타[편집]
- 인성군이 궁을 나가 살던 지역을 "인성붓재"라는 이름으로 불렀는데, 이것을 한자로 바꿔 "인성현(仁城峴)"으로 부르다가, 이것을 줄여 "인현(仁峴)"이라고 하였다. 이 이름은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인현동의 동명의 유래가 되었다[36].
- 인성군의 막내아들인 해양군은 제주도로 이배되었을 당시 자신이 제주도에서 보고 들은 것을 문집 《규창집(葵窓集)》에 기록하였다. 이는 현재 당시의 제주도의 모습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37].
가족 관계[편집]
인성군은 해평 윤씨 윤승길의 둘째 딸과 결혼하여 5남 2녀를 낳았다[38]. 장남은 해평군 이길이며, 차남은 해안군 이억이다. 해평군과 해안군은 모두 선조와 순빈 김씨의 아들 순화군의 양자로 들어갔다. 3남은 해원군 이건, 4남은 해령군 이급, 5남은 해양군 이희이다[1].
한편 대한민국의 국회의장을 지낸 이재형은 인성군의 10대 종손(宗孫)이다[39].
- 조부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1559)
- 조모 :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1522~1567)
- 아버지 : 제14대 선조(宣祖, 1552~1608, 재위:1567~1608)
- 외조부 : 민사준(閔士俊, 생몰년 미상)
주해 및 각주[편집]
- 주해
- ↑ 예문관에 속한 정9품의 관직명이다. 네이버 어학사전 〈검열2〉 참고
- ↑ 승문원 등에 속한 종9품의 관직명이다. 네이버 백과사전 〈부정자〉 참고
- ↑ 세자 익위사에 속한 정9품의 관직명이다. 네이버 어학사전 〈세마1〉 참고
- ↑ "예를 갖추어 지내는 장사"를 뜻하나, 태상황, 황제, 황태자, 황태손 및 그 후비들의 장례를 뜻하기도 한다. 네이버 어학사전 〈예장〉 참고
- ↑ "단순히 두터운 성의를 갖추어 지내는 장례"를 뜻한다. 네이버 어학사전 〈후장〉 참고
- ↑ 국회의장을 지낸 이재형과 대림산업의 창업주인 이재준 형제의 9대조
- 각주
- ↑ 가 나 다 라 마 《국조인물고》〈이공〉
- ↑ 《조선왕조실록》선조 160권, 36년(1603 계묘 / 명 만력 31년) 3월 9일(을축) 3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광해 59권, 4년(1612 임자 / 명 만력 40년) 11월 1일(신묘) 4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광해 94권, 7년(1615 을묘 / 명 만력 43년) 윤8월 2일(병오) 17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광해 68권, 5년(1613 계축 / 명 만력 41년) 7월 25일(신사)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광해 69권, 5년(1613 계축 / 명 만력 41년) 8월 6일(신묘)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광해 121권, 9년(1617 정사 / 명 만력 45년) 11월 25일(병술) 10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광해 123권, 10년(1618 무오 / 명 만력 46년) 1월 5일(을축) 1번째기사
- ↑ 두산백과 《인성군》
- ↑ 《조선왕조실록》인조 2권, 1년(1623 계해 / 명 천계 3년) 8월 23일(신사)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7권, 2년(1624 갑자 / 명 천계 4년) 11월 8일(무오) 2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7권, 2년(1624 갑자 / 명 천계 4년) 12월 6일(병술)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8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2월 23일(임인)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8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2월 25일(갑진)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8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2월 26일(을사)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0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10월 18일(계사) 2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0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10월 18일(계사) 3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0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10월 30일(을사) 2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0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11월 15일(경신)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3권, 4년(1626 병인 / 명 천계 6년) 7월 17일(정해)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4권, 4년(1626 병인 / 명 천계 6년) 8월 9일(무신)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4권, 4년(1626 병인 / 명 천계 6년) 11월 1일(경오) 2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 8년) 1월 3일(을축) 4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 8년) 1월 20일(임오)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 8년) 1월 20일(임오) 2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 8년) 1월 21일(계미) 2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 8년) 5월 2일(임술) 2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天啓) 8년) 5월 14일(갑술)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 8년) 5월 29일(기축)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 8년) 5월 27일(정해) 2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20권, 7년(1629 기사 / 명 숭정 2년) 3월 3일(기미)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28권, 11년(1633 계유 / 명 숭정 6년) 7월 20일(경술)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인조 34권, 15년(1637 정축 / 명 숭정 10년) 3월 23일(임술) 1번째기사
-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인성군〉”. 2016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두산백과 〈인성군묘〉
- ↑ 네이버 지식백과 〈소인현동〉
- ↑ 디지털제주문화대전 〈인성군 가족 유배〉
- ↑ 《국조인물고》〈윤승길〉
-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인성군파 약사”. 2005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억〉
- ↑ 두산백과 〈해원군〉
- ↑ 《국조인물고》〈이급〉
- ↑ 《선원보략수정의궤(璿源譜略修正儀軌)》 1874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