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성대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龍城大君 | |
---|---|
지위 | |
대군(大君) | |
이름 | |
휘 | 이곤 李滾 |
별호 | 시호는 장의(章懿) |
신상정보 | |
출생일 | 1624년 10월 24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629년 12월 22일 | (5세)
사망지 | 조선 한성부에서 병사 |
부친 | 인조 |
모친 | 인렬왕후 한씨(모) 장렬왕후 조씨(계모) 귀인 조씨(서모) |
자녀 | 복평군 이연(양자) |
기타 친인척 | 정원대원군 원종(할아버지) 임해군(종조부) 광해군(종조부) 신성군(종조부) 의창군(종조부) 경창군(종조부) 영창대군(종조부) 평운군(종조부) 능원대군(작은아버지) 능창대군(작은아버지) 창림군(5촌 숙부) 소현세자(동복 형) 효종(동복 형) 현종(동복 조카) 인평대군(동복 형) 효명옹주(이복 누이동생) 숭선군(이복 남동생) 낙선군(이복 남동생) |
종교 | 유교(성리학) |
용성대군 이곤(龍城大君 李滾, 1624년 10월 24일 ~ 1629년 12월 2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종실이다.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넷째 아들로, 정원군의 손자이자 선조의 증손이며, 효종, 소현세자, 인평대군의 동생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全州 李氏), 휘는 곤(滾), 호(號)는 산남(山南), 시호는 장의(章懿)이다.
생애[편집]
길례를 치르기 전에 일찍 죽어 묘소는 경기도 양주군 풍양현(豊壤縣, 현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진접읍, 오남읍 일대)에 예장하였고, 수진궁(壽進宮) 1묘(廟)에 사판을 봉안(奉安)을 하여 제사를 봉무하게 하였다.
사후[편집]
1871년(고종 8) 3월 16일 시호는 온극령의(溫克令儀)을 "따뜻하고 너그럽고 아름다운 모양을 지냈다."를 장(章)이라고 하고, 온유현선(溫柔賢善)을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어질고 착하다."를 의(懿)라 하여 장의(章懿)에 추증하였다.
1872년(고종 9) 8월 1일 형 인평대군의 넷째 아들인 복평군 이연(福平君 李㮒)을 후사(後嗣)로 삼고, 1873년(고종 10) 2월 22일 용성대군의 사판에 종신(宗臣)을 보내어 치제(致祭)를 하였다.
가족 관계[편집]
- 아버지 : 인조(仁祖, 1595년 - 1649년)
- 어머니(생모) :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년 - 1635년)
- 어머니(계모) :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 1688년)
- 서모 : 귀인 조씨(貴人 趙氏, ?년 - 1651년)
- 아들(양자) : 복평군 이연(福平君 李㮒, 1648년 - 1680년), 동복형 인평대군의 4남
![]() |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