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기도
京畿道
Flag of Gyeonggi Province.svg Emblem of Gyeonggi Province (2021).svg
도기 휘장
경기도 지도
경기도 지도
현황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면적 10,185 km2
인구 13,589,432명
(2022[1]년 기준)
인구밀도 1,334.32명/km2
하위 행정구역 28시 3군
상징
표어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도목 은행나무
도화 개나리
도조 비둘기
도청
도지사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소재지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30(이의동)
홈페이지 http://www.gg.go.kr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이다. 수도권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를 둘러싸고 있고, 동쪽으로는 강원도, 서쪽으로 황해, 남쪽으로는 충청남도충청북도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경계를 이룬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광역지방자치단체로, 경기도의 도청 소재지수원시이고, 의정부시에 경기도청 북부청사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편집]

고대[편집]

경기도에는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의 구석기시대 유적지하남시 미사동신석기시대 유적지, 여주 흔암리의 청동기시대 유적 등 주요한 선사 취락지들이 분포하고 있다. 기원전 2세기 경에는 진국(辰國)에 속하였으며 이후 삼한이 성립되었고 마한이 경기도·충청도·전라도 일대에 분포하였다. 마한의 54개 소국 가운데 10여 개가 경기도 지역에 포함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8년, 백제가 한강 유역에서 건국된 이래 백제의 중심지로 4세기 말까지 기능하였다. 396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 지역을 점령하였으며 475년에는 한강 이남 지역도 상실하여 경기도 대부분이 고구려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551년백제 성왕신라와 연합하여 경기도 일대를 수복하였으나 553년에 신라가 연합을 파기하고 경기도 일대를 차지하고 신주(新州)를 설치하여 다스렸다. 557년에는 북한산주(北漢山州)로 개칭하였다. 신라는 경기도를 차지하여 중국과의 해상 교통로를 확보하였다. 신라 시기에는 한산주(漢山州)가 설치되었는데 757년에 한주(漢州)로 개칭되었다. 9세기 말에 신라가 혼란에 빠지자 경기도 각지에는 호족 세력이 난립하였는데 898년궁예의 세력이 경기도 일대를 평정하였다. 궁예의 후고구려는 송악(宋岳)에 도읍을 두기도 했다. 918년에 송악의 호족인 왕건이 궁예를 타도하고 고려를 건국하였다.

고려시대[편집]

고려는 송악을 개경(開京)으로 개칭하고 도읍으로 삼았다. 고려 성종 14년(995년)에 지방행정구역을 십도(十道)로 개편할 때, 현재의 경기도는 관내도(關內道)와 중원도(中原道) 일부가 관할하는 지역이었다. 개경 주변에 적현(赤縣)(경현京縣이라고도 함) 6개와 기현(畿縣) 7개를 설치하였고, 1018년현종이 적현과 기현을 묶어서 왕도의 외곽지역을 정식으로 '경기(京畿)'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당시 경기는 오늘날 경기도의 북부 일부(파주시의 북부, 연천군의 서부)만 포함하였고, 이를 뺀 경기도의 대부분 지역은 양광도에 속하였다. 1067년서울의 강북 지역에 남경(南京)이 설치되었다. 1069년양광도(楊廣)·교주도(交州)·서해도(西海道)로부터 39현을 포함하면서 원래 경기 13현과 합하여 총 52현을 관할하는 규모로 확대되었으나, 얼마 후 경기의 영역은 현종 때의 규모로 축소되었다. 조선 개국 2년 전인 1390년, 총 44현을 통할해 1069년에 확대되었던 영역과 비슷한 규모로 재편되었고 처음으로 도 단위의 지방조직이 되었다. 당시의 경기는 좌도와 우도로 나뉘어 통치되었다.

조선 시대[편집]

조선 시대에는 태조가 도읍을 한양으로 정한 뒤, 경기의 영역을 재조정하였다. 1402년(조선 태종 2년)에는 경기좌우도를 경기좌우도성(京畿左右道省)으로 명명했고 1413년(조선 태종 13년)에는 지금과 비슷한 경기도의 경계선이 확립되었다.

1414년(조선 태종 14년) 1월 18일에 경기좌도(京畿左道), 경기우도(京畿右道)가 경기도로 통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수안(遂安), 곡주(谷州), 연안(延安) 등 옛 경기도 북서부 지역이 풍해도(豊海道, 황해도(黃海道))에 편입되었으며 양주(楊州), 광주(廣州), 수원(水原), 여주(驪州), 안성(安城)을 비롯한 일부 옛 충청도 북부 지역이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세종 시기에는 경기도 철원(鐵原), 안협(安峽)이 강원도에 지우고 충청도 죽산(竹山)이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1895년에 종래의 행정구역을 개편한 23부제가 실시되었는데 이때 경기도는 대체로 한성부, 인천부, 충주부, 공주부, 개성부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다시 1896년13개의 도로 행정구역이 개편되었으며 경기도의 수부(首府)는 수원에 두었다.[2]

일제강점기[편집]

군정기[편집]

대한민국[편집]

행정 구역[편집]

2022년 8월을 기준으로 경기도의 각 시/군의 인구와 면적은 다음과 같다. 인구는 13,590,056명이고 남여비율은 1.01로 전반적인 남초 지역이다. 시군별로는 포천시(1.12)가 가장 높고, 고양시(0.96)가 가장 낮다.

지도 이름 인구(2022.8) 행정구역
Gyeonggydo-map.png
특례시
수원시 1,186,961 4 일반구 — 41 행정동
용인시 1,078,751 3 일반구 — 4 읍, 3 면, 31 행정동
고양시 1,077,198 3 일반구 — 44 행정동
시(50만 이상)
성남시 924,333 3 일반구 — 39 행정동
화성시 899,334 4 읍, 10 면, 10 행정동
부천시 796,575 10 행정동
남양주시 737,059 5 읍, 4 면, 7 행정동
안산시 647,266 2 일반구 — 24 행정동
평택시 575,007 4 읍, 5 면, 16 행정동
안양시 548,938 2 일반구 — 31 행정동
시흥시 513,331 18 행정동
파주시 490,143 4 읍, 9 면, 10 행정동
김포시 484,310 3 읍, 3 면, 8 행정동
의정부시 464,310 14 행정동
광주시 391,131 3 읍, 4 면, 6 행정동
하남시 323,472 14 행정동
광명시 289,887 19 행정동
군포시 267,651 12 행정동
양주시 238,734 1 읍, 4 면, 6 행정동
오산시 230,142 6 행정동
이천시 224,616 12 행정동
안성시 190,126 1 읍, 11 면, 3 행정동
구리시 189,960 8 행정동
의왕시 161,047 6 행정동
포천시 147,735 1 읍, 11 면, 2 행정동
여주시 112,800 1 읍, 8 면, 3 행정동
동두천시 92,744 8 행정동
과천시 78,657 6 행정동
양평군 122,914 1 읍, 11 면
가평군 62,382 1 읍, 5 면
연천군 42,542 2 읍, 8 면

없어진 행정구역[편집]

인구[편집]

연도별 인구[편집]

경기도(에 해당하는 지역, 강화군/옹진군 및 인천광역시 제외)의 연도별 인구 추이[18]

경기도의 연도별 인구
연도 인구
1925년
1,889,899
1930년
2,231,367
1935년
2,528,834
1940년
2,715,746
1945년
2,715,746
1950년
2,648,688(1946년 서울특별자유시 승격, 분리)
1953년
1,758,858(한국전쟁으로 피란민 대거 발생)
1955년
2,353,407
1960년
2,745,620
1965년
3,050,695
1970년
3,354,787
1975년
4,034,943
1980년
4,928,431
1985년
4,772,845(1981년 인천직할시 승격, 분리)
1990년
6,137,227
1995년
7,640,078(1995년 강화군 · 옹진군 인천으로 편입)
2000년
8,961,533
2005년
10,335,343
2010년
11,484,241
2015년
12,366,711
2020년
13,700,000

연령별 인구[편집]

2020년 10월 현재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그래프는 10,000명당 1씩 표현하였고 1,000의 자리가 8이상인 경우 반올림하였다.

계급별 인구수 인구그래프 비고
0~4세 491,574명 황30.png황10.png황05.png황03.png황01.png
5~9세 661,253명 황50.png황10.png황05.png황01.png
10~14세 656,784명 황50.png황10.png황05.png
15~19세 678,317명 녹50.png녹10.png녹05.png녹01.png녹01.png
20~24세 857,628명 녹50.png녹30.png녹05.png
25~29세 943,322명 녹50.png녹30.png녹10.png녹03.png녹01.png
30~34세 859,329명 녹50.png녹30.png녹05.png
35~39세 1,048,701명 녹100.png녹03.png녹01.png
40~44세 1,099,970명 녹100.png녹05.png녹03.png녹01.png
45~49세 1,198,397명 녹100.png녹10.png녹05.png녹03.png녹01.png
50~54세 1,163,495명 녹100.png녹10.png녹05.png녹01.png
55~59세 1,068,408명 녹100.png녹05.png녹01.png
60~64세 915,280명 녹50.png녹30.png녹10.png녹01.png
65~69세 594,853명 홍50.png홍05.png홍03.png홍01.png
70~74세 428,645명 홍30.png홍10.png홍01.png홍01.png
75~79세 334,120명 홍30.png홍03.png
80~84세 229,161명 홍10.png홍10.png홍01.png홍01.png
85~89세 115,274명 홍10.png홍01.png
90~94세 41,507명 홍03.png홍01.png
95~99세 10,299명 홍01.png
100세이상 4,927명

경기도지사[편집]

신도시 사업[편집]

1기 신도시[편집]

2기 신도시[편집]

문화[편집]

축제[편집]

유적지[편집]

종교 시설[편집]

사찰[편집]

스포츠[편집]

축구[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K리그1 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5년 수원월드컵경기장
성남 FC 1989년 탄천종합운동장
수원 FC 2003년 수원종합운동장
K리그2 부천 FC 1995 2007년 부천종합운동장
FC 안양 2013년 안양종합운동장
안산 그리너스 FC 2016년 안산와스타디움
K4리그 포천 시민축구단 2008년 포천종합운동장
고양 시민축구단 고양어울림누리 별무리경기장
시흥 시민축구단 2016년 정왕동체육공원
여주 FC 2017년 여주종합운동장
K3리그 양주 시민축구단 2007년 고덕인조구장
파주 시민축구단 2012년 파주스타디움
김포 시민축구단 2013년 김포종합운동장
화성 FC 화성종합운동장
평택 시민축구단 2017년 소사벌레포츠타운
WK리그 수원도시공사 여자 축구단 2008년 수원종합운동장

야구[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KBO 리그 kt wiz 2013년 수원케이티위즈파크
KBO 퓨처스리그 고양 히어로즈 2014년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경기도 챌린지 리그 연천 미라클 2015년 연천 베이스볼파크
파주 챌린저스 2017년 익사이팅 챌린저스 파크
고양 위너스 킨텍스 야구장

농구[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KBL 안양 KGC인삼공사 1992년 안양실내체육관
고양 캐롯 점퍼스 1995년 고양체육관
수원 KT 소닉붐 1997년 수원KT소닉붐아레나
WKBL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1977년 용인실내체육관
부천 하나원큐 2012년 부천실내체육관

배구[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V-리그 (남)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1992년 수원실내체육관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13년 안산상록수체육관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1976년 의정부체육관
V-리그 (여)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1995년 수원실내체육관
화성 IBK 기업은행 알토스 2011년 화성실내체육관

아이스하키[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안양 한라 1994년 안양종합운동장 빙상장

경마[편집]

1989년 과천시한국마사회 서울경마공원이 개장하였고, 경기도에 8개의 KRA 플라자가 운영되고 있다.

자매 도시[편집]

지역 & 국가 도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Flag of the Gauteng Province.png 하우텡주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Flag of North Holland.svg 노르트홀란트주
러시아의 기 러시아 Flag of Moscow, Russia.svg 모스크바
멕시코의 기 멕시코 Flag of the State of Mexico.svg 멕시코주
미국의 기 미국 Flag of Las Vegas, Nevada.svg 라스베이거스
Flag of Virginia.svg 버지니아주
Flag of Utah.svg 유타주
Flag of Florida.svg 플로리다주
스페인의 기 스페인 Flag of Catalonia.svg 카탈루냐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Queensland.svg 퀸즐랜드주
일본의 기 일본 Flag of Kanagawa Prefecture.svg 가나가와현
Flag of Aichi Prefecture.svg 아이치현
중국의 기 중국 광둥성(广东省)
랴오닝성(辽宁省)
산둥성(山东省)
허베이성(河北省)
캐나다의 기 캐나다 Flag of British Columbia.svg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파라과이의 기 파라과이 Flag of Alto Paraná Department.svg 알토파라나주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칙령(勅令) 제36호,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官制改正件〕〉(《고종실록33년 8월 4일).
  3. 조선총독부령 제6호 (1910년 10월 1일 공포) 참조.
  4.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1945년 11월 3일)
  5. 서울특별시의설치(제정 1946.9.18 군정법률 106호)
  6. 황해도 옹진군의 지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북5도위원회
  7. 황해도 벽성군의 지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북5도위원회
  8. 군정법령 제22호 시, 도직제 (제정 1945년 11월 3일)
  9. 《옹진군지》 (PDF). 333쪽. 즉 가천면 장현리와 삼괴리 일부는 북면 가천출장소에 소속되었고, 교정면 국봉리・비파리・ 건전리와 난천리 일부는 서면 교정출장소 소속이 되었다. 벽성군 대차면 은동리와 월록면 장둔리는 옹진읍에, 가좌면 매산리와 자양리는 부민면에 각각 편입하였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0.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59호)에 의함.
  11.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62년 11월 21일 법률 1172호)에 의함.
  12. 서울특별시및경기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73년 3월 12일 법률 2596호)
  13.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제정 1981년 4월 13일 법률 3424호)
  14.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88년 12월 31일 법률 제4051호)
  15.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제정 1994년 12월 22일 법률 제4802호) 제10조
  16. 서울특별시 송파구와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6665호 (2015년 11월 26일)
  17. 실효지배 중심지 한정 파주시에서 임시관할된다.
  18.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