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인천광역시)
![]() | |||
| |||
![]() 중구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140.29 km2 | ||
세대 | 68,379 가구 (2020.12.31.) | ||
총인구 | 139,729 명 (2020.12.31.) | ||
인구밀도 | 996 명/km2 | ||
행정동 | 12개 | ||
법정동 | 52개 | ||
구청장 | 홍인성(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배준영(국민의힘, 중구·강화군·옹진군) | ||
구청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27번길 80(원도심 제1청)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서로 100(영종 제2청) | ||
홈페이지 | http://www.icjg.go.kr/ | ||
상징 | |||
구목 | 해송 | ||
구화 | 철쭉 | ||
구조 | 갈매기 |
중구(中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부에 있는 구이다. 중구는 1883년 인천항 개항 때부터 동구와 함께 인천광역시의 원도심을 이루었고, 1989년에 영종도, 용유도 등이 편입되었다.
중구에는 대한민국의 항공 관문인 인천국제공항과 서해안 최대 항구인 인천항이 있다. 인천공항 인근 영종도 지역은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국제도시로 개발 중이다.
역사[편집]

- 백제 시대 : 미추홀
- 1018년 고려 현종 9년 : 수주군으로 개칭
- 1096년 고려 숙종 : 인주로 개편
- 1390년 고려 공양왕 : 경원부로 개편
- 1392년 조선 태조 원년 : 인주로 환원
- 1413년 조선 태종 13년 : 인천군으로 개편
- 1460년 조선 세조 : 인천도호부로 승격
- 1906년 : 인천부 다소면 일부(현 중구 내륙 지역)가 부내면으로 개편
- 1910년 : 인천부 설치
- 1949년 8월 15일 : 인천부를 인천시로 개칭
- 1956년 11월 23일 : 인천시 중부출장소 설치[1]
중구[편집]
- 1968년 1월 1일 : 구제가 실시되어 경기도 인천시 중구를 설치하였다.[2]
- 1973년 7월 1일 : 동구 월미도를 편입하였다.[3]
- 1981년 7월 1일 : 인천직할시 중구로 개칭하였다.
- 1988년 5월 1일 : 자치구제가 실시되어 자치구로 승격하였다.
- 1989년 1월 1일 :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용유면 일원이 편입되었다.[4]
- 1995년 1월 1일 : 인천광역시 중구로 개칭하였다.
- 2012년 1월 1일 : 운서동(구 영종출장소 운서지소)이 영종동에서 분동하였다.[5] (11행정동)
- 2018년 1월 1일 : 영종1동이 영종동에서 분동하였다. (12행정동)
행정 구역[편집]
인천 중구의 행정 구역은 12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40.29 km²이고, 2020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3만9729 명, 6만8379 가구이다.[6] 중구는 인천항을 중심으로 도심을 이룬 원도심권과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으로 2000년부터 신도시를 개발·확장하고 있는 영종도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인구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원도심권과 달리 영종도권의 인구는 공항이 개항한 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의 전체 인구도 2009년 5월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6]
중구청의 청사가 있는 원도심과 영종도 사이에는 서로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어 왕래가 불편하다. 이 때문에 영종동 주민센터 옆에 구청의 민원업무 등을 담당하는 〈인천중구 제2청사〉가 설치되어 있다.[7]
행정동 | 한자 | 면적 (km²) | 인구 | 세대 |
---|---|---|---|---|
원도심권 | 14.4 | 45,678 | 23,649 | |
연안동 | 沿岸洞 | 4.73 | 6,315 | 3,430 |
신포동 | 新浦洞 | 1.82 | 5,283 | 2,799 |
신흥동 | 新興洞 | 3.52 | 13,329 | 6,259 |
도원동 | 桃源洞 | 0.26 | 4,043 | 2,069 |
율목동 | 栗木洞 | 0.18 | 3,374 | 1,865 |
동인천동 | 東仁川洞 | 0.64 | 5,928 | 3,435 |
북성동 | 北城洞 | 3.02 | 2,871 | 1,583 |
송월동 | 松月洞 | 0.22 | 4,535 | 2,209 |
영종도권 | 125.89 | 94,051 | 44,730 | |
영종동 | 永宗洞 | 31.59 | 15,724 | 8,501 |
영종1동 | 永宗1洞 | 5.40 | 43,447 | 16,466 |
운서동 | 雲西洞 | 63.82 | 30,776 | 17,133 |
용유동 | 龍游洞 | 25.07 | 4,104 | 2,630 |
총 계 | 140.29 | 139,729 | 68,379 |
* 인구·세대는 2020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
도서 지역[편집]
- 영종도 : 인천국제공항이 있다.
- 무의도 : 법정동인 무의동의 본섬이다. 행정동으로는 용유동에 속한다.
- 실미도 : 무의도의 부속섬
- 팔미도 : 법정동이 무의동이긴 하나 멀리 떨어져 있다.
인구[편집]
- 인천 중구의 연도별 인구 추이[8]
연도 | 총인구 | 비고 | |
---|---|---|---|
1980년 | 84,252명 | ![]() ![]() ![]() ![]() |
|
1985년 | 83,564명 | ![]() ![]() ![]() ![]() |
|
1990년 | 81,603명 | ![]() ![]() ![]() |
1989년 편입 지역 : 영종동 7,027명, 용유동 2,427명 |
1995년 | 68,082명 | ![]() ![]() ![]() |
|
2000년 | 66,642명 | ![]() ![]() |
|
2005년 | 86,167명 | ![]() ![]() ![]() |
|
2010년 | 83,623명 | ![]() ![]() ![]() ![]() |
|
2015년 | 112,910명 | ![]() ![]() ![]() |
|
2019년 | 131,863명 | ![]() ![]() ![]() ![]() |
구청[편집]

- 현재 중구청은 인천광역시 중구 관동1가에 위치하고 있다.
교육 기관[편집]

육지[편집]
영종[편집]
산업[편집]
수산업[편집]
원도심의 어업은 무역항인 인천항에서 출항하며 지방어항 및 어촌정주어항은 영종도권에 있다.
교통[편집]
영종지역[편집]
항공[편집]
철도[편집]
도로[편집]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신항 교차로, 인천항 사거리
육지[편집]
철도[편집]
도로[편집]
영종-원도심 간 교통[편집]
월미도에서 배가 운항되며, 제2공항철도가 제안되어 있다.
사진[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우호교류[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일본어/영어/중국어) 인천 중구청 (공식)
- 네이버 캐스트 : 여행 - 중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인천광역시 동구 | ![]() | ||
황해 | ![]()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
![]() ![]() | ||||
![]() |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