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
부평구 | |||
| |||
![]() | |||
부평구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 | ||
면적 | 32.00 km2 | ||
세대 | 213,372 가구(2021[1]) | ||
인구 | 486,765 명(2021[2]) | ||
인구 밀도 | 15,211 명/km2 | ||
행정동 | 22개 | ||
법정동 | 9개 | ||
국회의원 | 갑: 이성만(무소속) 을: 홍영표(더불어민주당) | ||
구청 | |||
구청장 | 차준택(더불어민주당)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168(부평4동 879) | ||
웹사이트 | http://www.icbp.go.kr/ | ||
상징 | |||
구목 | 은행나무 | ||
구화 | 국화 | ||
구조 | 비둘기 |


부평구(富平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의 동부 및 중동부 에 있는 자치구이다. 조선시대에는 계양구와 함께 부평도호부였고, 원적산, 광학산, 철마산, 거마산 등을 경계로 인천 도심과는 별개의 시가지를 형성한다.
역사[편집]
부평은 황해와 한강을 사이에 둔 지역으로 선사시대부터 인류의 활동이 있었다. 인근의 가현산 북쪽에 140여 기의 고인돌 군이 있어 이 일대가 강력한 청동기 문화의 중심지였음을 알게해 준다. 부평이 역사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삼한시대의 일로 부평은 마한의 영역에 해당하였다. 백제가 형성되면서 백제의 영토로 편입되었으나, 475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한강 이남을 공략하여 주부토군(主夫吐郡)을 세웠고 부평역시 주부토군에 편입되었다. 그 후 백제가 다시 이 지역을 회복하였으나 553년에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한 후부터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남북국 시대인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장제군이 되었고 하위 행정지역으로 술성현(戌城縣), 김포현(金浦縣), 동성현(童城縣), 분진현(分津縣) 등이 있었다.[3]
부평은 고려 초기에 수주로 불리었으며, 이후 이름이 바뀌어 의종 4년(1150년)에 안남, 고종 2년(1215년)에는 계양, 충렬왕 34년에는 길주 등으로 불렸고, 부평이란 이름은 충선왕 2년(1313년)에 붙여진 것이다. 그 후로는 계속해서 부평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태종 13년(1413년) 부평도호부를 설치하였고 고종 32년(1895년)에 부평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에 부천군에 편입되었다.[4]
부평도호부는 지금의 부평초등학교 자리에 있었고 계양산을 중심으로 지금의 인천광역시 부평구, 서구, 계양구, 경기도 부천시,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부, 강서구 오곡동과 오쇠동을 관할하고 있었다. 1914년 부천군이 설치되어 부내면이 되었고, 1940년 부내면이 인천부에 편입되었다.[4]
- 1968년 1월 1일 경기도 인천시 북구(北區)를 설치하였다.[5] (25법정동)
- 1981년 7월 1일 인천직할시 북구
- 1988년 1월 1일 검암동, 연희동 등을 서구로 분구하였다.[6] (13법정동)
- 1988년 5월 1일 자치구 승격
- 1989년 1월 1일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에 편입되었다.[7] (32법정동)
-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 북구
- 1995년 3월 1일 북구를 부평구와 계양구로 분리하였다.[8] 부평구 개칭은 부평 지역의 정체성 제고 및 역사 회복을 위한 차원이었다.[9] (21행정동 9법정동)
- 2006년 4월 20일 행정동 삼산동을 삼산1동과 삼산2동으로 분동하였다.[10] (22행정동)
행정 구역[편집]
부평구의 행정 구역은 22개동 (637통, 4,197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평구의 면적은 31.98 km2로 인천시의 약 3.09%이며, 인구는 2019년 7월 기준으로 517,029명으로 인천시의 약 17.5%를 차지한다.[11]


동 | 한자 | 면적(km2) | 세대 | 인구 (명) |
---|---|---|---|---|
부평1동 | 富平1洞 | 1.10 | 15,904 | 37,584 |
부평2동 | 富平2洞 | 2.28 | 9,174 | 19,829 |
부평3동 | 富平3洞 | 1.00 | 6,479 | 13,728 |
부평4동 | 富平4洞 | 1.04 | 17,279 | 37,530 |
부평5동 | 富平5洞 | 0.83 | 15,686 | 34,622 |
부평6동 | 富平6洞 | 0.76 | 7,195 | 15,369 |
산곡1동 | 山谷1洞 | 2.07 | 6,123 | 13,783 |
산곡2동 | 山谷2洞 | 0.92 | 11,076 | 32,993 |
산곡3동 | 山谷3洞 | 1.43 | 8,701 | 23,474 |
산곡4동 | 山谷4洞 | 0.76 | 6,586 | 18,695 |
청천1동 | 淸川1洞 | 2.16 | 4,065 | 8,379 |
청천2동 | 淸川2洞 | 2.78 | 13,724 | 35,277 |
갈산1동 | 葛山1洞 | 1.07 | 7,192 | 17,233 |
갈산2동 | 葛山2洞 | 0.66 | 8,276 | 20,287 |
삼산1동 | 三山1洞 | 2.13 | 14,453 | 36,630 |
삼산2동 | 三山2洞 | 1.26 | 10,261 | 30,452 |
부개1동 | 富開1洞 | 0.95 | 7,796 | 17,547 |
부개2동 | 富開2洞 | 0.75 | 7,152 | 18,272 |
부개3동 | 富開3洞 | 0.86 | 12,533 | 33,554 |
일신동 | 日新洞 | 4.30 | 5,205 | 13,395 |
십정1동 | 十井1洞 | 1.79 | 5,873 | 13,487 |
십정2동 | 十井2洞 | 1.09 | 11,623 | 24,909 |
부평구 | 富平區 | 31.99 | 212,356 | 517,029 |
인구[편집]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85년 | 538,894명 | |
1990년 | 616,658명 | |
1995년 | 488,663명 | |
2000년 | 528,403명 | |
2005년 | 546,321명 | |
2010년 | 542,433명 | |
2015년 | 548,461명 | |
2019년 | 517,029명 |
구청[편집]
교육 기관[편집]
- 특수학교
교통[편집]

철도[편집]
도로[편집]
버스정류장 및 터미널[편집]
- 부평역시외버스정류장 : 이곳에서는 시외버스 R737번과 청주행 시외버스 등을 운행함. 다만 다른 시외버스 노선이나 고속버스 등은 인천종합버스터미널, 부천터미널 소풍까지 나가서 승차해야 함. 다만 안양역 시외버스 정류장이나 케이티엑스 광명역을 이용하려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의지해야 하거나 부천버스 소속 88번을 이용하여 송내역에 내린 뒤 소신여객의 G8808번 직행좌석버스를 이용해야 현명하다.
기업체[편집]
출신 인물[편집]

- 신지(본명 : 이지선) : 음악 그룹 코요태의 구성원.
- 구혜선 : 배우, 소설가, 영화 감독, 일러스트레이터 등
- 진보라 : 피아니스트
- 이천수
- 김남일
- 조용형 :
- 최태욱 : 이상 축구 선수.
- 김디에나 : 모델, 방송인, 가수 등
- 성동일 : 배우
- 박지선 : 희극인
- 산이 : 래퍼
- 디아 : 솔로 가수, MBC 드라마 《여자를 울려》 OST의 엔딩곡 참여.
- 손수호 : 변호사
자매 결연[편집]
지역 & 국가 | 도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잭슨군 |
![]() |
우돔사이주 | 우돔폰시 |
각주[편집]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부평 옹진지역의 역사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인하대박물관
- ↑ 가 나 계양산을 중심으로 한 부평 지역 Archived 2005년 11월 19일 - 웨이백 머신, 인천테마 학습실, 이성구, 개화의 선구지 인천, 참글사, 1997에서 재인용
- ↑ 법률 제1919호 인천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7년 3월 30일)
- ↑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년 12월 31일)
- ↑ 법률 제4051호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 ↑ 법률 제4802호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광역시·도간 관할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1994년 12월 22일)
- ↑ "부평이라는 명칭은 1310년 고려 충선왕때 부평부로 단독호칭한 후 (중략) 또한 북구는 부평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조성, 발전해온 지역이며 타지역에서도 부평이라는 명칭이 더 많이 알려져 있어 지역주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옛지명을 따서 부평구로 정함.", 1994년 2단계 행정구역 개편 관계철3 문서 - 인천직할시편, p.106, 대한민국 내무부, 1994
- ↑ 부평구 조례 제899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5년 12월 30일)
-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1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일본어/영어/중국어) 인천 부평구청 (공식)
![]() |
인천광역시 계양구 | ![]() | ||
인천광역시 서구 | ![]() |
경기도 부천시 | ||
![]() ![]() | ||||
![]() |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인천광역시 남동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