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도
영종도 | |
---|---|
지도
| |
지리 | |
![]() | |
위치 | 황해 |
좌표 | 북위 37° 30′ 0.23″ 동경 126° 32′ 9.05″ / 북위 37.5000639° 동경 126.5358472°
|
면적 | 115.53 km2[1]
|
최고점 | 백운산(白雲山) 255.5 m |
행정 구역 | |
![]() | |
시·구 | 인천광역시 중구 |
행정동 | 영종동/영종1동/운서동/용유동 |
법정동 | 중산동·운남동·운북동/운서동/을왕동·남북동·덕교동
|
인구 통계 | |
인구 | 110,060명(2023.2.28. 기준)
|
영종도(永宗島) 또는 영종용유도(永宗龍游島)[2]는 인천광역시 중구의 섬이다. 이 섬의 운서동에는 인천국제공항이 있다.
영종도는 대한민국에서 6번째로 넓은 섬으로, 면적은 115.53 km2이다.[1][3][4] 이 섬의 인구는 부속섬인 무의도를 포함해 2023년 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11만60 명이다.
역사[편집]
영종도는 《고려사》·《세종실록》·《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자연도(紫燕島)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제비가 많은 섬'이라는 뜻이다.
조선 후기 효종 때 수군진인 영종진(永宗鎭)이 설치되었다.
1875년 일본 운요호의 포격으로 영종진에 주둔하던 조선군 수십명이 전사하고, 주변이 약탈당했다.
공항 건설과 간척[편집]
인천국제공항을 만들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1992년 11월 21일부터 1994년 10월 30일까지 영종도와 용유도, 삼목도, 신불도 사이를 방조제로 연결하고, 바다와 분리된 간석지를 간척해서 현재의 영종도가 되었다.
도로 교통[편집]
육지와 연결된 연륙교는 2개로, 운렴도 위를 지나 인천광역시 서구와 연결된 영종대교(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광역시 연수구와 연결된 인천대교(제2경인고속도로)가 있다. 두 도로는 모두 유료 도로로, 영종도에는 육지와 연결된 무료 도로가 없다.[5][6][7][8][9][10]
2019년에 이 섬과 무의도를 잇는 무의대교가 완공되었고, 2025년 개통을 목표로 2022년 현재 영종-청라간 연륙교가 건설중이다.[11] 또한, 영종도-신도 연도교가 2021년에 착공하여 2025년에 완공될 계획이고[12] 인천광역시는 중장기적으로 이를 강화도까지 연결하려는 서해남북평화도로 계획을 추진중이다.[13]
주요 선착장[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2022년 1월 31일 인천광역시 법정동별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영종도 소재 7개 법정동 면적 합계: 115,530,337 m2
- ↑ 이 섬을 지적통계연보는 '영종용유도'라고 기재하고 있다. → “2012년도 지적통계연보 발간(지적기획과)” (HWP). 2012년 4월 16일.
- ↑ 국토 면적 1년 새 '여의도 15배' 늘어 CBS, 2017.4.17.
- ↑ 영종도, 섬이 자라고 있다. 섬크기 18위 → 14위 → 8위 → 7위 공항투데이, 2017.5.12.
- ↑ 인천공항, 이사만 하면 뭘하나?, KBS 뉴스 9, 2001년 3월 5일.
- ↑ 공항고속도로 이용료 인하 집단시위, KBS 뉴스 9, 2003년 3월 2일.
- ↑ 오지로 전락한 공항 신도시, KBS 뉴스 9, 2003년 4월 29일.
- ↑ 인천신공항 이착륙 시설만 달랑, MBC 뉴스데스크, 2001년 3월 20일.
- ↑ 인천공항 신도시 아파트 입주 절반도 안돼, MBC 뉴스데스크, 2003년 1월 9일.
- ↑ 공항 신도시 주민들 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요구 차량시위, MBC 뉴스데스크, 2003년 3월 2일.
- ↑ 인천 영종~청라 제3연륙교 전망대 180m냐 170m냐 한국일보, 2021.7.23.
- ↑ 영종도∼신도 4㎞ 연륙교 내일 착공…2025년 완공 목표 연합뉴스, 2021.1.26.
- ↑ 영종~강화 평화도로 2026년 국도 48호선 지정 준비 인천투데이, 2021.7.21.
![]() |
이 글은 한국의 지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