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종도
지도

지리
Yeongjong location.svg
위치 황해
좌표 북위 37° 30′ 0.23″ 동경 126° 32′ 9.05″ / 북위 37.5000639° 동경 126.5358472°  / 37.5000639; 126.5358472

면적 115.53 km2[1]

최고점 백운산(白雲山) 255.5 m
행정 구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시·구 인천광역시 중구
행정동 영종동/영종1동/운서동/용유동
법정동 중산동·운남동·운북동/운서동/을왕동·남북동·덕교동

인구 통계
인구 110,060명(2023.2.28. 기준)

영종도(永宗島) 또는 영종용유도(永宗龍游島)[2]인천광역시 중구이다. 이 섬의 운서동에는 인천국제공항이 있다.

영종도는 대한민국에서 6번째로 넓은 섬으로, 면적은 115.53 km2이다.[1][3][4] 이 섬의 인구는 부속섬인 무의도를 포함해 2023년 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11만60 명이다.

역사[편집]

영종도는 《고려사》·《세종실록》·《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자연도(紫燕島)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제비가 많은 섬'이라는 뜻이다.

조선 후기 효종 때 수군진인 영종진(永宗鎭)이 설치되었다.

Daedongyeojido (Gyujanggak) 13-05.jpg
자연도 · 용유도 · 삼목도 · 신불도 (《대동여지도》 13첩 5면)

1875년 일본 운요호의 포격으로 영종진에 주둔하던 조선군 수십명이 전사하고, 주변이 약탈당했다.

공항 건설과 간척[편집]

인천국제공항을 만들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1992년 11월 21일부터 1994년 10월 30일까지 영종도와 용유도, 삼목도, 신불도 사이를 방조제로 연결하고, 바다와 분리된 간석지간척해서 현재의 영종도가 되었다.

A: 영종도, B: 삼목도, C: 신불도, D: 용유도, E:잠진도, 황색: 간척지, 녹색: 인천공항

도로 교통[편집]

육지와 연결된 연륙교는 2개로, 운렴도 위를 지나 인천광역시 서구와 연결된 영종대교(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광역시 연수구와 연결된 인천대교(제2경인고속도로)가 있다. 두 도로는 모두 유료 도로로, 영종도에는 육지와 연결된 무료 도로가 없다.[5][6][7][8][9][10]

2019년에 이 섬과 무의도를 잇는 무의대교가 완공되었고, 2025년 개통을 목표로 2022년 현재 영종-청라간 연륙교가 건설중이다.[11] 또한, 영종도-신도 연도교2021년에 착공하여 2025년에 완공될 계획이고[12] 인천광역시는 중장기적으로 이를 강화도까지 연결하려는 서해남북평화도로 계획을 추진중이다.[13]

주요 선착장[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