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의 기와 휘장 목록
광역지방자치단체[편집]
이북 5도[편집]
기초지방자치단체[편집]
서울특별시[편집]
부산광역시[편집]
대구광역시[편집]
인천광역시[편집]
광주광역시[편집]
대전광역시[편집]
울산광역시[편집]
경기도[편집]
강원특별자치도[편집]
충청북도[편집]
충청남도[편집]
전라북도[편집]
전라남도[편집]
경상북도[편집]
경상남도[편집]
광역지방자치단체의 폐지된 기[편집]
-
대구광역시의 기
(1977년-1996년 10월 9일) -
대구광역시의 기
(1996년 10월 10일-2001년 3월 9일) -
대구광역시의 기
(2001년 3월 10일-2001년 12월 28일) -
인천직할시의 기
(1977년-1996년) -
광주직할시의 기
(1986년-1988년) -
광주광역시의 기
(1988년-2000년) -
대전직할시의 기
(1972년-1995년)
-
경기도의 기
(1967년-1996년) -
경기도의 기
(1996년-2006년) -
경기도의 기
(2006년-2021년) -
충청북도의 기
(1969년-1998년) -
충청북도의 기
(1998년-2023년) -
충청남도의 기
(1962년-1998년) -
충청남도의 기
(1998년-2012년) -
전라북도의 기
(1969년-1987년) -
전라북도의 기
(1987년-1991년) -
전라북도의 기
(1991년-1997년) -
전라북도의 기
(1997년-2009년) -
전라남도의 기
(1969년-2000년) -
전라남도의 기
(2000년-2016년) -
경상북도의 기
(1966년-1997년) -
경상남도의 기
(1974년-1999년) -
강원도의 기
(1970년-1997년) -
강원도의 기
(1997년~2023년 6월 10일) -
제주도의 기
(1969년-2009년)
이북 5도[편집]
-
평안북도의 기
(? ~ 2019년 12월 25일)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폐지된 기[편집]
경기도[편집]
-
과천시의 기
(1986년-1998년) -
광명시의 기
(1981년-1987년) -
광명시의 기
(1987년-1995년) -
광명시의 기
(1996년-2000년) -
김포시의 기
(1997년-2020년) -
남양주시의 기
(1998년-2023년) -
동두천시의 기
(1985년-2000년) -
미금시의 기
-
부천시의 기
(1973년-1991년) -
성남시의 기
(1998년-2007년) -
용인시의 기
(1996년-1997년) -
김포군의 기
-
양주군의 기
강원도[편집]
충청북도[편집]
-
중원군의 기
충청남도[편집]
-
대덕군의 기
전라북도[편집]
-
김제시의 기
(2000년대 이전) -
이리시의 기
-
익산시의 기
(1996년-2010년) -
전주시의 기
(1974년-2001년) -
정읍시의 기
(1995년-2001년) -
고창군의 기
(1977년-2000년) -
김제군의 기
-
순창군의 기
(1999년 이전) -
순창군의 기
(1999년-2012년)
전라남도[편집]
경상북도[편집]
-
영천시의 기
(1981년-1995년)
경상남도[편집]
제주특별자치도[편집]
각주[편집]
- ↑ 유하용 (1996년 10월 17일). “서울市(시) 새 로고·구호 확정”. 매일경제.
- ↑ 양영채. “日(일)모방 탈피…「활력도시」주안 서울市(시) 휘장 선정배경”. 동아일보.
- ↑ “부산광역시 상징물 관리 조례”. 《자치법규정보시스템》.
- ↑ 정용부 (2017년 12월 12일). “100년 전 희귀 유물 '경성부 휘장' 수도덮개 발견”. 파이낸셜뉴스.
- ↑ 부산직할시는 1963년 1월 1일에 공식 출범했지만, 깃발이 제정된 것은 1962년 5월 31일이다.
- ↑ 가 나 “부산시정 10년사”. 부산광역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