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구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도네시아의 행정구역에 대해서는 남동구 (폰티아낙)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88년 이전의 역사는 미추홀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구역의 역사는 인천 남동구의 행정 구역#연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천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남동구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57.01 km2 | |
세대 | 214,280 가구 (2017년 12월 31일) | |
총인구 | 536,578 명 (2017년 12월 31일) | |
인구밀도 | 9,412 명/km2 | |
행정동 | 20개 | |
법정동 | 11개 | |
구청장 | 이강호(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갑: 맹성규(더불어민주당) 을: 윤관석(더불어민주당) | |
구청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래로 633(만수6동 1008) | |
홈페이지 | 인천광역시 남동구 홈페이지 | |
상징 | ||
구목 | 은행나무 | |
구화 | 개나리 | |
구조 | 제비 | |
상징동물 | 돌고래 |

남동구(南洞區)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의 동남부에 있는 구이다. 고잔동에 구직할 남동공단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구월동에는 인천광역시청이 소재한다.
명칭 유래[편집]
남동(南洞)은 1914년 인천부 남촌면(南村面), 조동면(鳥洞面)을 부천군 남동면(南洞面)으로 합면하면서 칭하여, 1940년 남동면이 인천부로 편입되면서 명칭이 소멸되었다가, 1988년 인천직할시 남구로부터 분구되면서 명칭을 회복하였다. 구 인천부 주안면(1914년 이후 인천 재편입 이전까지: 부천군 다주면) 지역이었던 구월동, 간석동을 제외하고는 1914년부터 1940년까지의 남동면의 영역과 일치한다.
역사[편집]


- 1988년 1월 1일 남구의 일부를 관할로 남동구를 설치하였다.[1]
-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2]
- 1989년 1월 1일 남동구보건소를 설치하였다.
- 1989년 5월 15일 만수2동을 만수4동으로 분동하였다. (14행정동)
- 1990년 1월 1일 간석1동을 간석4동으로 분동하였다. (15행정동)
- 1991년 8월 26일 구월1동을 구월3동으로, 만수1동을 만수5동으로, 도림동을 남촌동으로 각각 분동하였다. (18행정동)
- 1992년 1월 1일 남동공단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93년 12월 1일 구월1동을 구월4동으로, 만수1동을 만수6동으로 각각 분동하였다. (20행정동)
-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 남동구로 개칭하였다.[3]
- 1998년 11월 1일 장수동과 서창동을 장수서창동으로, 남촌동과 도림동을 남촌도림동으로, 논현동과 고잔동을 논현고잔동으로 각각 합동하였다. (17행정동)
- 2009년 7월 20일 논현고잔동을 논현동으로 분동하였다.[4](18행정동)
- 2011년 5월 20일 행정동 논현동을 논현1동으로 개칭하고, 논현고잔동을 논현2동, 논현고잔동으로 분동하였다.[5] (19행정동)
- 2018년 11월 5일 장수서창동을 서창2동으로 분동하였다. (20행정동)
행정 구역[편집]
인천 남동구의 행정 구역은 20개동 608개통, 3,493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천 남동구의 면적은 56.84 km2이며 인천의 5.7%를 차지 한다. 인구는 2018년 11월을 기준으로 218,860세대, 537,923명이다.[6]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구월1동 | 九月1洞 | 2.69 | 12,946 | 33,388 |
구월2동 | 九月2洞 | 1.06 | 13,445 | 39,208 |
구월3동 | 九月3洞 | 0.76 | 15,439 | 28,947 |
구월4동 | 九月4洞 | 0.91 | 7,731 | 16,509 |
간석1동 | 間石1洞 | 0.87 | 11,168 | 24,943 |
간석2동 | 間石2洞 | 0.41 | 9,243 | 23,184 |
간석3동 | 間石3洞 | 1.84 | 13,160 | 29,444 |
간석4동 | 間石4洞 | 1.07 | 12,133 | 27,944 |
논현1동 | 論峴1洞 | 4.51 | 12,549 | 32,036 |
논현2동 | 論峴2洞 | 3.31 | 13,903 | 33,594 |
논현고잔동 | 論峴古棧洞 | 10.50 | 14,607 | 41,135 |
만수1동 | 萬壽1洞 | 0.69 | 8,146 | 16,700 |
만수2동 | 萬壽2洞 | 1.34 | 9,837 | 26,192 |
만수3동 | 萬壽3洞 | 0.93 | 7,262 | 18,833 |
만수4동 | 萬壽4洞 | 0.89 | 9,102 | 23,022 |
만수5동 | 萬壽5洞 | 0.54 | 7,438 | 16,497 |
만수6동 | 萬壽6洞 | 1.73 | 10,197 | 26,487 |
서창2동 | 西昌2洞 | ? | 13,767 | 36,104 |
장수서창동 | 長壽西昌洞 | ? | 7,730 | 21,044 |
남촌도림동 | 南村桃林洞 | 9.76 | 9,057 | 22,712 |
남동구 | 南洞區 | 57.01 | 192,030 | 514,436 |
인구[편집]
연도 | 총인구 | ; |
---|---|---|
1990년 | 307,031명 | |
1995년 | 382,704명 | |
2000년 | 395,289명 | |
2005년 | 369,288명 | |
2010년 | 453,903명 | |
2015년 | 527,324명 |
주요 기관[편집]
- 인천광역시청
- 인천광역시교육청
- 인천지방경찰청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인천지역대학
- 한국산업인력공단 중부지역본부
- 대한상공회의소 인천인력개발원
- 인천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 도로교통공단 인천운전면허시험장
교육 기관[편집]

- 대학원대학교
- 특수학교
교통[편집]
철도[편집]
사진[편집]
인천대공원 입구
역대 구청장[편집]
대수 | 구청장 | 임기 | 비고 |
---|---|---|---|
초대 | 오일근 | 1988년 1월 1일 ~ 1989년 12월 26일 | 인천직할시 남동구청장 |
2대 | 김국진 | 1989년 12월 27일 ~ 1993년 3월 28일 | |
3대 | 민봉기 | 1993년 3월 29일 ~ 1994년 1월 2일 | |
4대 | 윤병수 | 1994년 1월 3일 ~ 1995년 3월 28일 | 인천광역시 남동구청장 |
5대 | 김용모 | 1995년 7월 1일 ~ 1998년 3월 4일 | 민선1기 |
6대 | 이헌복 | 1998년 7월 1일 ~ 1999년 11월 27일 | 민선2기 |
7대 | 윤태진 | 2000년 2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8대 | 윤태진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민선3기 |
9대 | 윤태진 | 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3일 | 민선4기 |
직무대리 | 황흥구 | 2010년 3월 4일 ~ 2010년 6월 30일 | |
10대 | 배진교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선5기 |
11대 | 장석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6기 |
12대 | 이강호 | 2018년 7월 1일 ~ | 민선7기 |
자매 결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인천 남동구청 (공식)
![]() |
인천광역시 부평구 | 경기도 부천시 | ![]() |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천광역시 연수구 |
![]() |
경기도 시흥시 | ||
![]() ![]() | ||||
![]() | ||||
황해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