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
영동군청 | |||
| |||
![]() 영동군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845.4 km2 | ||
세대 | 24,414 가구 (2020[1]) | ||
총인구 | 47,475 명 (2020[2]) | ||
인구밀도 | 56 명/km2 | ||
읍 | 1개 | ||
면 | 10개 | ||
군수 | 박세복(국민의힘) | ||
국회의원 | 박덕흠(국민의힘, 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 | ||
군청 | |||
소재지 | 영동읍 동정로 1 (계산리 210-1) | ||
홈페이지 | http://www.yd21.go.kr/ | ||
상징 | |||
군목 | 감나무 | ||
군화 | 진달래 | ||
군조 | 비둘기 |
좌표: 북위 36° 10′ 29″ 동경 127° 46′ 59″ / 북위 36.1746815° 동경 127.7830354°
영동군(永同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남부에 있는 군이다.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북쪽으로 충청북도 옥천군, 서쪽으로 충청남도 금산군과 인접하고, 동쪽으로 경상북도 김천시, 상주시, 남쪽으로는 전라북도 무주군과 접한다. 영동 남부의 민주지산(1,242m)에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3도의 경계가 되는 삼도봉이 있다. 영동의 농특산물로는 곶감, 포도가 유명하고, 고등교육기관으로 유원대학교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영동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10면이다.
역사[편집]
- 신라 경덕왕 때 (757년) 영동(吉同→永同)
- 고려 성종 때(995년) 계주자사 설치
- 1018년 경상도 상주
- 1172년 감무 설치
- 조선 중기 영동현, 황간현
- 1895년 영동군으로 개칭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영동군, 황간군을 영동군으로 통폐합하였다.(11면)[3]
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영동군 군내면, 군동면 영동면 일원 북일면, 북이면 용산면 일원 서일면, 서이면 심천면 일원 남일면, 남이면 양강면 일원 양내면 양산면 일원 양남이소면 용화면 일부 양남일소면 학산면 일원 황간군 상촌면 상촌면 일원 군내면, 서면 황간면 일원 오곡면 일부, 매복면 매곡면 일원 오곡면 일부, 황금소면 황금면 일원
- 1940년 11월 1일 영동면이 영동읍으로 승격하였다.[4]
- 1961년 11월 11일 군 청사를 다음의 위치로 이전하였다.(영동읍 계산리 667-1→ 부용리 2-4)
- 1973년 7월 1일 영동읍 고자리, 매곡면 돈대리를 상촌면으로 편입[5]
- 1989년 1월 1일 매곡면 광평리가 황간면으로 편입되었다.[6]
- 1991년 7월 7일 황금면을 추풍령면으로 개칭하였다.
지리[편집]
충청북도의 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상주시, 김천시, 서쪽으로 충청남도 금산군, 남쪽으로는 전라북도 무주군, 북쪽으로는 충청북도 옥천군, 보은군과 접하고 있다.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나뉘는 지역으로서 군 전체에 해발 1,000 m 내외의 높은 산들이 많은 편이다. 영동 남부의 민주지산(1,242m)은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를 나누는 경계로서 삼도봉이 있다.
기후[편집]
영동군 추풍령면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2.6 (36.7) |
5.5 (41.9) |
11.3 (52.3) |
18.8 (65.8) |
23.4 (74.1) |
26.6 (79.9) |
28.4 (83.1) |
28.9 (84.0) |
24.9 (76.8) |
19.8 (67.6) |
12.3 (54.1) |
5.5 (41.9) |
17.3 (63.1) |
일 평균 기온 °C (°F) | −2.0 (28.4) |
0.2 (32.4) |
5.2 (41.4) |
12.1 (53.8) |
17.0 (62.6) |
20.9 (69.6) |
23.7 (74.7) |
24.1 (75.4) |
19.3 (66.7) |
13.1 (55.6) |
6.4 (43.5) |
0.4 (32.7) |
11.7 (53.1) |
평균 최저 기온 °C (°F) | −6.2 (20.8) |
−4.5 (23.9) |
−0.2 (31.6) |
5.3 (41.5) |
10.7 (51.3) |
15.8 (60.4) |
20.1 (68.2) |
20.4 (68.7) |
14.6 (58.3) |
7.5 (45.5) |
1.1 (34.0) |
−4.1 (24.6) |
6.7 (44.1)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24.5 (0.96) |
34.5 (1.36) |
50.0 (1.97) |
69.6 (2.74) |
84.5 (3.33) |
146.3 (5.76) |
284.6 (11.20) |
244.5 (9.63) |
139.1 (5.48) |
43.9 (1.73) |
41.3 (1.63) |
24.2 (0.95) |
1,187.1 (46.74)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8.6 | 7.9 | 9.7 | 8.1 | 8.8 | 10.0 | 15.7 | 14.6 | 9.6 | 6.0 | 8.1 | 8.4 | 115.5 |
평균 상대 습도 (%) | 61.8 | 59.8 | 58.3 | 55.9 | 63.1 | 71.6 | 80.5 | 80.5 | 77.9 | 71.1 | 66.7 | 63.9 | 67.6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74.3 | 173.0 | 196.0 | 216.5 | 227.4 | 182.2 | 144.6 | 157.9 | 165.8 | 202.2 | 170.2 | 166.3 | 2,176.4 |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7] |
교통[편집]
경부선 철도 영동역과 경부고속도로 황간 나들목, 영동 나들목이 있어 대전-서울 및 부산 방향에서 접근이 편리하다.
행정 구역[편집]
영동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동군의 면적은 845.53km2이며, 인구는 2020년 7월 기준 24,345세대, 47,702명이고, 이 중 45%가 영동읍에 거주한다. 인구 최고치는 1965년 124,075명이었다.[8]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지도 |
---|---|---|---|---|---|
영동읍 | 永同邑 | 100.51 | 8,301 | ![]() | |
용산면 | 龍山面 | 66.89 | 1,571 | ||
황간면 | 黃澗面 | 90.3 | 2,030 | ||
추풍령면 | 秋風嶺面 | 55.22 | 1,116 | ||
매곡면 | 梅谷面 | 45.19 | 986 | ||
상촌면 | 上村面 | 137.59 | 1,166 | ||
양강면 | 陽江面 | 82 | 1,540 | ||
용화면 | 龍化面 | 59.39 | 476 | ||
학산면 | 鶴山面 | 73.5 | 1,470 | ||
양산면 | 陽山面 | 57.12 | 1,000 | ||
심천면 | 深川面 | 77.82 | 1,615 | ||
영동군 | 永同郡 | 845.53 | 24,059 | 50,486 |
인구[편집]
- 영동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9]
연도 | 총인구 | |
---|---|---|
1975년 | 108,939명 | ![]() ![]() ![]() ![]() ![]() |
1980년 | 95,046명 | ![]() ![]() ![]() ![]() |
1985년 | 84,725명 | ![]() ![]() ![]() ![]() ![]() |
1990년 | 76,802명 | ![]() ![]() ![]() ![]() ![]() |
1995년 | 61,973명 | ![]() ![]() ![]() ![]() |
2000년 | 60,415명 | ![]() ![]() ![]() |
2005년 | 49,338명 | ![]() ![]() ![]() ![]() ![]() |
2010년 | 50,532명 | ![]() ![]() |
2015년 | 51,035명 | ![]() ![]() ![]() |
2017년 | 50,486명 |
|
주요 기관[편집]
- 영동경찰서 (영동읍)
- 대전지방국세청 영동세무서 (영동읍)
- 대전지방기상청 추풍령기상대 (추풍령면)
- 청주지방법원 영동지원
2011년 11월 경기도 성남시에 있던 육군종합행정학교가 양강면으로 이전하였다.
의료[편집]
과거 영동군은 분만 취약 지역의 하나로 대전광역시, 옥천군, 김천시 등으로 원정 출산을 가는 경우가 많았으나 영동병원에 분만실을 설치하면서 원정 출산 건수가 줄어들었고, 예천군, 강진군과 함께 분만 취약 지역에서 제외되었다.
역대 군수[편집]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대 | 손준현 | 3년 4개월 | |
제2대 | 김상현 | 11개월 | |
제3대 | 박희찬 | 10개월 | |
제4대 | 정만근 | 1년 8개월 | |
제5대 | 이학래 | 1년 3개월 | |
제6대 | 서정국 | 1년 3개월 | |
제7대 | 이종곤 | 11개월 | |
제8대 | 김용은 | 1년 6개월 | |
제9대 | 임병옥 | 2년 2개월 | |
제10대 | 이중천 | 2년 9개월 | |
제11대 | 백용기 | 2년 6개월 | |
제12대 | 정화국 | 6개월 | |
제13대 | 강태봉 | 5개월 | |
제14대 | 정대용 | 8개월 | |
제15대 | 임혁재 | 2년 5개월 | |
제16대 | 이동희 | 1년 8개월 | |
제17대 | 김종진 | 2년 1개월 | |
제18대 | 정경모 | 2년 11개월 | |
제19대 | 권기상 | 11개월 | |
제20대 | 우용제 | 2년 8개월 | |
제21대 | 김종성 | 1년 1개월 | |
제22대 | 라기정 | 1년 11개월 | |
제23대 | 이상범 | 5개월 | |
제24대 | 김병호 | 1년 4개월 | |
제25대 | 서강돈 | 1년 5개월 | |
제26대 | 박홍규 | 7개월 | |
제27대 | 민기식 | 11개월 | |
제28대 | 김광기 | 1년 7개월 | |
제29대 | 손문주 | 2년 6개월 | |
제30대 | 권순영 | 6개월 | |
제31대 | 김선웅 | 11개월 | |
제32대 | 박완진 | 3년 | |
제33대 | 박완진 | 4년 | |
제34대 | 손문주 | 4년 | |
제35대 | 정구복 | 4년 | |
제36대 | 정구복 | 4년 | |
제37대 | 박세복 | 4년 | |
제38대 | 박세복 | 현임 |
교육 기관[편집]
문화관광[편집]
영동군에는 높은 산이 많고 계곡 사이 사이로 물이 많이 흐르고 있어 자연 경관이 아름답다. 영동군의 특산물로는 포도와 감이 있는데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매년 여름 포도축제와 국악축제, 곶감축제와 와인축제를 한다.
- 민주지산 :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에 걸친 산으로서, 주변의 삼도봉, 석기봉, 각호산과 합쳐 좋은 등산 코스를 형상한다. 산 아래의 물한계곡과 민주지산자연휴양림도 관광 가치를 더한다.
- 영국사 : 천태산에 자리한 절이며, 신라 문무왕 때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내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 제233호로 지정돼 있다.
- 옥계폭포 : 박연폭포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충청북도가 지정한 관광명소이다.
- 월류봉 : 달도 머물다 가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황간면의 봉우리로 경치가 아름답다.
자매 도시[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영동군청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