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군

음성군 | |||
| |||
![]() 음성군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 | ||
면적 | 520.40 km2 | ||
세대 | 47,431 가구(2021[1]) | ||
인구 | 92,171 명(2022년 2월) | ||
인구 밀도 | 177 명/km2 | ||
읍 | 2개 | ||
면 | 7개 | ||
국회의원 | 임호선(더불어민주당, 증평군·진천군·음성군) | ||
군청 | |||
군수 | 조병옥(더불어민주당) | ||
소재지 | 음성읍 중앙로 173 (읍내리 621-1) | ||
웹사이트 | 음성군청 | ||
상징 | |||
군목 | 은행나무 | ||
군화 | 개나리 | ||
군조 | 까치 |
음성군(陰城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서부에 있는 군이다. 특산물로 음성 청결고추가 유명하며,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고향이기도 하다.
동쪽으로 충주시, 괴산군, 서쪽으로 진천군, 북쪽으로 경기도 안성시, 이천시, 여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증평군과 경계를 이룬다.
역사[편집]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음성군으로 개편하였다.[2]
-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개편하였다.
- 1906년 9월 24일 충주군 금목면, 법왕면, 천기면, 지내면, 두의면, 대조면, 사다면, 소탄면, 감미면, 거곡면, 맹동면, 생동면, 무극면을 편입하였다.[3]
- 1914년 4월 1일 충주군 소파면, 사이면을 병합하였다. (9면)[4]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음성군 동도면(東道面) 수현리/월곡리/중산리/용추리/사인동, 석인리 일부/(충주군 사이면)원충리 일부, 신대리/중리/한천리/남촌 일부, 읍상리/읍하리/역촌/평촌리 일부/남촌 일부, 약현리/기곡리/토계리/평촌리 일부/(남면)하노리 일부, 한상리/한하리 군내면 용산리, 석인리, 신천리, 읍내리, 평곡리, 한벌리 음성군 근서면(近西面) 감우리/성주동, 상창리/삼생리 일부/동음리 일부/(맹동면)중삼리 일부, 강당리/내촌/벌대, 삼생리 일부/동음리 일부/(맹동면)중삼리 일부, 산양티/주천/내동/대촌/선가동/족지곡, 초천리/덕전리 감우리, 동음리, 사정리, 삼생리, 소여리, 초천리 음성군 원서면(遠西面) 덕정리/용당리 일부, 눌문리 일부/팽암리, 보천리 일부/용동, 보천리 일부, 삼용리/(근서면)삼생리 일부/(맹동면)단월동 일부/하삼리 일부, 야동/동막곡/곡내/덕현/설매/하리/기리/양촌/삼기동 원남면 덕정리, 문암리, 보룡리, 보천리, 삼용리, 조촌리 음성군 남면(南面) 구안리, 송오리/마피동리 일부, 상당리, 상노리, 내동/마피동리 일부, 음월촌/양촌/후촌/동양/당촌/가운, 내가곡/외가곡/하촌/능촌 구안리, 마송리, 상당리, 상노리, 주봉리, 하당리, 하노리 음성군 금목면(金目面) 동촌/덕동/각회리 일부, 석우리/반의리 일부/금곡리 일부, 내동리/송당리/시일리 일부, 본리/도장리 일부/청일리/장현리 일부, 오룡리/신개천리/구개천리 일부, 와우리/촌서리/촌동리/한삼리 일부, 포동리/포서리/포중리/별선리 일부, 능동/육십리/기령리/묵방리, 상촌/중촌/하촌/속리, 반의리 일부/금곡리 일부, 평리/외봉리/내봉리/영곡리 일부/구개천리 일부, 증산리/정단리/봉계리/한삼리 일부/(맹동면)개현리 일부, 오촌리/장현리 일부/영곡리 일부/별선리 일부/도장리 일부 금왕면 각회리, 금석리, 내송리, 도청리, 용계리, 유촌리, 유포리, 육령리, 백야리, 무극리, 봉곡리, 삼봉리, 오선리 음성군 법왕면(法旺面) 궁제/구룡/사계/보습/죽엽, 제내리/수곡리/고봉리, 본리/응대리/후평리/(금목면)장현리 일부, 사창리, 석평리/강구리, 쌍봉리/지소리, 행정리/연제리/천방리/(천기면)금정리 일부, 산직리/호일리/치산리/석원리 일부/(두의면)산막리 일부/신대리 일부/(경기도 음죽군 상율면)팔성리 일부/석교리 일부 구계리, 내곡리, 본대리, 사창리, 신평리, 쌍봉리, 행제리, 호산리 음성군 천기면(川岐面) 상곡리/점동, 송선리/신대리/금정리 일부/용산리 일부, 박서리/천령리/표산리/법령리 일부/(사다면)심목리 일부, 영청리/용산리 일부 삼성면 상곡리, 선정리, 천평리, 청룡리 음성군 지내면(枝內面) 대사서리, 금정리/덕지리/가동리/가서리, 덕교동/양곡리/대사동리, 성산리/원하리/원동/가산동/사천리/용산동 일부 대사리, 덕정리, 양덕리, 용성리 음성군 두의면(豆衣面) 율리 일부/내대리 일부, 하리/구정리, 율리 일부/내대리 일부, 능동/황상/신대/산직리 일부 대야리, 대정리, 용대리, 능산리 음성군 대조면(大鳥面) 정곡리 일부/(사다면)우두리 일부, 백금리/삼한리 일부/오산리 일부/정곡리 일부, 소당리/석격리 일부/삼한리 일부, 오산리 일부/(사다면)오하리 일부, 생동/태티리 일부/(천기면)법평리 일부/(사다면)천곡리 대소면 미곡리, 삼정리, 소석리, 오산리, 태생리 음성군 사다면(沙多面) 영산리/미산리/대죽리/사산리 일부/(진천군 만승면)검성리 일부/사산리 일부, 서당리/계두리/풍동/(진천군 만승면)검성리 일부/광동리 일부, 오삼리/연호리/소죽리/우두리 일부, 오상리/오중리/오하리/(천기면)용산리 일부 내산리, 대풍리, 삼호리, 오류리 음성군 소탄면(所呑面) 부윤리/마사동, 본리/성산리/(대조면)각동, 상태리/하태리/수인리/(진천군 소답면)신통리 부윤리, 성본리, 수태리 음성군 감미면(甘味面) 거동리/영촌리/공산리 일부, 덕동/성평리/상촌리/공산리 일부/외주리 일부, 선곡리/외주리 일부/(생동면)방축리 일부/(경기도 음죽군 하율면)총곡리 일부, 독정리/무수동/하티리/월동, 내주리/외주리 일부 감곡면 영산리, 상평리, 원당리, 월정리, 주천리 음성군 거곡면(居谷面) 단양리/노평리/대곡리/(경기도 음죽군 동면)노평리 일부, 상오리/신촌리/장평리/판요리/문암리, 상사리/하사리/토곡리 일부, 상아리/하아리/석우리, 궁장리/하오리/토곡리 일부, 신대리/오근리/행공리/본리/익금리/장대리 일부, 중동/마산리/내동/왕대리/장대리 일부 단평리, 문촌리, 사곡리, 상우리, 오궁리, 오향리, 왕장리 음성군 맹동면(孟洞面) 군자리/통동 일부, 부성리/두중리/두동리/두서리 일부, 용계리/신촌/상돈리 일부/하본리 일부/봉암리 일부/개현리 일부, 마운동/신평리/매산리/하본리 일부/봉암리 일부, 중돈리/두북리/하본리 일부/중본리 일부, 신계리/개현리 일부/봉암리 일부, 상돈리 일부/하본리 일부/(진천군 소답면)용소리 일부, 상정리/하정리/중본리 일부/율리 일부, 송동리/하묵리 일부, 창리/중리/천곡 맹동면 군자리, 두성리, 용촌리, 마산리, 본성리, 봉현리, 신돈리, 쌍정리, 인곡리, 통동리 음성군 생동면(笙洞面) 임오리/품곡리, 방축리 일부/야곡리 일부, 중생리/하생리, 송곡리/차곡리 일부, 신평리/신창리/양곤리 일부, 상생리/오룡리/신대리, 차곡리 일부/차평리 일부, 차평리 일부/말마리 일부, 지비천/곤지리/말마리 일부 생극면 임곡리, 방축리, 생리, 송곡리, 신양리, 오생리, 차곡리, 차평리, 팔성리 음성군 무극면(無極面) 진동/무수동/관촌/병산리 일부, 신촌/도관리 일부/곤지리 일부/생탕리 일부/(금목면)각회리 일부, 생탕리 일부/도관리 일부/곤지리 일부/병산리 일부 관성리, 도신리, 병암리 충주군 소파면(蘇坡面) 갑산2리/갑산3리/갑산1리 일부, 봉산리/저전리, 오상동/중동1리/중동2리/중동3리/중동4리/중동5리/갑산1리 일부/(괴산군 불정면)문등리 일부, 후미1리/후미2리/후미3리 일부 소이면 갑산리, 봉전리, 중동리, 후미리 충주군 사이면(沙伊面) 금정리 일부/충원리 일부/삼고리 일부, 장막리/대평리/금정리 일부/(소파면)후미3리 일부, 비석동/조도리/돈산리, 도남리/양전리/삼고리 일부/충원리 일부/(음성군 동도면)석인리 일부 금고리, 대장리, 비산리, 충도리
- 1917년 10월 1일 군내면을 음성면으로 개칭하였다.
-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을 음성읍으로 승격하였다.[5] (1읍 8면)
-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을 금왕읍으로 승격, 생극면 도신리 일부를 금왕읍으로, 중원군 신니면 광월리 일부를 음성읍으로,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를 소이면으로 편입하였다.[6] (2읍 7면)
행정 구역[편집]
음성군의 행정 구역은 2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520.40km2이다. 2016년 2월 29일을 기준으로 주민등록 인구는 43,686세대, 96,777명이다. 1968년 122,28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감소하여 1990년 74,717명으로 최저를 기록했지만, 이후 9만 명을 회복하였다.[7] 군청 소재지인 음성읍보다 금왕읍에 더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금왕읍은 산맥을 기준으로 음성분지와 생활권이 단절되어 있다. 감곡면은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과 한생활권을 이룬다. 공장이 많기 때문에 남녀 성비는 1.1로 충북에서는 제일 높은 수준이다.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지도 |
---|---|---|---|---|---|
음성읍 | 陰城邑 | 86.42 | 8,148 | 18,411 | ![]() |
금왕읍 | 金旺邑 | 71.34 | 9,707 | 21,549 | |
소이면 | 蘇伊面 | 48.9 | 1,557 | 3,113 | |
원남면 | 遠南面 | 64.77 | 1,609 | 3,080 | |
맹동면 | 孟洞面 | 34.69 | 3,155 | 9,123 | |
대소면 | 大所面 | 38.17 | 7,187 | 16,648 | |
삼성면 | 三成面 | 50.59 | 3,989 | 8,093 | |
생극면 | 笙極面 | 56.04 | 2,306 | 4,780 | |
감곡면 | 甘谷面 | 69.48 | 5,092 | 10,946 | |
음성군 | 陰城郡 | 520.40 | 43,686 | 96,777 |
군청[편집]
현재 음성군청은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위치하고 있다.
교통[편집]
철도[편집]
고속도로[편집]
국도[편집]
국가지원지방도[편집]
지방도[편집]
산업[편집]
2010년 기준 1780여개의 기업체가 등록돼 있어 충청북도에서 가장 많은 기업체가 입주되어 있다.[8]
산업단지[편집]
- 대풍지방산업단지
- 대소지방산업단지
- 소이지방산업단지
- 금왕지방산업단지
- 니트지방산업단지
- 음성하이텍산업단지
- 맹동산업단지
- 감곡지방산업단지
농공단지[편집]
- 음성농공단지
- 금왕농공단지
- 삼성농공단지
지역내 총생산[편집]
음성군의 2011년 지역내 총생산은 13조 8,058억원으로 충청북도 지역내 총생산의 13.5%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3,499억원으로 2.5%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11조 976억원으로 80.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조 3,582억원으로 17.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대규모 신산업단지의 건설과 관련하여 건설업(5.0%)과 공공행정(1.9%),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1.5%)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1.3%)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9]
산업별 종사자 현황[편집]
2014년 음성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58,560명으로 충청북도 총종사자 수의 9.4%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279명으로 0.5%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32,474명으로 55.5%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5,807명으로 44.1%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산업은 충청북도 전체의 비중 (28.9%)보다 높고 3차 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70.8%)보다 낮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7.0%), 숙박 및 음식점업(6.5%)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7%), 사업서비스업(4.6%)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0]
교육[편집]
|
|
|
|
- 특수학교
출신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각주[편집]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칙령 제98호
- ↑ 칙령 제 49호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법률 제393호 (1956년 7월 8일)
-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음성군 인구현황”. 2014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新택리지]농업과 공업이 조화를 이룬 중부권 핵심도시, 충청북도 음성군”. 경향신문사. 2010년 9월 13일.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충청북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 충청북도 기본통계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음성군청 (공식)
- 네이버 캐스트 : 여행 - 음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