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
좌표: 북위 36° 59′ 27″ 동경 127° 55′ 33″ / 북위 36.9906949° 동경 127.9259673°

![]() 충주시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983.95 km2 | |
세대 | 92,987 가구 (2018년 11월 30일) | |
총인구 | 210,353 명 (2019년 7월 31일) | |
인구밀도 | 214 명/km2 | |
읍 | 1개 | |
면 | 12개 | |
행정동 | 12개 | |
법정동 | 26개 | |
시장 | 조길형(자유한국당) | |
국회의원 | 이종배(자유한국당) | |
시청 | ||
소재지 | 충주시 으뜸로 21 (금릉동 700) | |
홈페이지 | http://www.chungju.go.kr | |
상징 | ||
시목 | 사과나무 | |
시화 | 국화 | |
시조 | 원앙 |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다. 차령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있으며, 남한강 유역에 침식분지가 발달되어 하안단구 지형을 이룬다. 동쪽으로 충청북도 제천시, 서쪽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남쪽으로 충청북도 괴산군과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으로 강원도 원주시 및 경기도 여주시와 접한다. 중앙탑면에는 삼국 시대 유물인 충주 고구려비가 있다. 시청 소재지는 금릉동이고, 행정구역은 1읍 12면 12동이다.
목차
역사[편집]
- B.C 3~4세기경 삼한 중 마한에 속함
- 350년 백제 근초고왕 5년 백제 영역(낭자곡성,낭자성,화성)
-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국원성(일명 미을성, 완장성)
- 550년 신라 진흥왕 11년 국원성에 목 설치
- 557년 신라 진흥왕 18년 국원소경으로 개칭
- 685년 신라 신문왕 5년 중원소경으로 개칭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중원경으로 개칭, 신라의 중앙표방
- 940년 고려 태조 23년 충주부로 개칭
- 983년(고려 성종 2년) 처음으로 십이목(十二牧)을 두었는데 이 때, 충주에 충주목(忠州牧)을 두었다.
- 995년 고려 성종 14년 중원도를 설치 절도사 배치
- 1018년 고려 현종 9년 8목 중 충주목 설치
- 1254년 고려 고종 41년 국원경으로 개칭
- 1277년 고려 충렬왕 3년 충주성 개축 때 성벽에 연화를 조각하여 예성이라 함
- 1395년 조선 태조 4년 충청도로 개칭, 충주에 도감영 설치
- 1449년 조선 세종 31년 충청좌도 우도로 변경, 좌감사 배치(목사 겸함)
- 1458년 조선 세조 3년 충주진영이라 개칭, 충주영장이 8군을 관장함 (8군:단양군, 영춘현, 제천현, 청풍도호부, 괴산군, 연풍현, 음성현, 청안현)
- 1602년 조선 선조 35년 충청도 감영을 공주로 이전
- 1896년 8월 4일 충청도를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로 분리하면서, 충청북도의 수부(首府)를 충주에 두었다.[1]
- 1906년 금목면과 법왕면을 음성군에 편입
- 1908년 충청북도청을 청주로 이전
(일제 강점기 이후의 행정 구역 개편의 역사는 충주시의 행정 구역#역사를 참조)
지리[편집]
지형[편집]
충주시는 충청북도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 제천시, 서쪽으로 음성군, 남쪽으로 괴산군과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으로 강원도 원주시, 경기도 여주시와 경계를 이룬다. 도로는 문경시를 제외한 이들 모두와 개설되어있으나 문경시와는 하늘재 산책로로 이어지며 자동차로는 괴산군 연풍면을 경유해야 한다. 동남쪽으로 소백산맥의 여맥인 계명산, 남산, 대림산, 월악산과 서쪽으로 둘러싸인 산간분지로 형성되고 남한강과 달천 및 요도천이 충주시를 관통하여 예로부터 수운이 편리하고 수자원이 풍부한 내륙분지에 위치하고 있다.[2]
기후[편집]
위도상으로 볼 때 대개 북위 37도 16분 ~ 36도 18분을 차지한 중위도 지역으로 온대 계절풍 지대를 형성하여 사계의 구별이 뚜렷하며 한서의 차가 심한 기후로 계절에 대한 감각과 한대, 열대 등 이질적인 풍토에도 순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켰다.
충주시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1.9 (35.4) |
5.1 (41.2) |
11.4 (52.5) |
19.4 (66.9) |
24.0 (75.2) |
27.6 (81.7) |
29.6 (85.3) |
30.2 (86.4) |
25.8 (78.4) |
20.0 (68.0) |
12.1 (53.8) |
5.0 (41.0) |
17.7 (63.9) |
일 평균 기온 °C (°F) | −4.2 (24.4) |
−1.3 (29.7) |
4.7 (40.5) |
11.7 (53.1) |
17.1 (62.8) |
21.7 (71.1) |
24.7 (76.5) |
24.9 (76.8) |
19.3 (66.7) |
12.4 (54.3) |
5.3 (41.5) |
−1.0 (30.2) |
11.2 (52.2) |
평균 최저 기온 °C (°F) | −9.5 (14.9) |
−6.8 (19.8) |
−1.2 (29.8) |
4.4 (39.9) |
10.7 (51.3) |
16.4 (61.5) |
20.7 (69.3) |
20.8 (69.4) |
14.6 (58.3) |
6.8 (44.2) |
−0.1 (31.8) |
−6.0 (21.2) |
5.9 (42.6)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21.2 (0.83) |
23.2 (0.91) |
44.9 (1.77) |
63.1 (2.48) |
88.7 (3.49) |
134.7 (5.30) |
293.5 (11.56) |
268.6 (10.57) |
148.9 (5.86) |
57.5 (2.26) |
47.2 (1.86) |
21.1 (0.83) |
1,212.7 (47.74)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7.1 | 6.7 | 8.1 | 7.9 | 8.7 | 9.4 | 14.8 | 14.1 | 8.6 | 6.4 | 8.1 | 7.2 | 107.1 |
평균 상대 습도 (%) | 72.9 | 69.0 | 65.7 | 60.4 | 64.3 | 70.4 | 77.4 | 78.5 | 78.4 | 76.2 | 75.2 | 74.9 | 71.9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68.7 | 175.6 | 203.0 | 233.0 | 242.9 | 219.9 | 178.7 | 197.2 | 188.7 | 193.5 | 152.7 | 156.5 | 2,310.3 |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3] |
행정 구역[편집]
충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 12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주시의 면적은 983.7 km²이다. 인구는 2016년 5월 31일을 기준으로 88,043세대, 212,193명이다.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주덕읍 | 周德邑 | 48.40 | 2,631 | 5,882 |
살미면 | 乷味面 | 91.60 | 1,057 | 2,182 |
수안보면 | 水安堡面 | 73.40 | 1,675 | 3,385 |
대소원면 | 大召院面 | 61.90 | 3,248 | 6,359 |
신니면 | 新尼面 | 59.80 | 1,645 | 3,536 |
노은면 | 老隱面 | 61.80 | 1,261 | 2,561 |
앙성면 | 仰城面 | 100.30 | 2,218 | 4,437 |
중앙탑면 | 中央塔面 | 48.10 | 1,290 | 2,923 |
금가면 | 金加面 | 33.80 | 1,731 | 4,299 |
동량면 | 東良面 | 109.40 | 1,905 | 4,121 |
산척면 | 山尺面 | 78.40 | 1,248 | 2,617 |
엄정면 | 嚴政面 | 56.50 | 1,679 | 3,602 |
소태면 | 蘇台面 | 63.00 | 979 | 2,041 |
성내충인동 | 城內忠仁洞 | 0.50 | 1,671 | 3,394 |
교현안림동 | 校峴安林洞 | 27.70 | 9,551 | 24,508 |
교현2동 | 校峴2洞 | 0.90 | 3,943 | 8,849 |
용산동 | 龍山洞 | 1.50 | 6,236 | 16,965 |
지현동 | 之峴洞 | 0.60 | 2,563 | 6,154 |
문화동 | 文化洞 | 1.00 | 4,923 | 11,432 |
호암직동 | 虎岩直洞 | 14.30 | 4,023 | 10,779 |
달천동 | 達川洞 | 23.00 | 2,260 | 5,116 |
봉방동 | 鳳方洞 | 3.60 | 4,751 | 10,908 |
칠금금릉동 | 漆琴金陵洞 | 5.90 | 6,393 | 17,343 |
연수동 | 連守洞 | 5.00 | 16,645 | 41,379 |
목행용탄동 | 牧杏龍灘洞 | 13.60 | 2,627 | 7,421 |
충주시 | 忠州市 | 983.7 | 88,043 | 212,193 |
충주권[편집]
2014년 국토교통부에서 확정한 20개 중추도시생활권에서 충주시, 제천시, 음성군을 충주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역대 시장[편집]

주요 기관[편집]
사법[편집]
-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교현동 소재
행정[편집]
- 대전지방국세청 충주세무서 (기획재정부 산하 국세청 소속) - 금릉동 소재
- 충청지방통계청 충주사무소 (기획재정부 산하 통계청 소속) - 연수동 소재
- 충주교육지원청 (충청북도교육청 산하) - 교현동 소재
-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 (법무부 산하 검찰청 소속) - 교현동 소재
- 충주경찰서 (행정자치부 산하 경찰청 소속) - 교현동 소재
- 충주소방서 (국민안전처 산하 소방방재청 소속) - 목행동 소재
-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충주지청 (고용노동부 소속) - 봉방동 소재
- 대전지방기상청 충주기상대 (환경부 산하 기상청 소속) - 안림동 소재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충주국토관리사무소 (국토교통부 소속) - 동량면 소재
- 대전지방보훈청 충주보훈지청 (국가보훈처 소속) - 호암동 소재
문화[편집]
박물관[편집]
- 충주박물관 - 중앙탑면 소재
- 고구려천문과학관 -중앙탑면 소재
- 사과과학관 - 동량면 소재, 충주사과시험장에 위치한 사과 홍보관이다.
- 술박물관 리쿼리움 - 중앙탑면 소재
- 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 - 동량면 소재
- 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 - 대소원면 소재
도서관[편집]
공연 시설[편집]
- 충주시민회관 - 성내동 소재
- 충주호암예술관 - 호암동 소재, 2006년 신축한 문화회관.
- 충주여성문화회관 - 금릉동 소재, 2009년 신축한 문화회관.
- 충주학생회관 (충주교육지원청 산하) - 호암동 소재
- 우륵당 - 호암동 소재, 국악 전문 공연 및 교육시설이다.
언론사[편집]
유적지[편집]
명소[편집]
충주호는 1985년에 지어진 충주댐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호수이다. 면적 67.5 km2, 평균수심 97.5 m이며 길이 464 m, 저수량은 27억 5000톤이다.
- 온천
- 문강유황온천, 앙성탄산온천, 수안보온천
수안보온천(水安堡溫泉)은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에 있는 대한민국의 천연 온천수이다. 이 수안보온천은 조선왕조실록 등 자료에도 나오며, 다른 온천이 개발되기 전까지 이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지였다.
- 탄금호음악분수
- 산
- 강/저수지
- 탁영대, 삼탄, 달천, 노루목, 호암지, 비내섬(비내 늪/앙성면 조천리)
- 계곡/폭포
- 억수계곡, 봉황계곡, 만수계곡, 송계계곡
- 자연휴양림
- 계명산자연휴양림, 봉황자연휴양림
- 레포츠/문화시설
- 동락지, 앙암지, 중산리지, 용원지, 지당지, 추평지, 충주호, 사조리조트 스키장, 파크랜드 눈썰매장, 중원 G.C.,시그너스 C.C, 쌍떼힐C.C, 임페리얼레이크 C.C
- 전통사찰
축제[편집]
- 충주세계무술축제
- 충주호사랑호수축제
- 우륵문화제
- 여성문화제
- 수안보온천제
- 앙성탄산온천휴양축제
- 충주사과축제
- 충주복숭아축제
- 밤축제
- 수안보대학찰옥수수축제
- 산척천등산고구마축제
- 중앙탑공원 토요이벤트
- 수안보물탕공원 토요이벤트
스포츠[편집]
축구[편집]
리그명 | 팀명 | 창단연도 | 홈 경기장 |
---|---|---|---|
K리그 챌린지 | 충주 험멜 축구단 | 1999년 | 충주공설운동장(구.종합운동장) |
스포츠 시설[편집]
- 충주공설운동장 - K리그 챌린지 충주 험멜 축구단의 홈구장이다.
- 충주호암체육관 - 국민체육센터와 배드민턴전용체육시설이 자리잡은 체육관이다.
- 충주세계무술공원 및 충주운동장 - 충주세계무술축제의 개최지이다.
- 충주시 택견원 - 호암동에 위치해 있으며 충주시립택견단과 택견연구원이 근무중인 곳이다.
- 충주종합스포츠타운 - 호암동 일대에 위치하고있으며 2017 전국체전의 주경기장으로 사용했고 2018 전국소년체전과 세계소방관경기대회 주경기장으로 쓰일 예정이다.
산업[편집]
지역내 총생산[편집]
충주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10조8852억원으로 충청북도 지역내 총샌산의 10.6%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4092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5조2670억원으로 48.3%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5조2089억원으로 47.8%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건설업(11.1%), 공공행정(7.1%)과 교육서비스업(4.3%)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5]
산업별 종사자 현황[편집]
2014년 충주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73,218만 명으로 충청북도 총중사자 수의 11.8%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 은 567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16,048명으로 21.9%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 56,603명으로 77.3%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산업은 충청북도 전체의 비중(28.9%)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북도 전체 비중(70.8%) 보다 높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문화서비스업(8.6%), 도소매업(14.0%)과 숙박 및 음식업(12.4%), 교육서비스업(10.2%)이 큰비중을 차지하고 있다[6]
주요 상업 시설[편집]
영화관[편집]
- 메가박스 충주 (성서동)
- 충주 씨네큐 (연수동)
- 롯데시네마 충주(달천동)
기업도시 및 첨단산업단지[편집]
교통[편집]
철도[편집]
버스[편집]
교육[편집]
|
|
|
|
|
- 특수학교
자매 도시[편집]
국내자매결연[편집]
해외자매결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일본어/영어/일본어) 충주시청 (공식)
- 충주교육지원청
- 충주시보건소
- 충주문화관광포털
- 네이버 캐스트 : 여행 - 충주시
![]() |
경기도 여주시 | 강원도 원주시 | ![]() | |
충청북도 음성군 | ![]() |
충청북도 제천시 | ||
![]() ![]() | ||||
![]() | ||||
충청북도 괴산군 | 경상북도 문경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