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보은 지진은 1970년 2월 12일 오후 6시 43분 17초경 충청북도 보은군에서 발생한 규모 4.9[1]의 지진이다.
지진으로 목포에서는 일시적으로 정전이 발생하고 건물이 심하게 흔들렸으며, 광주와 장흥에서도 큰 진동을 느꼈다는 기록이 있다.[4] 그리고 이 지진으로 대마도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1의 진동이 감지되었다.[5]
|
---|
암석 | |
---|
주요 지질 구조 | |
---|
주요 지진 | |
---|
고려 시기 이전 (- 1392) |
-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 위례성 인근 (27 · M6.3)
- 광주 (89 · M6.3)
- 경주 (100 · M6.3)
- 경주 (123 · M6.3)
- 경주 (304 · M6.3)
- 평양 (502 · M6.3)
- 경주 (510 · M6.3)
- 경주 (664 · M6.3)
- 경주 (779 · M6.7)
- 경주 (780 · M6.3)
- 개성 (1036 · M5.7)
- 개성 (1385 · M6.3)
|
---|
조선 시기 (1392-1905) |
- 순천 (1455 · M6.4)
- 한성 (1518 · M6.7)
- 백천 해역 (1518 · M6.7)
- 경산 (1553 · M6.3)
- 백두산 인근 (1597 · M8<)
- 수원 (1613 · M6.3)
- 합천 (1643 · M6.4~6.7)
- 울산 해역 (1643 · M6.7)
- 황해 해역 (1649 · M6.5)
- 순창 (1664 · M6.3)
- 황해도 청단 (1668 · M6.4)
- 김제 해역 (1670 · M6.3)
- 양양 해역 (1681 · M7.5)
- 홍성 (1700 · M6.5)
- 개성 (1714 · M6.7)
- 함흥 (1727 · M5.7)
- 부령 (1810 · M?)
-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
---|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 |
---|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 |
---|
|
|
---|
지역별 지질 | |
---|
지질 명소 | |
---|
국가지질공원 | |
---|
한국의 산맥 | |
---|
관련 기관 | |
---|
옛날 지질지도 | |
---|
|
|
---|
고려 시기 이전 (- 1392) |
-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 위례성 인근 (27 · M6.3)
- 광주 (89 · M6.3)
- 경주 (100 · M6.3)
- 경주 (123 · M6.3)
- 경주 (304 · M6.3)
- 평양 (502 · M6.3)
- 경주 (510 · M6.3)
- 경주 (664 · M6.3)
- 경주 (779 · M6.7)
- 경주 (780 · M6.3)
- 개성 (1036 · M5.7)
- 개성 (1385 · M6.3)
|
---|
조선 시기 (1392-1905) |
- 순천 (1455 · M6.4)
- 한성 (1518 · M6.7)
- 백천 해역 (1518 · M6.7)
- 경산 (1553 · M6.3)
- 백두산 인근 (1597 · M8<)
- 수원 (1613 · M6.3)
- 합천 (1643 · M6.4~6.7)
- 울산 해역 (1643 · M6.7)
- 황해 해역 (1649 · M6.5)
- 순창 (1664 · M6.3)
- 황해도 청단 (1668 · M6.4)
- 김제 해역 (1670 · M6.3)
- 양양 해역 (1681 · M7.5)
- 홍성 (1700 · M6.5)
- 개성 (1714 · M6.7)
- 함흥 (1727 · M5.7)
- 부령 (1810 · M?)
-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
---|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 |
---|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