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1년 양양 지진
![]() | |
전진 | |
최대전진 | 1681년 6월 12일 오후 3시~5시 M6.5 전진 |
---|---|
본진 | |
발생일 | 1681년 6월 26일 |
진앙 | 조선 강원도 양양군 · 삼척군 |
좌표 | 북위 37° 30′ 동경 129° 18′ / 북위 37.5° 동경 129.3° [1] |
규모 | 릭터 규모 7.5 일본 기상청 규모 7.5 |
최대 진도 | 진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VIII~IX : |
피해 | |
피해지역 | ![]() |
1681년 양양 지진(襄陽地震) 은 조선 숙종 7년(1681년) 6월 12일과 6월 26일 강원도 양양군에서 두 차례에 걸쳐 발생한 지진으로, 지금으로 치면 규모 7.5의 강진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던 것으로 보인다.[2][3] 그래서 한반도에서 17세기 당시에 역대급 최악의 지진으로 기록하였고, 최대 진도는 1차 지진은 VIII를, 2차 지진은 VIII에서 IX 사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 당시의 기록상 규모 6~7급의 지진이 양양군에서 발생된 것으로 나와 있어,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간방으로부터 곤방까지 지진이 있었고 집이 매우 흔들렸고 창, 벽 등이 흔들리는 것 외에도 길을 가던 사람 중 말이 놀라 떨어져 죽은 사람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었고, 승정원일기에 나오는 내용으로는 지진이 전후 변이 현상이 커졌던 것으로 드러난다. 그 외에도 2차 지진이 일어난 것은 1차 지진 발생 이후 빈도는 더 컸으나, 지진의 상황을 봐도 돌이 흔들리고 산악마저 추락하는 등 붕괴 조짐의 시작이 있었던 것으로 나와 있었다고 숙종실록에 별도로 보고하였다.[4]
기본 정보[편집]
- 발생 일시 : 1차 - 숙종 7년 (1681년) 6월 12일 신시(오후 4시대로 추정), 2차 - 동년 6월 26일
- 최대 진도 : 1차 - VIII, 2차 - VIII ~ IX
- 지진 규모 : 아래와 같음
- 1차 : M 6.5 ~ M 7.0 (KMA 지진연구소)
- 2차 : M 7.5 (KMA, NGDC, 가사하라 준조 도쿄 대학교 명예교수)
- 최대 진도 : 1차 - 진도 5강~6약, 2차 - 진도 6약~6강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 쓰나미 여부 : 있음
- 피해 보고 : 불명함.
각주[편집]
- ↑ 韓半島で発生した最大級の地震 -1681年6月韓国東海岸地震-, 歴史地震, 第20号, 169-182. - 秋教昇、朴昌業、都司嘉宣 (2005)
- ↑ 이덕기 ( Duk Kee Lee ); 이유철 ( Yu Che Li ); 양준모 ( Jun Mo Yang ); 윤용훈 ( Yong Hoon Youn ). “1681년 6월 12일, 17일, 그리고 26일 양양-삼척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기록의 분석”. 《지구물리》. ISSN 1229-1951. 2020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이덕기; Yong-Hoon, Youn; 이유철; 양준모 (2004). “Analysis Study on the Earthquakes Occurred at June 12, 17, 26, 1681 in the Offshore Between the Yangyang and Samcheok Counties, Gangwon Province,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7 (2): 89–97. ISSN 1229-1951.
- ↑ “조선왕조실록 : 원본 보기”. 2021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지질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