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백룡동굴

(백룡동굴에서 넘어옴)

평창 백룡동굴
(平昌 白龍洞窟)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천연기념물
KOCIS Baengnyong Cave (4811002039).jpg
종목천연기념물 제260호
(1979년 2월 10일 지정)
면적956,433m2(지정구역)
소유국유
위치
평창 마하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평창 마하리
평창 마하리
평창 마하리 (대한민국)
주소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
좌표북위 37° 16′ 40″ 동경 128° 34′ 37″ / 북위 37.27778° 동경 128.57694°  / 37.27778; 128.57694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평창 백룡동굴(平昌 白龍洞窟)은 강원도 평창군에 있는 석회암 동굴이다. 1979년 2월 10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평창의 백룡동굴은 남한강의 한 물줄기인 동강 옆의 백운산 기슭 절벽에 있는 석회동굴이다. 동굴의 총길이는 약 1,875m이며 하나의 주굴과 3개의 가지굴로 되어있고 주굴이 동서방향으로 발달한 수평동굴이다. 입구는 백운산 하부 영월 동강의 수면으로부터 약 15 m 상부인 해발 235 m 지점에 위치해 있다. 해당 지역에는 석회암돌로마이트로 구성된 조선 누층군[[|막동 석회암층(Omg; Ordovician makdong limestone formation)이 발달하고 있다. 주요 퇴적암상으로는 담회색 내지 암회색의 층리가 잘 발달한 석회암, 괴상 석회암, 백운암질 석회암, 리본암 등을 들 수 있다.[1]

동굴 안에는 종유관, 종유석, 석순, 석주, 유석, 동굴산호, 동굴방패, 석화, 곡석, 커튼, 휴석 등 다양한 동굴 생성물이 지하궁전처럼 화려하게 펼쳐져 있다. 특히 삿갓 모양의 석순과 달걀 프라이 모양의 석순 등이 특이하다.

백룡동굴은 1976년 정무룡과 우재성에 의해 동굴 통로 중간에 작아서 출입할 수 없었던 작은 구멍이 뚫림으로써, 동굴 내부의 규모와 경관이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백룡동굴은 동굴을 배태하는 "백운산"(883.5 m)과 정무룡의 "룡"자를 따서 "백룡동굴"이라 명명되었으며, 특징적인 동굴 생성물 및 동굴 생물의 분포로 인하여 그 학술적, 자연유산적 가치를 인정받아 1979년에 천연기념물 제260호로 지정되었다. 백룡동굴은 다양한 동굴생성물, 동굴생물과 동굴 내 미지형을 가지고 있어서 학술적 및 경관적 가치가 매우 높다. 백룡동굴의 총 길이는 약 1,875m로 이 중 약 785m가 2010년 7월 20일에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었으며, 기존 개방 동굴의 관람 패턴과는 차별화된 국내 최초의 체험형 교육 관광 동굴로 소수의 제한된 관람객이 가이드와 함께 체험하고 새로운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체험형 관광 동굴이다.[2]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