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동리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회동리층
층서 범위: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회동리층이 분포하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일대의 지질도
유형퇴적암
상위 단위조선 누층군
하층조선 누층군 행매층
상층평안 누층군 만항층
지역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두께200 m
암질
석회암
나머지돌로마이트석회암
위치
이름 유래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명명자정창희 (1979)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회동리층(Hoedongri formation, 檜洞里層)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일대에 분포하는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퇴적암 지층이다. 이 지층은 과거 히사코시(1943)에 의해 상부 석회암이라 불렸으나[1] 1979년 회동리층으로 이름이 개정되었다. 이하영(1980)에 의하면 정선 석회암층 상부에 해당하는 이 지층은 조선 누층군의 행매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평안 누층군 홍점층에 의해 덮인다. 회동리층은 청회색과 담회색~유백색의 괴상(일부 층상) 석회암으로 구성되고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이 협재된다. 회동리층의 두께는 200 m 내외이며 퇴적 환경은 천해이고 행매층 위에 놓이며 평안 누층군의 만항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인다.

회동리층의 화석[편집]

  • 정창희 외(1979)는 Hisakoshi가 정한 상부 석회암이란 명칭 대신 회동리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고 회동리층 4개 단면에서 836개체의 코노돈트를 보고하였다. 코노돈트는 Pterospathodus celloni (Walliser) and Panderodus unicostatus (Branson and Mehl)와 신종 Ambalodus hoedongensis로 분류되었다.[2]
  • 이하영(1980)은 회동리층이 분포하는 4개 지역에서 산출된 827개의 코노돈트 화석을 근거로 회동리층을 실루리아기에 대비하였다.[3]
  • 이병수(2018)는 행매층 상부와 회동리층 하부 양 지층에 걸쳐 286개체의 코노돈트 화석 Acontiodus viriosus Cui, Aurilobodus serratus Xiang and Zhang, A. simplex Xiang and Zhang, Drepanodus arcuatus Pander, Drepanodus reclinatus (Sergeeva), Drepanoistodus suberectus (Branson and Mehl), Eoplacognathus jigunsanenesis Lee and Lee, E. lindstroemi Hamar, Erraticodon tangshanensis Yang and Xu, Panderodus nogamii Lee, Parapanderodus paracornutiformis (Ethington and Clark), Plectodina onychodonta An and Xu, Scandodus choii n. sp., Triangulodus changshanensis (Zhang)을 발견하고 Aurilobodus serratus 화석대를 설정했다. 이 화석대의 존재는 행매층과 회동리층의 관계가 부정합이 아니라 정합이라는 것을 지시한다. 또한 신종 Scandodus choii가 보고되었다. 이 연구에서 이병수는 회동리층의 지질시대가 실루리아기보다는 오르도비스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4]
  • 이병수(2019)는 정선-평창 지역 회동리층의 코노돈트 화석을 연구하고 회동리층의 지질시대를 중기~후기 오르도비스기로 정하였다. 회동리층은 성마령 단면에서 가장 잘 드러나며 이곳의 회동리층은 하부 석회암, 돌로마이트질 석회암, 상부 석회암, 교호대 4개 층원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병수는 성매령 단면을 포함하여 5개 단면에서 회동리층 상부에서 669개체의 코노돈트 화석을 산출하고 Tasmanognathus sishuiensis-Erismodus asymmetricus 화석대를 설정하였다. 이 화석대는 태백산 분지 지역에서 가장 젊은 코노돈트 화석대이며, 영흥층에 대비된다. 화석군은 Panderodus gracilis가 우세하며 이외에 오르도비스기 샌드비안(Sandbian)을 지시하는 Aphelognathus solidum Pei, Belodina sp., Eoligonodina prima (Branson and Mehl), Erismodus asymmetricus (Branson and Mehl), E. quadridactylus (Stauffer), Plectodina aculeata (Stauffer), P. alatheta An, Tasmanognathus careyi Burrett, T. sishuiensis Zhang이 산출된다.[5]


조선 누층군 용탄층군의 코노돈트 생층서대[4][5][6][7]
지층 생층서대 이름
회동리층 Tasmanognathus sishuiensis-Erismodus asymmetricus
Aurilobodus serratus
행매층
Eoplacognathus suecicus
정선 석회암층
Erraticodon tangshanensis
-

노두[편집]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325-2 (N 37°25'20.56", E 128°34'30.85") 지점에 회동리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8]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Hisakoshi, S. (1943년). “Geology of Seizen (Jeongseon) district, Kogendo, Tyose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Japan》 50: 269-277. 
  2. Cheong, C.H.; Lee, H.Y.; Ko, I.S.; Lee, J.D (1979년). “A study on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ical environments of the lower Paleozoic sequences in South Korea (chiefly in Jeongseon area)”. 《Journal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3. 이하영 (1980년 6월). “Discovery of Silurian Conodont Fauna from South Korea (韓國의 사일루리안 코노돈트 발견)”. 《대한지질학회16 (2): 114-123. 
  4. Lee, Byung Su (2018년). “Recognition and significance of the Aurilobodus serratus conodont Zone (Darriwilian) in lower Paleozoic sequence of the Jeongseon–Pyeongchang area, Korea”. 《Geosciences Journal》 22 (5): 683-696. doi:10.1007/s12303-018-0032-1. ISSN 1598-7477. 
  5. Lee, Byung Su (2019년 10월). “Upper Ordovician (Sandbian) conodonts from the Hoedongri Formation of western Jeongseon, Korea”. 《Geosciences Journal》 23 (5): 695-705. doi:10.1007/s12303-019-0009-8. ISSN 1598-7477. 
  6. Lee, Byung Su (2020년). “Conodonts from the ‘Lower Limestone’ and Haengmae Formation in western Jeongseon, Korea and their implication for lithostratigraphic correlation”. 《Geosciences Journal》 24 (2): 113-120. doi:10.1007/s12303-019-0034-7. ISSN 1598-7477. 
  7. 이병수 (2020년 6월). “정선-평창지역 하부 고생대층(정선석회암, 행매층, 회동리층)의 코노돈트 생층서 연구 (Conodont biostratigraphic study of the Lower Paleozoic strata(Jeongseon Ls., Haengmae and Hoedongri Fns.), Jeongseon-Pyeongchang area)”. 전북대학교. 
  8. 박영록; 조경남 (강원대학교); 백인성; 김현주 (부경대학교); 임현수; 강희철; 신숭원; 김현정; 하수진; 하상민 (부산대학교); 김종선 (전남대학교); 조형성 (경상대학교) (2019년 12월). 《강원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Gangwon Province)》. 국립공원공단, 대한지질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