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울산 해역 지진
![]() | |
본진 | |
발생일 | 2016년 7월 5일 오후 8시 33분 (KST) |
---|---|
진원 깊이 | 20[1]km |
규모 | Mw[2][3] 5.0 |
최대 진도 | 메르칼리 진도 계급 IV : 부산, 울산, 포항 |
피해 |
2016년 울산 해역 지진[2]은 2016년 7월 5일 오후 8시 33분 울산 동구 동쪽 52km 해상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울산 및 영남 지역뿐 아니라 호남 충청 지역에서도 사람들이 신고전화가 속출했다. 일본에서도 쓰시마섬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2를 감지하였다.[4] 오후 9시 24분에는 울산 동구 동쪽 41km 해상에서 규모 2.6의 여진이 발생했다.[2]
관련 정보[편집]
기상청은 규모 5.0 지진의 충격파는 TNT 32 kt을 터뜨리는 폭발력과 비슷한 충격이라고 진단했다. 일본 나가사키에 떨어진 팻 맨의 1.5배 폭발력에 해당한다.[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강희경 기자 (2016년 7월 6일). “울산 앞바다 5.0 지진..."쓰나미 가능성 없어"”. 《YTN》.
- ↑ 가 나 다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 (2016년 7월 5일). “울산 동구 동쪽 해역지진 발생 현황”. 《기상청》.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 ↑ 차근호 기자 (2016년 7월 5일). “울산 동쪽 해상에서 규모 5.0 지진…경북·경남·광주 진동감지(종합)”. 부산. 연합뉴스.
- ↑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6년 7월 5일. 2018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김윤식 기자 (2016년 7월 6일). “울산 지진 나카사키 원폭 1.5배 수준, TNT 폭약 3만2000t 동시 폭발 효과...한반도 역대 지진 규모별 순위는?”. 《글로벌이코노믹》.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USGS의 지진 분석
- 609073400 South Korea -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