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
![]() | |
![]() | |
종목 | 천연기념물 제556호 (2019년 10월 2일 지정) |
---|---|
면적 | 문화재지정구역 8필지 138,668m2 |
관리 | 강원도 정선군 |
위치 | |
주소 |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919 외 |
좌표 | 북위 37° 22′ 57″ 동경 128° 38′ 51″ / 북위 37.38250° 동경 128.64750°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旌善 鳳陽里 쥐라기礫岩)은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조양강에 있는 천연기념물이다. 2019년 10월 2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56호로 지정되었다.[1][2][3]
개요[편집]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은 중생대 쥐라기[4] 시대에 만들어진 암석이다. 한반도의 옛 환경을 이해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자료이며, 역암[5] 퇴적층의 단면에서는 퇴적환경, 지질, 기후 등의 퇴적학적 특성을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국내 역암들을 대표할만한 자료이자 표본으로서 가치가 크다.[6]
정선 봉양리 쥐라기 역암은 역(자갈)을 이루는 암석의 종류, 역의 모양과 크기, 고르기 등이 다양하게 관찰되며, 같은 시기에 생성된 우리나라의 역암 중 단연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또한, 흐르는 물과의 마찰 때문에 모양들이 매우 아름답고 도로변에 가까이 분포해 누구나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역암의 야외교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6]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환(1718~1764, 李明煥)의 시문집인 '해악집' 권3에도 정선 쥐라기 역암이 언급되어 있어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6]
지정 사유[편집]
노두의 생성시기에 우리나라에 강한 조산운동이 일어났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증거이며, 역을 이루는 암석의 종류, 역의 모양과 크기, 역의 크기의 고르기 등이 다양하게 관찰되고 같은 시기에 생성된 우리나라의 역암 중 단연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유수에 의한 마모로 인하여 가장 아름다워 지정가치가 크다.[1]
갤러리[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문화재청고시제2019-128호(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지정 및지형도면), 제1959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9. 10. 2. / 39 페이지 / 1.3MB
- ↑ 문화재청고시제2020-4호(천연기념물 제556호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 및 제557호 정선 화암동굴문화재구역 정정), 제19679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20. 1. 31. / 73 페이지 / 974.4KB
- ↑ 문화재청고시제2020-5호(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 및 정선 화암동굴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 및 지형도면), 제19679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20. 1. 31. / 76 페이지 / 1.2MB
- ↑ 쥐라기: 지질시대에서 중생대를 3기로 나눌 때 두 번째 시기로 약 2억 년 전부터 약 1억 4,500만 년 전까지의 시기
- ↑ 역암(礫岩): 운반작용을 통해 퇴적된 암석 중에 크기 2mm 이상인 입자가 많은 암석
- ↑ 가 나 다 문화재청 보도자료,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천연기념물 지정》, 문화재청, 2019-10-01
참고 자료[편집]
-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