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말도 습곡구조

군산 말도 습곡구조
(群山 말도 습곡구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천연기념물
군산 말도 습곡구조.jpg
종목천연기념물 제501호
(2009년 6월 9일 지정)
면적16,191m2
시대선사시대
소유사유
위치
군산 말도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군산 말도
군산 말도
군산 말도 (대한민국)
주소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산90-1번지 등
좌표북위 35° 51′ 15″ 동경 126° 19′ 24″ / 북위 35.85417° 동경 126.32333°  / 35.85417; 126.32333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군산 말도 습곡구조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에 있는 습곡 구조이다.

2009년 6월 9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01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선캄브리아기고생대 이전의 매우 오래된 지질시대로서, 이 시대의 암석은 대부분 심한 변성작용을 받아 원래의 암석 구조가 남아있는 경우가 드문편이다. 하지만 군산 옥도면 말도의 선캄브리아기[2] 지층은 심한 변성과 변형작용에도 불구하고 연흔사층리 등의 퇴적구조를 아직까지도 잘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선캄브리아기 퇴적환경을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지층은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지층은 또한 나중의 지각변형에 의해 만들어진 여러 구조들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들 중 습곡은 나타나는 형태와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습곡이 만들어질 때 부수적으로 생기는 다양한 구조들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다. 그 중에는 국내에서 보기 힘든 희귀한 구조들(충상의 듀플렉스 구조, 여러 단계에 걸쳐 만들어진 중첩된 습곡 등)도 포함되어 있으며 보존상태도 매우 양호하다. 이러한 점들이 이 지층을 국내 여타 지역의 선캄브리아기 지층과 구별 짓는 중요한 특징이다.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 제200-44호《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의 지정 및 지형도면 등의 고시》, 문화재청장, 관보 제17019호, 782쪽, 2009-06-09
  2. https://data.kigam.re.kr/mgeo/map/main.do?process=geology_50k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5만 지질도에 의하면 신원생대 암석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