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대 단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4번이 장대 단층

장대 단층한반도 경상 분지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에서 창원시를 거쳐 김해시로 이어지는 서북서 방향의 단층으로, 김해시 장유면의령군 대의면의 앞 글자를 따 장대 단층으로 명명되고 있다.[1][2]

개요[편집]

김해시 장유면에서 시작하여 창원시함안군 가야읍, 의령군 의령읍을 지나 대의면까지 이어지는 서북서 주향의 장대 단층은, 기존의 5만 지질도 마산(1963), 의령(1963), 진주(1969), 삼가(1975) 지질도폭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단층이며 비교적 최근인 2000년대에 명명된 단층이다. 이 단층은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함안층과 진동층 등을 자르고 있으며, 함안에서 의령 쪽으로 남해고속도로를 따라 서북서 방향의 뚜렷한 선상구조를 보이고 있다.[3]

전단 구조[편집]

함안군 가야읍 북서부, 법수면군북면의 경계 지점에는 남북으로 분리된 두 반원형의 지형 구조가 관측되는데, 북쪽은 천제산을 중심으로 하며, 남쪽은 삼봉산을 중심으로 한다. 2012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와 논문에서는, 둘 사이의 서북서 방향의 선상구조[4]를 축으로 하나를 750m정도 이동시키면 이들은 하나의 환상(環狀) 구조로 일치한다는 점을 근거로, 환상구조가 생성된 이후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으로 750m 가량의 변위를 가지게 된 것으로 설명한다.[5][3]

노두[편집]

단층의 자취가 드러난 단층 노두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3]

위치 좌표 성향 주향[6] 경사 특성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 대청리
장유암 계곡
북위 35° 10′ 58.96″ 동경 128° 46′ 05.24″ / 북위 35.1830444° 동경 128.7681222°  / 35.1830444; 128.7681222
북위 35° 10′ 51.60″ 동경 128° 45′ 39.46″ / 북위 35.1810000° 동경 128.7609611°  / 35.1810000; 128.7609611
동-서 새로운 터널을 건설하는 사면 노두에서 계곡을 따라 달리는 선상구조와 비슷한 동-서 방향의 단층들이 관찰됨
호온펠스화된 퇴적암층(장유암층; 진동층에 대비됨)을 절단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묘사리
석산마을 석산저수지 남측
북위 35° 17′ 27.40″ 동경 128° 22′ 26.82″ / 북위 35.2909444° 동경 128.3741167°  / 35.2909444; 128.3741167 좌향 이동 서북서 수직에 가까움 석산저수지 남측에서 수 m 폭의 단층파쇄대가 확인
단층곡의 남쪽에만 계단상의 하안단구가 높이를 달리하며 5개 조로 발달
경상남도 창원시 중리
한주아파트 지점
북위 35° 14′ 52.84″ 동경 128° 31′ 18.43″ / 북위 35.2480111° 동경 128.5217861°  / 35.2480111; 128.5217861 좌향의 주향 이동 서북서 거의 수직 고속철도 공사장 절개지 사면에서 단층 관찰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북위 35° 16′ 35.27″ 동경 128° 27′ 33.33″ / 북위 35.2764639° 동경 128.4592583°  / 35.2764639; 128.4592583 주향이동 서북서 거의 수직 단층파쇄대 폭 2-3m, 단층비지대 없음
경상남도 의령군 칠곡면 산북리
다사터널 동측 입구 지점
북위 35° 21′ 37.47″ 동경 128° 05′ 17.92″ / 북위 35.3604083° 동경 128.0883111°  / 35.3604083; 128.0883111 좌향의 주향 이동 서북서 거의 수직 국도 제20호선 다사터널 동측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 다사리
다사터널 서측 입구 지점
북위 35° 21′ 44.36″ 동경 128° 08′ 44.33″ / 북위 35.3623222° 동경 128.1456472°  / 35.3623222; 128.1456472 좌향의 주향 이동 서북서 거의 수직 국도 제20호선 다사터널 서측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