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대 단층
장대 단층은 한반도 경상 분지내 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에서 창원시를 거쳐 김해시로 이어지는 서북서 방향의 단층으로, 김해시 장유면과 의령군 대의면의 앞 글자를 따 장대 단층으로 명명되고 있다.[1][2]
전단 구조[편집]
함안군 가야읍 북서부, 법수면과 군북면의 경계 지점에는 남북으로 분리된 두 반원형의 지형 구조가 관측되는데, 북쪽은 천제산을 중심으로 하며, 남쪽은 삼봉산을 중심으로 한다. 2012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와 논문에서는, 둘 사이의 서북서 방향의 선상구조[3]를 축으로 하나를 750m정도 이동시키면 이들은 하나의 환상(環狀) 구조로 일치한다는 점을 근거로, 환상구조가 생성된 이후 주향 이동 단층의 운동으로 750m 가량의 변위를 가지게 된 것으로 설명한다.[4][5]
노두[편집]
각주[편집]
- ↑ “A Survey on the Quaternary Fault along the Jangdae Fault around Haman-gun, Gyeongnam”. 대한지질학회. 2019년 10월.
- ↑ “경상분지 남부의 서북서 방향 단층(‘장대단층’)을 따른 활성단층운동의 가능성”. 대한지질학회. 2009년 10월.
- ↑ 이곳을 따라 남해고속도로가 통과하며, 장지 나들목과 함안 나들목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지도 위성사진 참조
- ↑ “경상분지 남부의 서북서 방향 선상구조와 좌향이동 전단구조: 장대단층”. 대한지질학회. 2008년 10월.
-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
- ↑ 구글 지도
- ↑ 구글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