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강 단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강 단층한반도 경기 지괴강원도 화천군에서 청평, 양수리, 광주시를 거쳐 경기도 발안리까지 연장되는 연장 175km,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조구조(tectonic) 단층으로 알려져 있다.[1] 북한강을 따라 발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지질도에서도 북한강을 따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곳에 따라 스러스트 단층 또는 연성전단대(延性 剪斷帶; Ductile shear zone)의 모습을 보여 준다.[2] 왕숙천 단층인제 단층의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대개 선캄브리아기 지층을 따라 발달한다.[3]

지질 도폭에서의 설명[편집]

아래 설명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공하는 5만 지질도폭의 설명서에 따른다.

  • 화천 지질도폭(1997 발간)에 의하면 경강 단층은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에서 화천읍 중리와 춘천시 사북면 신포리를 잇은 북한강을 따라 발달하여 가평군, 청평 지역으로 연장된다. 화천도폭 지역에서 주향이 북동 방향에서 남북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발달 방향이 변한다. 이는 풍산리의 하천을 따라 발달하고, 화천군 하남면 용암리거례리 사이에도 형성되어 있다. 북동 40° 방향으로 발달하는 경강 단층은 화천읍 중리와 풍산리 사이에서 확인되고, 거례리에서 춘천시 원평리 사이로 연장되어 춘천 도폭으로 연장된다. 단층은 동측 내지 남동측으로 60 내지 70°의 경사를 가진다. 단층의 폭은 10 m 에 이른다.[4]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