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단층

1번이 양산단층, 2번이 울산단층
울산 단층은 한반도 경상 분지 내 경주시에서 외동읍 모화리 등을 거쳐 울산만의 태화강 하구까지 이어지는 북북서-남남동 방향, 연장 40km의 단층이다.
개요[편집]
울산 단층은 한반도에서 양산 단층과 함께 활성단층으로 인정되는 대표적인 단층이다.[1] 이 단층은 한반도에서 대규모 지진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단층 중 하나로 이들을 따라서는 다수의 제4기 지층을 절단하는 단층들이 보고되고 있다.[2][3] 경주시에서 양산 단층과 합류하며, 경주에서 울산까지 폭이 2km에 달하는 단층곡을 형성하고 있다.[4] 양산 단층대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하며[5] 역단층성 운동이 우세하다.[6]
중부인 외동읍 부근에는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이, 남부에는 경상 분지의 퇴적암(하양층군)이, 동부에는 신생대 퇴적암이 분포한다.[7] 또한 월성원자력발전소에서 15km정도 떨어져 있다.[8]
경주-울산 지역에서 전기 비저항 탐사법을 실시한 결과 울산 단층과 관련된 낮은 비저항대가 발견되었다. 또한 울산 단층은 모화리 부근을 경계로 북부와 남부의 2개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9]
제4기 단층 (활성단층)[편집]
경주시 괘릉리-말방리-개곡리 주변에는 신생대 제4기층을 절단하는 제4기 단층들이 다수 분포한다.[10][11] 이들은 지역명을 따 괘릉단층, 말방단층, 사곡지단층, 절골단층, 개곡단층 등으로 불리고 있다.[12]
이름 | 위치 | 좌표 | 성향 | 주향[13] | 비고 |
---|---|---|---|---|---|
갈곡 단층 |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 N35°53' 26.7" E129°17' 19.5" | 역단층 | 북서 | |
마동 단층 | 경주시 마동 | N35°48' 1.9" E129°18' 56.8" | 북동 | 불국사 부근 | |
탑골 단층 | 경주시 마동 | N35°47' 34.41" E129°19' 28.56" | 북서 | 불국사 부근 | |
진현 단층 | 경주시 진현동 | N35°46' 58.78" E129°19' 54.37" | 북동 | 불국사 위치 | |
진티 단층 | 경주시 진현동 | N35°46' 52.76" E129°20' 20" | 북동 | 불국사 위치 | |
신계 단층 |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 N35°46' 39.2" E129°20' 22.2" | 북서 | 불국사 남쪽 | |
괘릉 단층 |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 N35°46' 1.7" E129°20' 16.2" | 북동 | 감산사 북동쪽 하상 | |
말방 단층 | 경주시 외동읍 말방, 활성리 | N35°44' 50.66" E129°20' 13.30" | 북동 | ||
사곡지 단층 절골 단층 |
경주시 외동읍 말방리 | N35°44' 50.85" E129°20' 14.16" N35°44' 53.09" E129°20' 17.86" |
북동 | ||
탑번디기 단층 |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 N35°44' 38.53" E129°20' 00.26" | 북동 | 양남터널 부근 | |
개곡 1~8 단층 |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 N35°44' 02.1'' E129°20' 03.1'' | 주향이동/ 역단층 |
- | |
외동 단층 | 경주시 외동읍 개곡, 입실리 | N35°43' 13.65" E129°20' 35.45" | 북동 10° | ||
입실 단층 | 경주시 외동읍 입실리 | N35°43' 17.67" E129°21' 3.99" | 북서 12° | ||
원원사 단층 |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 N35˚41' 50.5" E129˚21' 02.8" | 역단층 | 북서 | |
아화 단층 | 울산광역시 북구 중산동 | N35˚39' 43.4" E129˚20' 40.2" | 북동 | 아화초교 북쪽 | |
차일 단층 | 울산광역시 북구 창평동 | N35˚37' 17.5" E129˚22' 10.8" | 북서 | 원지저수지 서쪽 |
각주[편집]
- ↑ “울산단층대 주변의 단층 지형 및 선구조 분포”. 한국지형학회. 2018년.
- ↑ “울산단층 중부 원원사단층의 운동특성과 시기”. 대한지질학회. 2021년 2월.
울산단층은 한반도에서 대규모 지진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단층 중 하나로 이들을 따라서는 다수의 제4기 지층을 절단하는 단층들이 보고되고 있다.
- ↑ “고지진학적 방법을 이용한 울산단층 남부지역에서의 단층활동 특성 연구”. 대한지질학회. 2021년 4월.
역사지진과 고지진학적 자료에 기초한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단층대 중의 하나인 북북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울산단층대는 역단층이 우세한 사교이동단층(Choi, 2003)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 단층을 따른 지진 발생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고지진학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실정이다
- ↑ “양산-울산 단층계와 후타가와-히나구 단층계의 비교를 통한 지진발생특성 연구”. 한국암석학회. 2016년 9월.
-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기상청 (2009). 지진자료(고, 역사, 계기지진)를 이용한 한반도 지진활동 특성 연구 (보고서).
- ↑ “울산단층대 주변의 단층 지형 및 선구조 분포”. 한국지형학회지. 2018년.
- ↑ “활성단층이란? 원전 인근에도 활성단층 존재…위험천만”. 매일신문. 2016년 9월 24일.
- ↑ 이기화; 엄창렬 (1992년 2월). “Geoelectric Survey of the Ulsan Fault : Geophysical Studies on Major Faults in the Kyeongsang Basin (울산단층의 지전기 탐사 : 경상분지내 주요단층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대한지질학회.
- ↑ “울산단층 중부지역의 제4기 지형변형 특성”. 대한지질학회. 2020년 4월.
- ↑ “울산단층 동부지역 제4기단층 비지대에서 단층작용과 열수활동”. 대한지질학회. 2004년 12월.
-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