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3년 합천 지진 은 1643년 6월 9일, 경상남도 합천군 에서 발생한 추정 규모 6.4~6.7 추정 최대 진도 VIII~IX인 대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최소 2명이 사망하였다.
승정원일기 에서는이 지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있다.
경상감사 서목의 내용이다. 진주·합천 등 관에서 올리기를, “지진이 있었을 때 소나무 5,60그루가 부러져 쓰러졌다. 합천지역에서는 산이 흔들리고 바위가 떨어져서 압사당한 사람이 있었다. 마른 샘에 물이 넘쳤으며, 큰 길이 찢어지고 갈라졌다”고 하였다
— 승정원일기
또한 인조실록 에서는이 지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있다.
경상도 진주(晋州)에 지진이 일어나 수목이 부러져 넘어지고 합천군(陜川郡)에도 지진으로 바위가 무너져 두 사람이 압사하였으며, 오랫동안 물마른 샘에 흙탕물이 솟구쳐 나오고 관문(官門)의 앞길에 땅이 10장이나 갈라졌다.
— 인조실록 44권, 인조 21년 4월 23일 병술 1번째기사 지층
주요 지질 구조
주요 지진 고려 시기 이전 (- 1392)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위례성 인근 (27 · M6.3)
광주 (89 · M6.3)
경주 (100 · M6.3)
경주 (123 · M6.3)
경주 (304 · M6.3)
평양 (502 · M6.3)
경주 (510 · M6.3)
경주 (664 · M6.3)
경주 (779 · M6.7)
경주 (780 · M6.3)
개성 (1036 · M5.7)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순천 (1455 · M6.4)
한성 (1518 · M6.7)
백천 해역 (1518 · M6.7)
경산 (1553 · M6.3)
백두산 인근 (1597 · M8<)
수원 (1613 · M6.3)
합천 (1643 · M6.4~6.7)
울산 해역 (1643 · M6.7)
황해 해역 (1649 · M6.5)
순창 (1664 · M6.3)
황해도 청단 (1668 · M6.4)
김제 해역 (1670 · M6.3)
양양 해역 (1681 · M7.5)
홍성 (1700 · M6.5)
개성 (1714 · M6.7)
함흥 (1727 · M5.7)
부령 (1810 · M?)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지역별 지질
지질 명소
국가지질공원 한국의 산맥 기타
고려 시기 이전 (- 1392)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위례성 인근 (27 · M6.3)
광주 (89 · M6.3)
경주 (100 · M6.3)
경주 (123 · M6.3)
경주 (304 · M6.3)
평양 (502 · M6.3)
경주 (510 · M6.3)
경주 (664 · M6.3)
경주 (779 · M6.7)
경주 (780 · M6.3)
개성 (1036 · M5.7)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순천 (1455 · M6.4)
한성 (1518 · M6.7)
백천 해역 (1518 · M6.7)
경산 (1553 · M6.3)
백두산 인근 (1597 · M8<)
수원 (1613 · M6.3)
합천 (1643 · M6.4~6.7)
울산 해역 (1643 · M6.7)
황해 해역 (1649 · M6.5)
순창 (1664 · M6.3)
황해도 청단 (1668 · M6.4)
김제 해역 (1670 · M6.3)
양양 해역 (1681 · M7.5)
홍성 (1700 · M6.5)
개성 (1714 · M6.7)
함흥 (1727 · M5.7)
부령 (1810 · M?)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