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단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옥천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앙(1978-2021)과 지질[1][2]

예산 단층한반도 경기 지괴평택호 부근, 아산시 인주면에서 시작해 선장면, 예산군 예산읍, 광시면 등을 지나 보령시 화성면, 청라면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60km 정도의 단층으로 추정된다. 앞서 언급한 지역은 지질도 상에는 모두 단층이 지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선구조만 뚜렷할 뿐 단층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예산단층은 홍성단층에 비해서 비교적 뚜렷한 선형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지형적으로 단층을 인지할 만한 정도는 아니다. 아산시 인주면 내를 통과한 선형구조는 아산시 선장면을 지난다. 무한천을 따라서 남남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구조는 예산시내, 예당저수지, 예산군 광시면, 청양군 비봉면 가남평야를 지나서 청양군 화성면 화성면내를 통과하고, 보령시 청라면까지 약 61km 연장된다. 선형구조가 예산군 예산읍을 통과하기 때문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보고서에는 '예산 단층'이라 명명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나 보고는 없다.[3][2]

노두[편집]

다음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보고서에 보고된 예산 단층의 노두 위치이다.[3]

위치 좌표 주향[4] 경사 성향 ESR 연대측정 비고
예산군 광시면 하장대리
청성교 부근 국도 제29호선의 북쪽 사면에 노출
N36°32'15.40", E126°46'10.70" 북동 30° 남동 75°
홍성군 장곡면 행정리
천태지 입구 부근
N36°30'52.90", E126°45'09.70" 북동 25° 남동 85°

관련 기사[편집]

<국내 활성단층 450개 넘어…한반도는 '단층의 나라'> 뉴스원, 2016.9.23 - "수도권에는 추가령 단층이 대표적이며 충청지역에는 공주·예산·홍성·의당 단층, 호남지역에는 정읍·전주·순창-광주·비봉단층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잇단 충청권 지진, 그러나 원인 단층조차 파악 불가> 중도일보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2년 발간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ㆍ충청권에 공주 단층, 십자가 단층, 당진 단층, 홍성 단층, 의당 단층, 예산 단층 등의 활성단층이 존재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