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단층

활성단층 또는 활단층(active fault) 은 단층 중 최근에도 지진이 발생하였고 미래에도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단층을 의미한다.[1] 대체로 지질학자들은 1만년 이내에 단층 운동을 하였거나 그러한 운동이 있었다는 증거가 보인 단층을 활성단층이라 간주한다.[2]그러나 나라마다 지질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 시간적 정의는 국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며 최근에는 주로 신생대 제4기 동안 (지금으로부터 약200만 년 이내) 활동을 했던 단층을 활성 가능한 단층으로 보고 조사를 하는 추세이다.[3] 대체로 활성단층은 판 경계간 지역 주변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성단층은 보통 "내륙 지각 내 지진"(직하형지진)을 일으킨다.
일본 국토지리원에서는 단층의 규모에 따라 활단층을 A급 활단층에서 C급 활단층으로 구분하며,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에서는 30년 내 지진 발생 위험도에 따라 S급 위험도(3% 이상)서부터 A급(0.1-3%), Z급(0.1% 미만), X급(확률 불명) 위험도로 구분한다.[4]
확인[편집]
어떤 단층이 활성단층인지는 지형 조사, 지질학적 조사를 통해 확인한다. 특히 수천 년에 한 두번 간헐적으로 단층 운동이 발생하는 지역은 함몰 못, 단층 절벽 등의 특이한 지형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지형만으로 그런 지질 운동이 발생한 순서나 그 시기를 결정하긴 어려우므로 단층을 덮고 있는 토양을 트렌치로 도랑을 파서 지층의 단층차인 오프셋(offset)을 확인해 과거의 지진 활동을 추적하여 활성단층 여부를 파악한다.[5] 또는, 단층 비지의 전자자기공명법(Electric Spin Rexonance) 즉 ESR 연대측정을 통해 단층이 언제 마지막으로 운동했는지 알아낼 수도 있다. 활성단층이 있는 영역을 이용해 잠재적인 지진 위험을 분석하는 지진 예보에 여러 다른 요인과 함께 중요하게 사용된다.[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079298 "울산단층대 주변의 단층 지형 및 선구조 분포" 한국지형학회, 2018
- ↑ “Active fault” (online web page). 《Earthquake Glossary》. USGS Earthquake Hazards Program. 2009년 11월 3일. 2011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https://www.ndmi.go.kr/research/research/view.jsp "다부처공동 지진단층조사 연구개발사업 공동기획연구" (PDF 파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7
- ↑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정기이사회 (2016년 8월 19일). “活断層長期評価の表記見直しについて” (PDF) (일본어).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2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이기화 (2016년 10월 30일). 박상준, 편집.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1판. 서울: 사이언스북스. 66쪽. ISBN 978-89-8371-730-6.
- ↑ Slemmons, D. Burton; and Defolo, Craig (1986). 〈Evaluation of Active Faulting and Associated Hazards〉. 《Active Tectonics: Impact on Society》.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5–48쪽. ISBN 978-0-309-07395-0.
외부 링크[편집]
- Active faults of New Zealand: an interactive map of active faults near a plate boundary
- The Alquist-Priolo Earthquake Fault Zoning (AP) Act Archived 2019년 1월 11일 - 웨이백 머신
- Quaternary Fault and Fold Database for the Nation